View : 814 Download: 0

일본의 세계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일본의 세계교육에 관한 연구
Authors
서현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전 세계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통신 및 운수 기술 등을 바탕으로, 나라마다 상호 의존의 관계를 심화시키고, 다양한 이해관계를 만들어가는 '세계화', '국제화'의 흐름 속에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교육의 역할을 고려할 때, 세계화에 대비한 세계교육은 하나의 중요한 교육과제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세계교육 이론에 대한 국내외 학자별 연구업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세계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또 이러한 내용을 준거로 하여 일본의 세계교육 현황을 학교교육과 기타 교육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미래사회에 대비한 한국의 세계교육을 올바로 정립하는데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우선, 세계교육 학자들의 이론을 종합해본 결과, '세계화'란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통신·운수 기술을 배경으로 긴밀한 상호의존과 네트워크를 특색으로 하면서, 모든 나라와 사람들이 국경을 초월하여 삶의 터전을 전 세계로 확대해 가는 현상'이라고 정의 할 수 있고, 세계교육은 '인권과 자유와 같은 보편 적 가치의 함양과 함께 이를 확대하여 국제적 이해와 협력, 평화로 이끌기 위한 諸 교육'이라 정리되었다. 이러한 세계교육의 목적은 그것이 전제하고 있는 세계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보편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세계주의적인 시각이고, 두 번째는 개별 국가의 정체성을 인정하는 국가주의적 시각이다. 세계교육의 내용으로는 하위 영역을 크게 지식관련, 가치 및 태도 관련, 기술 및 기능 관련이라는 3범주로 나누어, 지식관련 내용에서는 인권의 평등,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지식, 개발, 빈곤, 인구, 무역관계, 생태계 파괴 및 환경 문제 등에 대한 지식 대표적인 국제기구 및 세계체제에 대한 이론적 내용 등 이 포함되었다. 가치 및 태도 관련 내용에는 타국 및 타인에 대한 존중, 정의 및 평화 존중, 문화적 상대주의, 개방적 태도, 생태계 보호와 지구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 협동적 태도 등이 포함되었고, 기술 및 기능 관련 내용에는 정보관리 및 처리 기술, 비판적 사고, 자료수집과 분류,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효과적인 참여기술 등이 포함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세계화'를 '물적·인적·자본적·정보적·기술적·문화적인 국제 상호의존이라는 바탕 위에 일본이라는 국가가 생존하고 발전하며 나아가 세계무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수단적 경향'이라고 여기고 있고, '세계교육' 역시 '타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일본과의 관계·상호의존의 확대 및 발전을 위한 교육'으로 정의하고 있어, 국가주의적 시각에 기초한 '국제교육' 혹은 '국제이해교육'으로서의 '세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전후(戰後) 교육과정 변천을 개괄 정리해 보면, GHQ에 의해 社會科 관련 과목이 모두 폐지되어 세계교육의 기반이 상실되었던 초기(1945년∼ 1947년), 미국식 학제를 모델로 '사회과'가 신설되어 평화적 민주주의를 강조했던 시기(1947년∼1950년), 교과이외의 활동이 만들어진 시기(1951년∼1957년), '도덕' 시간의 신설을 통해 국가주도의 국민정신 함양을 꾀했던 시기(1958년∼1967년), 고도성장과 함께 산업화와 정보화 중심의 교육을 강조했던 시기(1968년∼1976년), 도덕과 체육을 중요시하면서, 동시에 학생의 창조적 능력배양을 강조했던 시기(1977년∼1988년), 소학교 과목 중 사회과 대신 '생활과'를 신설하고, 고등학교의 경우 역사를 사회과에서 분리했으며, 국기(國旗)와 국가(國歌)에 대한 입장을 명백히 하는 등 국가관 교육이 중시되었던 시기(1989년∼1999년)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교과서 분석의 결과를 보면, 각 영역별로 보았을 때, 우선 지식 관련 영역 안에서는 자원 및 에너지, 다양한 민족, 상대성, 여러 국제 기구들, 환경문제와 그 대책, 국제화, 자위대의 PKO파병문제, 제3세계, 집단 안전보장, 여러 형태의 차별 등이 다루어졌고, 가치 및 태도 관련 영역 안에서는 문화적 상대주의, 평화주의 및 세계주의,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 해외 자원봉사 활동에의 적극적 참여, 개방적 태도 등이 제시되었으며, 마지막으로 기술 및 기능 관련 영역 안에서는 자료수집과 정보의 처리 해석 여러 가지 부수적인 도구들의 활용 방법, 문제해결 방법 및 의사결정 방법 등이 다루어졌다. 한편, 일본 내에서 유네스코(UNESCO)의 국제 협동학교(ASP) 활동은 타국 및 타문화에 대한 연구, 인권 및 환경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었고, 해외자녀 및 귀국자녀의 교육 문제는 우선, 일본 교육체제내에 그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체제적 환경적 접근, 둘째, 그들이 가진 언어 등의 특성을 전문화 및 심화시키는 특화 접근, 셋째, 일본 국내의 일반 학생들과의 교류 촉진 등의 쌍방향 접근으로 해결하려 하고 있었다. 