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교사 신념 연구

Title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교사 신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Centering on Art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uthors
이성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적 신념은 교수활동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미술문화수업을 개선하고, 현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사의 올바른 신념 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시작하였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신념과 교사 신념의 정의를 내려 보고, 교사의 신념과 교수실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사례를 정리하여 교사 신념의 중요성을 제기해 보았다. 또한 실증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신념(본질, 교수-학습, 교사 관)을 분석․정리해 보고, 구체적인 목적과 교수-학습방법, 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용어사전(2007)과 정종진(1989)의 신념의 정의를 기초로 하였다. 즉 ‘신념이란, 개인의 행동과 판단의 근거가 되는 어떠한 것’으로, 교수실제에 있어 교사들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가를 이해하고 예언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이 된다. 또한 전통미술문화는 그 속에 그 민족만의 고유한 문화와 민족성 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사회의 새로운 가치 창출의 원동력이 되는 등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므로 전통미술문화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교육하는 것은 오늘날 미술교육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신념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현재의 전통미술문화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 모색과 교사교육의 토대를 마련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0년 현재, 경기도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미술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인식 및 신념(본질, 교수-학습, 교사 관)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 120부 중에 최종적으로 96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분석결과,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인식은 닫힌 시각이 3.35, 열린 시각이 3.81로 열린 시각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그 차이가 미비하고, 미술교사의 대다수가 두 가지 시각에 동시에 응답하였으므로, 미술교사들이 전통미술문화를 열린 시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단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신념(본질, 교수-학습, 교사 관)은 어떠한가?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미술교사들은 전통미술문화교육의 본질에 대하여 높은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또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은 전통적 방법이 3.21, 구성주의적 방법이 3.99로 구성주의적 방법에 대한 신념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인식과 마찬가지로 평균값의 차이가 미비하고, 두 가지 방법에 동시에 응답한 미술교사가 대다수였으므로, 구성주의적 방법에 대한 교수-학습의 신념을 지니고 있다고 단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 관에 대한 신념은 평균값 4.26(5점 만점)으로 전반적으로 미술교사들은 교사 관에 있어서 가장 높은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신념은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분석결과, 본질에 대한 신념은 연령이 낮을수록, 중학교가 고등학교보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전공이 한국화와 서양화인 경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교수-학습방법 중에서 전통적 방법은 연령별로 40대가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가, 교직경력이 길수록, 전공이 서양화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구성주의적 방법은 여자가 남자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중학교가 고등학교보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미술대학 교직과정 이수인 경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관에 대한 신념은 연령이 낮을수록, 중학교가 고등학교보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미술대학 교직과정을 이수한 경우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은 대체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중학교 미술교사가,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높은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넷째,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인식은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분석결과,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인식은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신념 중 교수-학습과 교사 관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미술문화교육의 본질 대한 신념 중 목적관과 내용 관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관은 열린 시각을 가질수록, 내용 관은 닫힌 시각과 열린 시각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미술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전통미술문화교육에 대한 본질과 교사 관에서 높은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인식과 전통미술문화교육의 교수-학습에서는 혼합된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된 신념으로 판단한 근거는 대다수의 미술교사들이 인식과 교수-학습에서 각각의 요인(인식: 열린 시각, 닫힌 시각, 교수-학습: 전통적 방법, 구성주의적 방법)에 동시에 높게 응답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통미술문화수업이 현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인식과 교수-학습에 대한 명확한 신념 형성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혼합된 신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었는지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사의 신념척도 측정에 한정된 연구로 혼합된 신념의 형성 요인을 분석할 수 없다는 제한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신념 조사를 바탕으로 그 신념이 어떻게 형성 및 유지되는지, 신념이 교수실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등에 대한 다양하고 광범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시대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환경도 학생들과 사회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등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연구하는 것은 이러한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잘 만들어진 교육과정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을 실행하는 교사의 지식과 신념이 올바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교육의 개혁 또한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교사의 교육적 신념은 교육적 과정을 통하여 발전․변화한다. 그러므로 교육 당국은 미술교사들이 전통미술문화에 대하여 어떠한 신념을 지니고 있는지에 관심을 갖고, 현실적인 교사교육의 시스템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올바른 신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더불어 학습내용과 교수-학습을 포함하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환경 여건 개선 등도 함께 지원해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belief that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could affect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 activities and that teachers need to form a correct belief to improve traditional art culture classes, which were formally performed, and meet the educational direction required by the current curriculum. So prior researches an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define beliefs and teachers' beliefs and present the cases of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teachers' belief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essence, teaching-learning, teachers' views) were analyzed and arranged to present specific objective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achers' qualifications and role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efinition of belief in the Dictionary of Education (2007) and Jeong (1989). That is, 'belief is something on which personal behavior and decisions are based' and is a useful concept to understand and predict how teachers make a decision in teaching practice. Traditional art culture, which reflects culture and ethnicity unique to the people, has an important educational value as a driving force to understand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create new value for future society.