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교육활동 의사결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기대수준 분석연구

Title
교육활동 의사결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기대수준 분석연구
Authors
김지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행정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수많은 의사결정들이 매일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은 학교교육의 목표와 방향 등 많은 부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교행정가 한 사람에 의해서만 이루어져 서는 안되고, 학교조직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의 생각과 의견이 함께 반영 되어야만 비로소 의미가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개인 배경특성별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들에 대하여 어느 정도로 의사결정에서의 참여를 기대하고 있고, 또한 교사가 기대하는 자신들의 학부모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학부모가 기대하는 참여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앞으로 학교경영에 있어 교사와 학부모의 갈등을 줄이고 서로 협조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특성(학교소재지, 성별, 학교설립별, 경력, 직위)에 따른 교육활동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부모의 배경특성(주거지, 어머니학력, 맞벌이 여부, 학교운영위원회 혹은 학부모회 참여경험 여부)에 따른 교육활동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배경특성에 따른 교육활동 의사결정 참여기대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교사의 배경특성에 따라 학부모의 의사결정 참여기대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학부모의 배경특성에 따라 교육활동 의사결정 참여기대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교사와 학부모가 각각 지각하고 있는 학부모의 교육활동 의사결정 참여기대정도에서 영역(기본운영,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교원인사 및 조직, 학생관리, 학교복지시설 및 재정,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개선)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있는 25개 중·고등학교를 도시지역과 기타(읍·면)지역, 그리고 공립과 사립학교를 고려하여 표집하였고, 표집한 학교의 교사 386명과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질문지는 문항특성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교사와 학부모의 배경특성에 따른 차이를 밝히는데, t-test 및 F-test를 실시하여 유의도 .05와 .01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학교 교육활동에 관한 인식, 그 중에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실제참여정도, 학부모 참여의 필요성, 평소 의사표현 여부 등을 살펴 본 결과, 교사들은 전체적으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도시보다 읍·면지역 학교 교사, 여교사 보다 남교사, 사립학교 보다 공립학교 교사, 경력이 높은 교사 그리고, 주임교사의 경우가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관심도와 평소 의사표현 정도 그리고, 실제 의사결정 참여도에 있어서 더 높은 반응을 보였다. 둘째, 학부모들의 학교 교육활동에 관한 인식, 그 중에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결정에 관한 학부모들의 관심도, 교육활동에 관한 평소 의사 표현 여부, 학교운영위원회에 관한 지식과 앞으로 학교운영위원회에 참여할 의사 등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관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 대부분 자녀와의 대화를 통해서 학교의 교육활동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육활동에 대한 평소 의사표현의 여부와 학교 운영위원회에 대해 대한 지식정도에 있어서는 읍·면지역 학부모들이 도시지역 학부모보다, 그리고 학교운영위원회(혹은 학부모회) 참여경험이 있는 학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은 참여 반응이 나타났다. 한편, 학부모들이 선호하고 있는 의사결정 방식에 있어서는 교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학교 운영위원회를 통한 의사결정 방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기대 정도에 있어서는 전체 적으로 큰 관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도시보다 읍·면지역 학교 교사가, 남교사 보다 여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공립학교 교사의 경우에서 참여기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력면에서는 5년이하의 경력과 20년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 그리고 직위에서는 주임교사에게서 높은 의사 결정 참여기대가 나타났다. 교사들이 교육활동 의사결정에서 가장 많은 참여를 기대하는 영역은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그리고 교원인사 및 조직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가 기대하고 있는 학부모의 의사결정 참여정도는 교사의 배경특성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학부모의 의사결정 참여를 긍정적으로 인식 하였으며, 특히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개선과 학교복지시설 및 재정에 학부모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높게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부모의 교육활동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기대 정도는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머니 배경특성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맞벌이가 아닌 경우, 그리고 학부모회 참여경험이 있는 학부모들이 교육활동 의사결정에 더 많이 참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부모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사결정 참여기대정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영역별에 있어서는 교사와 학 부모 모두에게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개선, 학교복지시설 및 재정, 기본운영 순으로 학부모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기대한 반면에, 학부모들은 학교복지시설 및 재정, 학생관리,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개선 순으로 자신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기대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경우는 교원인사 및 조직에 학부모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가장 낮게 기대했고, 학부모 자신들은 기본운영에 가장 낮은 의사결정 참여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활동 의사결정에 많은 참여를 기대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학부모에 대한 의사결정 참여도 높게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사결정에의 높은 참여기대는 앞으로 학교조직 안에서의 의사결정이 교사와 학부모의 공동참여로 이루어질 때, 학교조직이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음을 우리에게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활동 영역별 의사결정 참여기대 정도를 파악하여 이를 최대한 수용하고 활용하여 의사결정체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As the size and function of the school is getting larger, the importance of Decision-making is also rising. Affecting the goal and direction of school management, decision-making must be made by all of the members who work for the school organization. That is, the persons opinions and thoughts must be reflected in many parts of the stage in Decision-mak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specific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ecision-making in school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place of the school location,teacher's sex and career, the type of the school)?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ecision-making in school activities according to parent's background(place of the living area, mother's academic career, whether double-income or not, etc.)?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expectation 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expectation level of participation against parents in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5. Is there any difference in parent's expectation 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 and parent's expectation 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which is now the core subject of the educational adminstration. In order to meet its goal, this study combines the literature review with the survey research. The sample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386 teachers and 350 parents on 25 secondary schools -which include both rural & urban schools and public & private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o examine the variance among respondents the statical methods applied in the study were X² method, t-test and F-test.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eachers and parent's general interest related to Decision-making in school activities, was rather high. In case of the teacher whose workplace is in rural , public school teacher, male teacher and who has a higher career have more interest, and highly participating at Decision-making process. Meanwhile parents of the rural area and once a member of the parent-committee, showed a rather high interest, knowledge of school-steering committee and expressed their opinions a lot. In addition, school-steering committee turned out to be the most favorite Decision-making type to both of the teachers and parents. Secondly, the teachers expected rather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The teacher in rural school and public school, male teacher, and the person who has a higher career expected much mor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The most favorite field that the teachers wanted to take part in Decision-making was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urse & Evaluation and Teacher's Personnel field. Thirdly, parents expected rather high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Especially, parents who have a higher academic career and was a member of Parent-committee expected much mor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Fourthl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xpectation level about parent'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Bu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various fields of activities. Discretely, teachers expected parents to participate highly the fields of School & Community relationship, School-welfare Facilities & Finances, Fundamental management in the order. On the other hand, the parents expected their participation at School-welfare facilities & finances, Student Guidance, School & Community relationship in the order. Also, teacher expected parents to participate the least in the field of Teacher's personnel administration, while parents expected their participation the least in the field of Fundamental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found that teachers expect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parents to participate. It suggests to us that if we want to manage our school more effective Decision-making should be made by the major members, especially teachers and parents. But there still remain barriers between teacher's expectation and parent's expectation. Thus we should find a proper solution to satisfy both teacher and parents on their Decision-making, so that we can improve our school from now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