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한국과 미국의 초등 무용교육과정 비교연구

Title
한국과 미국의 초등 무용교육과정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Dance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A
Authors
김남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These days the education in the cultural art era focuses on the real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many people have, the reflection of their own life and the respect toward other's lives, having mature sense of citizenship in the social relations and developing citizens to appreciate arts. Particularly revolutionary changes are required in art education policy in consider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cultural concept' In the 21st century, many developed countrie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therefore make much effort to stimulate art education, and dance is the one of independent subjects in their education systems. On the other hand, Korea has not established dance as an independent subject. This thesis studies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dance education which is weaker compared to foreign dance education systems. Dance education is helpful in develop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hich is emphasized in the modern society, so it should help to provide whole-person education for students by gradual and systematic curriculum from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 aims of this thesis are a) to examine the issues of Korean dance education by comparing Korean elementary dance education curriculum to the U.S., where dance is already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art curriculum, in terms of the objectives, curriculum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assessment, and b) to suggest the logical arguments that dance should become an independent regular subject as well as the basic materials to help establishing the national standards of dance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s, literature review in relation to U.S. elementary dance education as well as internet research were conducted; Also, this thesis examined the Enjoyable Life and dance curricula in physical education for South Korean cases, and compared them with national standard of National Dance Association and standards for learning and teaching dance of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for the U.S.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lack of detailed suggestions linked to dance as art in the curriculum objectives. Also, they only emphasize the learning of contents, without focusing on presentation and performance. Secondly, contents are comprehensive as was observed in the curriculum objects. Moreover, there is no systematic links between grade, Enjoyable Life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the use of exact terms relevant to the artistic nature of dance is not sufficient. Thirdly, teaching methods using a variety of resources is necessary in the teaching methods. Furthermore, teaching strategy for dance education and methodological teaching design to approach dance education are unadequate, because teaching methods in Korean physical curriculum is not very much applicable to dance due to its artistic character. Fourthly, the lack of concrete assessment tools makes it hard to evaluate the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s. To improve Korean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dance should be an independent subject rather than the part of physical education as shown in global trends; this will allow the students to develop as the future of the cultural art era by developing their creativity and expressing skills, and at the same time letting them to experience the artistic value and character of dance. Moreover, national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dance as an independent art subject so that the students can be educated professionally and artistically.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make an effort for Establishing of dance education as independent art subject like fine art and music by changing the perspectives of government, school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At the same time, the universities should be able to train professional dance teachers by setting up adequate curriculum and contents, so that all students can receive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Korean government should face up to reality of structure of Korean education which only maintains the status quo, and establish a national art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to meet the needs of the current times and to achiev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 The discipline of danc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control the quality of dance education after being re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rt subject, and it is necessary for academia to make a continuous and active effort for follow-up research to establish national dance standards and independence of dance as an art subject.;오늘날 문화예술시대의 교육은 많은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는 창조적 잠재력을 일깨우고,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타인의 삶을 존중하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지며, 예술 감상자로서의 성장 등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문화개념’의 세계화를 고려한 예술교육정책의 획기적인 전환이 요구되는 21세기에 들어 여러 선진국에서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무용은 하나의 독립된 교과로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 흐름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무용교과가 독립된 교과로서 자리 잡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중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육성하기에 적합한 무용교육이 왕성한 성장기의 초등학교 시기부터 학교에서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되어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와주어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의 초등 무용교육과정과 이미 예술교과로 무용이 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초등 무용교육과정을 수업목표, 수업내용, 수업방법, 수업평가 면에서 비교하여 한국 무용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무용이 정규교과로서 독립하여야 할 당위성과 무용교육의 국가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초등 무용교육과 관련된 문헌고찰과 인터넷 조사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의 경우에는 즐거운 생활, 체육교과 내의 무용교육과정을, 미국은 국립무용협회(National Dance Association)의 국가기준과 국립무용교육기구(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의 교수∙학습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초등 무용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초등 무용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목표 면에서는 예술로서 무용과 관련한 구체적인 제시가 부족하다. 또한 수업내용을 학습하는 데만 중점을 두고, 그 결과를 발표 및 공연하는 것에 대한 목표설정이 없기 때문에 학생들을 무용교육을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인 수용자의 입장에 국한시킨다. 둘째, 수업내용 면에서는 내용이 목표의 서술처럼 포괄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학년 간, 즐거운 생활과 체육교과목 간의 연계성이 없으며, 예술적 특징을 살린 전문적인 용어의 사용이 부족하다. 셋째, 수업방법 면에서는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는 교수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 무용교육 과정에서 교수전략으로 나와 있는 체육교과의 교수방법을 예술적 성격의 무용에 적용하는 것은 부적합하기 때문에 무용교육을 위한 교수전략 및 무용교육에 접근 가능한 방법론적 교수 설계가 미흡하다. 넷째, 수업평가 면에서는 예술로서 무용교과의 학습내용을 위한 구체적 평가내용의 부재로 학생들의 예술적 능력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우리나라 무용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은 먼저 무용이 세계적 동향에 따라 체육의 일부가 아니라 ‘무용교과’로서 독립적으로 교육과정에 자리매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무용교육을 통한 창의력과 표현력의 증진과 함께 무용교과의 예술적인 가치와 성격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문화예술시대의 미래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그리고 무용교육의 문제점 보완과 무용교과의 독립 및 예술교육으로서의 발전을 위한 국가기준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전문적이고 예술적인 무용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와 학교 및 교육 행정가들의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변화를 통해 미술, 음악과 같이 독립된 예술교과로서 무용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대학 내에서 무용전담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의 수립과 이에 맞는 제도권의 변화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전문성 있는 무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정부 당국은 구태의연한 모습을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 교육의 구조를 직시하고 문화예술의 국가적 경쟁력 확보와 시대적 요구 및 필요성에 부응할 예술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무용’ 또한 예술교과로서 교육과정에 재편성 및 신설되어 무용교육의 질 관리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이에 무용계는 무용교과의 독립과 무용국가기준 확립을 위한 후속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