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소연-
dc.creator김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편부아와 편모아를 대상으로 가정환경이 편부아와 편모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편부·편모가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편부아와 편모아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편부가정과 편모가정의 가정환경을 지위환경, 과정환경으로 나누어 동일한 가정환경을 가진 편부아와 편모아의 자아존중감을 비교하였고 성별·연령별 자아존중감 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9개 초등학교와 수원에 위치한 1개 초등학교에서 3학년과 6학년에 재학중인 편부·편모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일반가정 아동과 재혼가정 아동, 부모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결손가정 아동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얻은 139개의 설문지를 SPSSWIN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첫째, 본 조사를 통해 나타난 편부·편모가정 아동의 가정의 지위환경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살펴보면 편부아와 편모아는 양육부모의 학력 및 생활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둘째, 본 조사를 통해 나타난 편부·편모가정 아동의 가정의 과정환경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살펴보면 과정환경 수준 하위 집단에서 편부아와 편모아가 비슷한 정도의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응집성, 참여성, 의사소통성 수준 상위 집단에서는 소수의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전체적으로는 편부아와 편모아의 자아존중감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셋째, 편부아와 편모아의 성별, 연령 별 자아존중감을 살펴보면 여아의 경우 편부가정과 편모가정의 하위 및 전체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5) 남아의 경우 편부가정에 비하여 편모가정 아동의 학업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나(p<.05) 다른 자아존중감들은 비슷한 정도를 보였다. 편부아와 편모아의 연령별 자아존중감을 살펴 본 결과 3학년과 6학년 모두 편부아와 편모아가 하위 영역의 자아존중감 및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비슷한 정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편부아와 편모아의 자아존중감은 동일한 수준의 가정환경일 때 비슷한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환경에 편부아와 편모아에게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아버지의 부재나 어머니의 부재가 아동에게 비슷한 정도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빈자리를 매꾸기 위해서는 주변의 세심한 배려와 가능한 함께 살지 않는 부모와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접촉이 필요하다. 또한 편부·편모가정의 아동의 실태를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이들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 of the family environment of widowed fathers' or mothers' children on their self-respect, and thereby, help understand them an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guiding them. For this purpose, family environments of widowed fathers' or mothers' children were categorized into "status" and "process" environments, and thereby,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o grow under similar family environments was compared by sex and age. For this study, nin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one in Suwon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reupon, widowed fathers' or mothers' children enrolled in third and sixth grades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The children without parents were excluded, and thus, 139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using SPSS WIN10.0 program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widowed fathers' or mothers' children's self-esteem depending on the "status environment" of their family, there was found no difference of self-esteem depending on fathers' or mothers' academic background or living standards. (p> .05). Second, in view of "process environment", the children who having lower-class family environment had similar degree self-esteem. And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those children having upper-class family environment differed significantly in terms of "solidarity",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p<.05). However generally, they had similar degree self-esteem. Third, when widowed fathers' or mothers' children's self-esteem was reviewed by sex and age, the self-estee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irls in terms of lower sub-factors and overall factors (p>.05), while that of widowed mothers' male children was higher. (P<.05)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widowed fathers' or mothers' self-esteem by age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ge groups in terms of sub-factors and overall factors of self-esteem. In all, the widowed fathers' or mothers' children growing under similar family environment showed similar level of self-esteem. It means that these children are affected negatively with the same degree. Accordingly, it is deemed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unique conditions besetting widowed fathers' or mothers' children, and thereby, explore some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We need to study continuously to understand their presence practic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가정환경 = 6 1. 가정환경의 개념 = 6 2. 가정환경의 구성변인 = 8 3. 과정환경과 지위환경의 상호관련성 = 11 B. 자아존중감 = 13 1. 자아존중감의 개념 및 발달 = 14 2. 자아존중감의 구조 = 16 C. 가정환경과 자아존중감 관련 선행연구 = 19 1. 가정환경 변인과 자아존중감 = 20 2. 결손가정과 자아존중감 = 22 III. 연구방법 = 30 A. 연구 대상 = 30 B.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 31 C. 측정도구 = 32 D. 자료의 수집과 분석 = 35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37 A. 편부·편모가정 아동의 가정 지위환경 수준별 자아존중감 = 37 B. 편부·편모가정 아동의 가정 과정환경 수준별 자아존중감 = 45 C. 편부·편모가정 아동의 성별, 연령별 자아존중감 = 54 IV. 결론 및 제언 = 58 A. 결론 및 논의 = 58 B. 제언 = 65 참고문헌 = 67 부록 = 73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88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편부, 편모 가정환경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