일본적 특징으로 분석한 동화교육(同和敎育)은 본래 部落 혹은 특수한 지역 및 역사적 출신성분에 의해 형성된 동화지구(同和地區) 거주민들의 일반사회에 대한 부적용과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차별을 없애고자 시작되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사이를 지나면서 실시 여부가 지지부진해지면서 교육대상이 광범위화되는 등 많은 변화를 거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동화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동화교육에 자체에 대한 지식부족, 관심 및 열의 부족, 정부와 학교의 소극적인 태도, 일반 사회의 무관심, 제도 및 환경 적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동화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또 일본적인 세계교육의 출발점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교육 안에서 비중 있는 하나의 가치교육 내지는 인권교육으로 위치되어야 하며, 이에 상응하는 제도적 환경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2000년에 유치원을 시작으로 적용될 일본의 새 교육과정 안에 신설되는 '통합적 학습시간'은 바로 지식 및 가치와 기능이라는 총체적 학습으로서의 동화교육이 실시되기에 적합한 시간인 것으로 생각된다.;Nowadays, the concept of 'internationalization' or 'globalization' is not new as the world is becoming a global village. So, it is important to includ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s this education has to enable people to adapt to new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at 'global education' is, what the aim of it is and what should be included in it. Also as a reference to how global education can be placed into an existing curriculum, a close examination of the Japanese educational system was chosen, because most of the system is similar to the Korean one. To achieve these goals, I bagan with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on global or international education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Secondly, I analyzed the social studies texts us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of Japan. Thirdly, I examined the measures against Japanese children who are in other countries and come home. Finally, I investigated, 'Touwa Kyoiku', a distinguished program in Japan, and surveyed or interviewed 40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Tokyo and Nigata who have used that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global education is defined as that which includes common values like human rights and extends them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s and to bring about world peace. So many different concepts, values, attitudes, skills and functions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global education. : cultural relativism, equality, discrimination, development, environmental problems, the theory of the world system, cooperative attitudes,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ffective attendance, and so on. Second,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Japan, knowledge of global education is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texts. Therefore the ideals of value, attitude, skill and function need to be augmented. Third, there are three approaches in the measures against Japanese children who are in other countries and come home. The first approach is that they begin with reintegration education into the Japanese school system. The second approach is that reinforcing their outstanding abilities like speaking foreign languages. The third approach is that giving them more opportunities to meet ordinary Japanese students. Finally, 'Touwa Kouiku' has changed in many aspects from the 1980s to the 1990s. Most of the teachers who responded to this survey or interview however, pointed out that social indifferences and material shortages are the most hindering problems of 'Touwa Kouiku'. I think 'Touwa Kouiku' could be a good tool for bringing globalism into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especially when the 'unifying lesson' starts in the year 2000.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