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무용창작작품 My Dear Daphnis 에 나타난 패러디 성향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창작작품 My Dear Daphnis 에 나타난 패러디 성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parodic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work My Dear Daphnis
Authors
김소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Postmodernism, the new trend of extending or replacing Modernism after World War II by leveraging or even being against the original Modernism of the early 20th century, had significant influences not only on people's daily lives, but also on their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ehaviors. In particular, Postmodernism brought rapid changes in the field of art by being actively applied in various forma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ballet (started from Ballet Russe led by Michael Fokin and Sergei Diaghilev), such as collapse of genres, collaboration with other genres, and various choreographies, are all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mong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 ballet works, Parody was instrumental in creating new and innovative master pieces by reinterpreting existing works. The narrow definition of "Parody" is to criticize and/or ridicule the original text with a new one. In a broad sense, it means to represent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new one by repeating and modifying the original. Parody has resulted in a number of master pieces representing the choreographers' progressive spirits and reflecting their contemporary era, being used by numerous choreographers in the performing art genre since the origin of modern ballet. This study analyzed 「My Dear Daphnis」, the parodic work from the novel 「Daphnis and Chloe」based on the Greek mythology of Longus, with Lycaenion as the main character. The followings are the notable parodic characteristics of the said work. First, although it is the same as the original piece that Lycaenion has a sexual relationship with Daphnis who is in love with Chloe, Lycaenion who had only sought sexual pleasures in the original was reinterpreted as a character who is in true love with Daphnis. Second, various performing language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movements of classical ballet as well as dramatic elements including dancers' facial expressions were used in order to describe Lycaenion's psychological changes. Various unique movements such as lying, rolling, running, and spinning were also used. Third, while Scene 1 of 「My Dear Daphnis」borrowed Maurice Ravel's original music 「Daphnis and Chloe」(1911), Scene 2 used its own sound effects, and Scene 3 did Georg Philipp Telemann's 「Telemann Concertos for Trumpet D major part 3」. Also, a see-through dress was designed for Lycaenion in order to emphasize her mature femininity and to portray the realistic image of the physical relationship with Daphnis in Scene 2. In addition, various lighting tools were used to describe Lycaenion’s emotional changes more effectively, from love to climax to broken heart in different scenes. In summary, the performing art work 「My Dear Daphnis」 is based on the original text, but also embraced and transformed the original by portraying the original contents in a new context. Parodic techniques had such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ing art field that the late 20th century is often called "An Era of Parody." It will continue to contribute to creative and experimental performance art activities as a way of discovering new materials and motives and representing choreographers' progressive spirits.;제 2차 세계대전 이후 20세기 전반 모더니즘(Modernism)시대에 대한 반발과 차용으로 모더니즘을 확장 또는 대체시킨 현상을 의미하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당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 포스트모더니즘은 예술분야에서 더욱 민감한 반응 양식을 띄면서 급속한 변화를 가져왔다. 미셸 포킨(Michael Fokin)과 세르게이 다이길레프(Sergei Diaghilev)에 의해 이끌어진 발레 루스(Ballet Russe)가 시발점이 된 현대 발레(Modern Ballet)의 특징인 장르의 붕괴, 타 장르와의 협력, 다양한 안무 법 들 역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가운데 현대 발레에서 차용하고 있는 패러디(Parody) 기법은 기존의 작품들을 재해석하여 새롭고 획기적인 작품으로 탄생시키는데 이용되었다. 하나의 텍스트가 원텍스트를 ‘조롱‧비판’한다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고, 원텍스트와 패러디된 텍스트간의 ‘반복‧다름’이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는 패러디는 현대 발레 이후 무용장르에서 수많은 안무 가들에 의해 이용되면서 안무 가의 작가 의식과 그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한 새로운 작품들을 탄생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리스 신화를 배경으로 한 롱구스(Longus)의 소설「Daphnis and Chloe」를 바탕으로, 등장인물 리카에니온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패러디한 작품 「My Dear Daphnis」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패러디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원텍스트의 내용 중에서 리카에니온이 클로에를 사랑하고 있는 다프니스를 유혹하여 일시적 관계를 갖는다는 부분은 그대로 차용하였으나, 무용창작작품 「My Dear Daphnis」에서는 리카에니온의 캐릭터를 새롭게 재해석함으로써 다프니스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내용으로 변용하였다. 둘째, 기존의 고전 발레가 갖고 있는 정형화된 동작의 틀에서 벗어난 동작어휘들과 무용수 얼굴 표정에서 볼 수 있는 드라마틱한 극적 요소 등을 통해 리카에니온의 심리를 표현하였으며, 능동적 공간을 설정하여 공간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상징적인 암시를 하였다. 셋째, 무용창작작품 「My Dear Daphnis」의 1장은 원텍스트 음악인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의 「Daphnis and Chloe」(1911)를 사용하였으나, 2장과 3장은 각각 효과음과 조지 필립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의 「Telemann Concertos for Trumpet D major 중 part 3」(1714) 음악을 사용하였다. 리카에니온의 성숙한 여성미를 돋보이게 하면서 2장의 다프니스와 사랑의 관계를 갖는 장면의 사실적 표현을 위해 실루엣이 드러나는 얇은 천의 의상을 디자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사건의 흐름에 따라 사랑, 절정, 실연으로 변화하는 세 가지 심리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조명으로 장에 따라 각각 보더라이트, 탑 조명, 고보 등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무용창작작품「My Dear Daphnis」는 원텍스트의 형태를 차용하되 이를 또 다른 차원에서 수용, 변용하는 동시에 원텍스트의 담론을 전환하고 새롭게 문맥화하여 안무하고자 하였다. 20세기 후반 ‘패러디 전성시대’라 불릴 만큼 무용계에 큰 영향을 미친 패러디 기법은 앞으로도 다양한 소재의 접근과 안무자의 작가의식을 반영하는 새로운 모티브로써 무용창작 활동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질 것이라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