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만 5세 유아들의 우정의 질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Title
만 5세 유아들의 우정의 질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Five-Year-Old Children's Friendship and Their Self-Regulation
Authors
문혜련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imat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ve behaviors of five-year-old children in friendship through play and their perception of friends, thereby evaluating the quality of friendship, an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children's friendship and their self-regulation and whether there is any gender difference. Detailed study issues are: 1. How is the quality of five-year-old children's friendship(interactive behaviors and their perception of friends)? 1-1. Is there any gender difference in their interactive behaviors? 1-2. Is there any gender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friends? 1-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teractive behaviors and their perception of friends? 2. How is self-regulation of five-year-old children in friendship? Is there any gender difference in their self-regula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five-year-old children's friendship(their interactive behaviors and perception of friends) and their self-regulation? 3-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five-year-old boys' and girls' interactive behaviors and their self-regulation? 3-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five-year-old boys' and girls' perception of their friends and their self-regulation? This study's subjects are 122 five-year-old children, in other words, 61 pairs of children in friendship from eight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located in Gyeonggi-do. In order to measure the quality of children's friendship, tools by Dunn, Cutting, and Fisher(2002) were applied to observe and interview the subjects.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videos and recorders, respectively, and the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coded and then evaluated. Self-regulation of children in friendship was estimated by their teachers with self-regulation estimation tools developed by 水野 利惠와 本城 秀治 (1998). The evaluated dat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each study issue, and t-test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friendship experienced positive interactive behaviors such as cooperative pretend play more than negative interactive behaviors like failed bids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s. Review by each gender showed boys and girls similarly experienced cooperative pretend plays, and boys displayed failed bids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s more than girls. As for perception of friends by children in friendship, positive perception such as insight and liking was higher than negative perception such as conflicts and there was no gender disparity.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ve behaviors of children in friendship and their perception of children was that the more failed bids of communication they had, the less insight into their friends they had. Analysis by each gender verified that the more conflicts boys underwent, the more conflicts they perceived, and the more failed bids of communication girls experienced, the less insight and liking they had. Second, children in friendship tended to have high level of self-regulation, and gender difference was not recognized. Third, review by each gender of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ve behaviors and self-regulation of children in friendship showed that whereas the more cooperative pretend play boys did the lower self-control they had, the more cooperative pretend play girls did the higher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they had as a whole. Review of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friends and their self-regulation by each gender displayed that the more liking boys felt, the lower self-control they had, and the more insight of friends girls had, the higher self-regulation they had as a whole. Girls were also found that the more perception of conflicts they had, the lower self-control they got. In conclusion, five-year-old children in friendship showed positive aspects in both interactive behaviors and perception of their children and had a tendency to show high level of self-regulation. Therefor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need to develop and apply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nhance children's sociable dispositions and behaviors such as kindness, respectfulness, care, and cooperative attitudes, so that they can form and improve friendship. Comparison between genders resulted in more negative interactions between boys than girls; therefore surroundings should be made so that boys can make more positive interactions, and methods of teaching them should be improved for the end. As for girls, it was verified that their better quality of friendship improved self-regulation. Thus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enough opportunities to play during free play hours, so that they can play cooperatively. In case of boys, unlike outcomes of existing studies, it was proved that the more improved their quality of friendship becomes, the lower self-regulation they get, so follow-up studies to examine exact causes of such result are necessary.;본 연구는 우정관계에 있는 만 5세 유아들의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 경험과 친구에 대한 인지 간의 관계를 측정하여 우정의 질을 평가하고 우정의 질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우정관계에 있는 만 5세 유아들의 우정의 질(상호작용 경험, 친구에 대한 인지)은 어떠한가? 1-1. 상호작용 경험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친구에 대한 인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상호작용 경험과 친구에 대한 인지는 관계가 있는가? 2. 우정관계에 있는 만 5세 유아들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떠한가? 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우정관계에 있는 만 5세 유아들의 우정의 질(상호작용 경험, 친구에 대한 인지)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만 5세 남녀 유아들의 상호작용 경험과 자기조절능력은 관계가 있는가? 3-2. 만 5세 남녀 유아들의 친구에 대한 인지와 자기조절능력은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8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22명, 즉 우정관계에 있는 61쌍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정 쌍은 또래지명법과 교사지명법을 함께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우정관계에 있는 유아들의 우정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들이 독립된 공간에서 놀이하며 경험하게 되는 상호작용 경험과 친구에 대한 인지를 Dunn, Cutting과 Fisher(2002)의 도구를 적용하여 관찰 및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관찰 및 인터뷰는 각각 비디오와 녹음기로 녹화 및 녹음하였으며, 각 내용은 전사한 후 코딩하여 평가하였다. 우정관계에 있는 유아들의 자기조절능력은 水野 利惠와 本城 秀治(1998)가 개발한 자기조절능력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담임교사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정관계에 있는 대상 유아들과 상대 유아들은 모두 의사소통의 실패와 갈등과 같은 부정적인 상호작용 경험보다는 협력적 가상놀이와 같이 긍정적인 상호작용 경험을 많이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성별로 구분하여 검토해 보면, 남녀 유아들 모두가 협력적 가상놀이 경험을 유사하게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의사소통의 실패와 갈등은 여아들보다는 남아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정관계에 있는 유아들의 친구에 대한 인지를 살펴본 결과 대상 유아들과 상대 유아들 모두에서 갈등과 같은 부정적인 인지보다는 통찰력과 호감과 같은 긍정적인 인지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정관계에 있는 유아들의 상호작용 경험과 친구에 대한 인지 간의 상관성을 검토해 본 결과 의사소통의 실패 경험이 많을수록 유아들의 친구에 대한 통찰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면 남아들의 경우에는 갈등을 많이 겪을수록 갈등을 많이 인지하고 있었고, 여아들의 경우는 의사소통의 실패 경험이 많을수록 통찰력과 호감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우정관계에 있는 유아들은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성차는 검출되지 않았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주장능력보다는 자기통제능력이 더 발달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우정관계에 있는 유아들의 상호작용 경험과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아들과 여아들의 자료를 구분하여 검토해 본 결과, 남아들의 경우에는 협력적 가상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통제능력이 낮아졌고, 여아들의 경우에는 협력적 가상놀이를 많이 할수록 전체적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통제능력이 높아졌다. 우정관계에 있는 유아들의 친구에 대한 인지와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아들의 경우에는 친구에 대한 호감을 많이 느낄수록 자기통제능력이 낮아졌고, 여아들의 경우에는 친구에 대한 통찰력이 향상될수록 전체적 자기조절능력이 높아졌으며, 친구에 대한 갈등을 많이 인지할수록 자기통제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우정관계에 있는 만 5세 유아들의 경우, 상호작용 경험과 친구에 대한 인지에서 모두 긍정적인 면이 많이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능력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이 우정을 형성하고 우정관계가 증진될 수 있도록 친절한 태도, 존중하는 태도, 배려하는 태도, 협동하는 태도 등 친사회적인 성향과 행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성별로 비교해 보면, 여아들보다는 남아들에게서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많이 관찰되었으므로 남아들에게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보다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지도 방법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여아들의 경우는 우정의 질이 높아질수록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자유놀이 시간을 통한 놀이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협력적으로 놀이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남아들의 경우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는 다르게 우정의 질이 향상될수록 자기조절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된 정확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