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역사교육에 학계의 연구 성과 반영 방안

Title
역사교육에 학계의 연구 성과 반영 방안
Other Titles
How to Reflect Disputatious Research Results of the Academic Study to Historic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Debate about the Colonial Economy
Authors
원형윤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희
Abstract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 식민지 경제에 대한 역사는 주로 식민지 수탈 론 의 입장에서 서술되어 있다. 수탈 론 은 식민지 시기 일제에 의해 전적으로 침략과 수탈만을 당했다는 입장으로 일제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강조된 역사이다. 한편 1980년대 이후에 경제 성장이 궤도에 오르고 민주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역사 연구에도 다양성이 부여되면서 식민지 근대화 론 이 대두된다. 근대화 론 이 처음 등장한 당시에는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했지만 점차 세력기반을 확장하여 식민지 경제의 여러 분야에서 수탈 론 과 첨예하게 대립하게 된다. 이러한 논쟁이 거듭되면서 수탈 론 에 입각하여 서술된 현행 교과서를 비판하기에까지 이른다. 특히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는 검인정 교과서로 그 동안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기 때문에 근대화 론 의 입장이 더욱 확대되게 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 문제를 표면화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근대화 론 의 입장에서 서술한 대안교과서를 편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그 배경으로 한다. 특정한 입장에서 서술된 교과서가 비판 받는다면 학계의 논쟁적인 연구 성과들을 역사교육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에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일정한 틀을 만들어 주입할 것이 아니라 그들 나름의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과서 분석과 개선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학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시기별로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 1960년대 이후의 경제상황에 대한 수탈 론 과 근대화 론 의 최근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이 7차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이렇게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교과서 해당 단원을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 식민지 경제는 수탈 론 의 입장에서 일관되게 서술되어 있었다. 6종의 검인정 교과서가 거의 비슷한 단원구조와 서술체계를 보이고 있어 국정 교과서와 다를 바가 없었다. 이에 대한 비판에서 등장한 교과서 포럼의 대안교과서 또한 입장만 다를 뿐 전적으로 근대화 론의 입장에서 서술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계에서도 수탈 론 과 근대화 론 을 모두 포괄하는 근본적인 합의는 없다. 따라서 개선방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색하였다. 위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식민지 경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구체적인 개선방안의 사례를 탐구활동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의 틀을 유지하면서 앞서 분석한 최근 연구동향의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 수탈 론 과 근대화 론 의 논쟁을 학생들에게 그대로 소개하는 형식이다. 탐구활동에 제시된 자료와 과제를 통해 학생들은 역사 연구에 다양한 입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여 나름의 역사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토론 과제를 통해 자신의 입장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 력 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와 함께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기존의 지도서 역시 수탈 론 에 입각한 서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근대화 론 을 소개하고 앞서 제시한 탐구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계의 주요 논쟁을 정리하여 구성하였다.;In the current 7th curriculum, history on colonial economy is mainly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colonial exploitation theory. According to exploitation theory, Korea was completely invaded and exploited by Japan and it stresses efforts to get over Japanese colonial era. On the other hands, while Korea economically grew up and was democratized after 1980's,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began to come to the fore, since various historical researches were needed. At that time that modernization theory appeared for the first time, the academic world didn't accept it though, its power base was gradually expanded and it was sharply in confrontation with exploitation theory in several fields of colonial economy. As this conflict was repeated, scholars supporting modernization theory started to criticize the current text book described based on exploitation theory. In particular, modernization theory began to be more stressed, since there have been lots of problem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described in authorized textbooks. They disclosed problems of the current text book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position and compiled an alternative text book which was described based on modernization theory. This study is to examine a series of the process. It started with a critical mind of how to reflect disputatious research results of the academic world to historical education, when the text book described based on particular viewpoint is criticized.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alternatives to help students establish their own historical awareness rather than infusing historical facts into them within a fixed frame. First of all, research trend of the academic world was examined in order to mak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alyzing text books and finding improvements. Exploitation theory on the Land Survey Project in 1910's, Increased Yield of Rice-Plan in 1920's and economic status after 1960's were analyzed and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f modernization theory were reviewed. Then,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se researches are reflected to the 7th curriculum or not, related units of text 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amination. In the 7th curriculum, colonial economy was consistently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exploitation theory. Because, six authorized text books had almost similar unit structures and description systems,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Alternative text books which were published to criticize them, were also described based on modernization theory, although, they had difference viewpoints. It results from what the academic world didn't fundamentally agree with compiling text books that include all of exploitation theory and modernization theory. Several improvements were, therefo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In addition, examples of concrete improvements were proposed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colonial economy by complementing these problems. It contains the latest research trend what was analyzed as above and introduces disputes of exploitation theory and modernization theory to students within a frame of the current curriculum.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various viewpoints in historical research and cultivate their own historical awareness. This study also encourages them to improve problem-solv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while collecting data for logical sources on their viewpoints. Then, improvements were suggested on guide books for teachers. Lastly, since, existing guide books are described based on exploitation theory, modernization theory was explained in detail and then, the main disputes of the academic world were arranged to be helpful for their exploitation theory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