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이성희-
dc.creator이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8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kindergarten teachers' curricula, thereby seeking ind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ducation. Toward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practical knowledge is presented in curricula planned by kindergarten teachers? 2. What practical knowledge is presented in curricula implemented by kindergarten teachers? 3. What practical knowledge is presented in curricula evaluated by kindergarten teacher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Seoul that operate a life-theme-centered curriculum. The curriculum operating cases of the five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Data were collected for 18 weeks from June 3 to September 29, 2011.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six to seven weeks for each case. For all of the five cases, 14 times of in-depth interview, 22 tim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22 times of stimulated recall were carried out, and approximately 100 types of documents were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each case was conducted by each initial case and by developing the coding category for each case. Then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analysis of practical knowledge in curricula planned by the objects, the case A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objectives and activities should be planned in accord with life themes and that the themes and activities should vary according to the age group. The case B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teaching content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a life theme and that the objectives should be stated after determining conversations and activities. The case C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as that knowledge, skills, attitudes that children can learn within the theme should be determined and that themes that they have not experienced should be dealt with, while the case D teacher's included that enough free-play time should be secured and that sub-themes should be fixed by selecting and arranging activities for each life theme. The case E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the scope of the life theme content should vary by age group and that objectives, themes, and activities should be selected in accord with life themes. The followings are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knowledge identified i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s. First, in each case, conflicting practical knowledge was presented in terms of which is the priority in planning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r activities. Second, each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life themes should be taught to children. Third, each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different life themes or sub-theme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ge group to differentiate the teaching content for each age group. Fourth, case D teacher, unlike the other teachers,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free-play time should be secured. In addition, according to analysis of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curricula implemented by the objects, the case A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classes should be operated as planned by the teacher and by any means and that life-theme-related activities mean normal classes. The case B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children should be l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at sub-themes should be introduced through conversations and dealt with during free-play time. The case C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regardless of what children do, their playing well means learning something, and children should be led with activity objectives in mind. The case D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each child's objective comes first instead of today's activity objectives and that a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by the teacher for a half and by children for the remaining half. The case E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free-play activities mean operational activities regarding the theme and should be emphasized by the repetition of activity objectives.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knowledge in each case were as follows. First, in each case, practical knowledge was presented that a school day should be operated focused on free-play and group activities. Second, in each case, conflicting practical knowledge was presented regarding whether teachers should lea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lans or objectives or follow children's needs or leads. Lastly, according to analysis of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curricula evaluated by the objects, the case A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a good class means one that meets the activity objectives and is cooperatively led by the teacher and children and that the curriculum's content by level functions as the rating standard in evaluating children. The case B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children's performance during a day, their plans for the following day, and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 interest should be evaluated. The case C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whether children steadily concentrated on activities should be evaluated and that children's changes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 curriculum's content by level. The case D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children's overall participation should be evaluated by group activities, while each child's individual activities should be evaluated by free-play activities and that the content for level 1 should be used as an item for evaluating children. The case E teacher presented practical knowledge that whether classes corresponded to the objectives and whether children understood the theme should be evaluated and that curricular development evaluations and portfolios for activity results should be drawn up.