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ask for art education of toda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teach traditional art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through questionnaires in order to find out grounds for improving the current traditional art culture classes and provide a basis for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bout perception and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ssence, teaching-learning, teachers' views) among 120 art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s of 2010. Of 120 questionnaires, 96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which were performed by using an SPSSWIN 12.0 program. From this proce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how do teachers perceive traditional art culture? For perception of traditional art culture, open views (3.81) got a higher mean value than closed ones (3.35). However, since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and the majority of art teachers presented both types of views at the same time, it was hard to conclude that art teachers had open views of traditional art culture. Second, how are teachers'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essence, teaching-learning, teachers' views)? In general, art teachers had high beliefs in essence of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As for beliefs in teaching-learning, beliefs in constructivist methods (3.99) were slightly higher than traditional ones (3.21). However, sin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was insignificant and the majority of art teachers presented both types of methods like perception, it was hard to conclude that they had beliefs in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methods. Finally, art teachers generally had the highest beliefs in teachers' views with the mean value of 4.26 (out of 5). Third, how do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differ by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Younger teachers who were at middle school, had less teaching career, and majored in Korea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liefs in essence. Beliefs in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40s who were at high school, had more teaching career, and majored in Western painting. Female teachers who were younger, were at middle school, had less teaching career, and completed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t art colle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tructivist methods. Finally, younger teachers who were at middle school, had less teaching career, and completed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t art colle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liefs in teachers' views. In other words, younger art teachers who were at middle school and had less teaching career generally showed higher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Fourth, how does perception of traditional art culture affect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As for teaching-learning and teachers' views, perception of traditional art culture had no effects on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as for views of goals and contents, among beliefs in essence, perception of traditional art culture significantly affected beliefs in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Open views of goals and both open and closed views of contents had significant effects. To put the results together, art teachers in general had high beliefs in teachers' views and essence of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However, they showed mixed beliefs in teaching-learning of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and perception of traditional art culture. The mixed beliefs were determined on the ground that the majority of art teachers presented high responses of perception (closed and open views) and teaching-learning (traditional and constructivist methods)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raditional art culture classes in the educational direction required by the current curriculum,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form clear beliefs in teaching-learning along with perception of traditional art culture and determine how mixed beliefs were formed and maintained. However, this study is confined to measuring teachers' belief scales and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analyze factors of forming mixed beliefs. So a variety of further extensive researches need be based on the researches on teachers' beliefs to see how those beliefs are formed and maintained and how they are reflected in teaching practice. With the temporal and social changes, educational environment demands changing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by reflecting requirements of students and society positively. An attempt to reform curricula and devise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can be seen as a part of such educational reform. However, even well-formed curricula are hardly expected to lead to educational reform unless teachers implementing the curricula fail to form correct knowledge and beliefs. Teachers have their educational beliefs developed and changed through the educational process. Therefore,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take interest in what beliefs art teachers have in traditional art culture, develop a practical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various programs, and present a direction for forming correct beliefs. They also need to offer specific and systematic curricula including learning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and 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