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knowledge in each case were as follows. First, in each case, practical knowledge was presented that the content by level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employed as an item or standard for evaluating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in each case, practical knowledge was presented that activities should be evaluated focused on children's attitudes and reactions, how the activities were conducted, whether they corresponded to the objectives, and how successfully the objectives were reached.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objects of this study operate curricula that they plan, implement, and evaluate in a circular or unilinear manner and reorganize the theme-and-activity-centered curricula through curriculum evalu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을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계획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인가? 2. 유치원 교사의 실행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인가? 3. 유치원 교사의 평가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중 생활주제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유치원 교사 5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 교사 5명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6월 3일부터 9월 29일까지 총 18주간 동안 이루어졌다. 사례 별로 총 6-7주에 걸쳐 자료수집이 진행되었는데 5개의 사례를 통해 심층면담이 총 14회, 참여관찰이 22회, 자극회상이 22회, 각종 문서 100여종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초기 사례별로 진행하여 사례별 코딩범주를 개발하는 사례별 분석을 하고 이후 사례 간 비교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계획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을 사례별로 정리하면 사례 A의 교사는 생활주제에 맞는 목표와 활동을 계획한다와 연령별로 주제와 활동을 달리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B의 교사는 생활주제 안에서 교육내용을 정한다와 이야기 나누기와 활동을 정한다음 목표를 기술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례 C의 교사는 주제에서 유아들이 배울 수 있는 지식․기술․태도를 정한다와 연령별로 안 해본 주제를 다룬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D의 교사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한다와 생활주제별 활동을 선정․배열하여 소주제를 정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E의 교사는 연령별로 생활주제의 내용 범위를 구분한다와 생활주제에 맞는 목표․주제․활동을 계획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례 간 분석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특징을 보면 첫째, 교육목표와 교육활동 중 무엇을 우선적으로 계획할 것인가에 대해 사례 간 상반된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생활주제를 유아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으로 생각하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사례 A, B, C, E 교사들은 연령별로 가르칠 내용을 차별화하기 위해 생활주제나 하위 주제를 다르게 선정하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사례 D 교사는 다른 사례와 달리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실행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을 사례별로 정리하면 사례 A의 교사는 교사가 계획한대로 이끌고 수업을 어떻게든 해야 하며 생활주제 관련활동이 정상수업이라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B의 교사는 목표․주제에 맞게 유아를 이끌어간다와 이야기 나누기로 소주제를 소개하고 자유선택활동에서 풀어낸다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례 C의 교사는 무엇을 해도 잘 놀면 배우는 게 있으며 활동목표를 염두에 두고 이끌어 간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D의 교사는 오늘의 활동 목표보다는 유아의 개별 목표를 생각한다와 교육과정의 반은 교사가 반은 유아가 만든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E의 교사는 자유선택활동은 주제에 대한 작업 활동이며 활동 목표를 반복하여 강조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례 간 분석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특징을 보면 첫째, 자유선택활동과 대소집단 활동에 중점을 두고 하루를 전개해가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계획․목표에 따라 이끌 것인가, 또는 유아의 요구․리드에 따를 것인가에 대해 사례 간 상반된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을 사례별로 정리하면 사례 A의 교사는 활동목표가 이루어지고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드는 수업이 좋은 수업이다와 교육과정 수준별 내용은 유아 평가의 평정 기준이 된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B의 교사는 오늘 어떠했는지와 내일은 이렇게 해야겠다를 평가하거나 유아가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였는가를 평가하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례 C의 교사는 유아들이 활동을 안정되게 집중했는지를 평가하며 교육과정 수준별 내용으로 유아들의 변화를 평가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D의 교사는 대소집단 활동은 전체 유아의 참여도를 자유선택활동은 유아 개별 활동을 평가하고 교육과정 1수준 내용을 유아 평가의 항목으로 활용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사례 E의 교사는 목표와 수업이 맞았는가와 유아는 주제를 이해했는가를 평가하고 교육과정의 발달평가와 활동 결과물 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례 간 분석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특징을 보면 첫째, 유아 평가 시 국가수준의 수준별 내용을 유아의 발달을 평가하는 평가항목이나 평정기준으로 활용하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활동 평가를 할 때 유아들의 태도와 반응은 어땠는지, 활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목표에 맞는 활동이었는지,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등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는 실천적 지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게다가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계획, 실행, 평가하는 교육과정을 순환적으로 운영하기도 하고 단선적으로 운영하기도 하며, 교육과정 평가를 통해 주제와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을 재편성하기도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8 C.용어의 정리 8 II. 이론적 배경 11 A.유치원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11 B.실천적 지식 23 C.유치원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과 실천적 지식 35 III.연구방법 46 A.연구 방법 46 B.자료 수집 47 C.연구 절차 51 D.자료 분석 65 IV.사례 A:김정아 교사 71 A.계획한 교육과정 71 B.실행한 교육과정 75 C.평가한 교육과정 79 Ⅴ. 사례 B:손유리 교사 85 A.계획한 교육과정 85 B.실행한 교육과정 89 C.평가한 교육과정 93 Ⅵ. 사례 C:신재희 교사 97 A.계획한 교육과정 97 B.실행한 교육과정 101 C.평가한 교육과정 105 Ⅶ. 사례 D:박수진 교사 110 A.계획한 교육과정 110 B.실행한 교육과정 113 C.평가한 교육과정 117 Ⅷ. 사례 E:유민주 교사 122 A.계획한 교육과정 122 B.실행한 교육과정 126 C.평가한 교육과정 129 Ⅸ. 사례 간 분석 134 A.계획한 교육과정 134 B.실행한 교육과정 140 C.평가한 교육과정 144 D.계획실행평가한 교육과정 148 Ⅹ. 논의 및 결론 153 A.논의 153 B.결론 및 제언 171 참고문헌 180 부록 199 <부록 1> 연구 장소 입장 허락서 200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201 <부록 3> 1차 면담 질문지 202 <부록 4> 2차 면담 질문지 203 <부록 5> 관찰일 면담 질문지 205 ABSTRACT 2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79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사가 계획·실행·평가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curricula plan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by kindergarten teachers-
dc.creator.othernameLee, Sung Hee-
dc.format.pagevii, 20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