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국립국악원의 궁중정재 전승에 관한 연구

Title
국립국악원의 궁중정재 전승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Court Dance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uthors
이한솔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숙
Abstract
This paper concerns the transmission of court dance as perform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paper examines the role and value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hronologically and considers the transmission of court dance as reproduced by Kim, Chunheung.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study, this paper considered history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y focusing on literature including single volumes, research papers and degree thesis, and examined court dance reproduction and performance through performance programs such as Tuesday Performance, Saturday Performance and regular performances, and video resources on royal court banquet music.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on the verge of court dance tradition being discontinued, Kim, Chunheung restored court dance of the Chosun dynasty inherited from figures such as Kim, Youngje, Hahm, Hwajin and Lee, Sookyung, and formed the foundation for its transmission to the present times. Especially, full-fledged, reproduced performances of court dance were conducted at the 'Traditional Dance Recital' from the late 1970's to the 1980s, preparing the foundation for court dance transmission to the present. Second, the chronological aspect of court dance transmission is as follows. In the first period (1970-1990), performances were based on single events without an artistic performance format. In this period, about 30 kinds of court dance were reproduced by Kim, Chunheung, including performance of pieces such as 「Saseonmu」and 「Oyangseon」 at the annual spring recitals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lso, 「Hanjangmu」 wal spring recfor the first time in 1979, and 「Lion Dance」 for the first time in 1992, re-choreograph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refore, this period can be called one in which various types of court dance were performed, forming the foundation for court dance reproduction. The second period (1990~2000) is one in which court dance became a stage performance and made a leap toward artistic performance. Court dance adopted characteristics of a performing art such as progression from single-event performance in the first period to attempts of planning and directing techniques through artistic perspectives in the court dance performance. The third period (2000~2010) has produced court dance as a royal court banquet art having progressed to comprehensive artistic performance such as 'Music of Peace, Dream of The Dynasty’(2001) and ‘Sound of Heaven, Music of King Sejong’(2010), both being royal court banquet music. Thus, court dance performance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s expanded, in the above-mentioned periods, from single-event performance to comprehensive art format of royal court banquet. Third, currentl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s deemed to b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uggesting and leading a comprehensive artistic format as an aggregate of royal court arts beyond simply restoring and reproducing court dance, by demonstrating Royal Court Banquet Music Series including 'Music of Peace, Dream of The Dynasty,' 'Joy of High and Low Together - Respect and Sharing' and 'Sound of Heaven, Music of King Sejong.' Thus,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role and value of court dance reproduction initiated by Kim, Chunheung and of court dance as royal court banquet culture as currently perform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o consider its direction as performing art as the Korean national brand.;본 논문은 국립국악원에서 연행되고 있는 궁중정재의 전승에 관한 논문으로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국악원의 역할과 가치를 살펴보고, 김 천 흥에 의해 재현된 궁중무용의 전승양상을 고찰한 논문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단행본과 연구논문, 학위논문 등의 문헌중심으로 국립국악원의 역사를 고찰하였으며, 정재재현 및 연행양상에 대한 연구는 문헌과 국립국악원의 화요 상설공연, 토요 상설공연, 정기공연 등의 공연 프로그램 및 궁중 연례 악 동영상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재 전승이 단절될 위기 속에서 김천 흥의 역할은 김영제 • 함화진 • 이수경 등에게서 이어받은 조선의 궁중정재를 복원하여 현재에 전승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특히,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의 ‘전통무용발표회’에서 본격적인 정재재현 공연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현재의 정재 전승의 초석이 마련되었다. 둘째, 정재전승 양상을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기(1970-1990)의 공연유형은 예술적 공연형식이 배제된 종목 위주의 공연이 연행되었다. 이 시기는 김천 흥의 정재재현 작업을 통해 국립국악원에서의 춘계 정기발표회에서「사 선무」,「오양선」등이 공연되면서 30여종의 정재가 재현되었다. 또한 1979년에「항 장 무」, 1992년에「사자 무」가 처음으로 초연되어 국립국악원에서 재 안무로 공연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는 궁중정재 종목이 다양하게 공연되었던 시기로 정재재현 작업의 발판이 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 2기(1990~2000)는 궁중정재가 무대화되고 예술적 공연으로 도약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제 1기에 단일 종목이 공연되던 것에서 발전하여 정재 공연에 예술적 시각을 통한 기획과 연출의 기법이 시도되는 등 정재가 공연으로서의 특징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제 3기(2000~2010)는 궁중 연례 악 ‘왕조의 꿈, 태평서곡’(2001)과 ‘세종, 하늘의 소리를 듣다’(2010)와 같은 종합예술적 공연으로 진보된 연희예술로서의 정재가 등장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립국악원의 궁중정재 연행 양상은 1기에서 3기를 거치면서 단일 종목 위주의 공연형태에서 궁중의례의 종합적 예술형태로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고 사료된다. 셋째, 현재 국립국악원에서는 ‘왕조의 꿈, 태평서곡’부 터 ‘여민동락-공경과 나눔’, ‘세종, 하늘의 소리를 듣다’에 이르기까지 궁중 연례 악 시리즈를 선 보임으로서 정재를 복원 ․ 재현하는 것을 넘어 하나의 궁중예술의 집합체인 종합예술적 형태를 제시하고 선도해 나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김천 흥에 의해 시작된 정재재현 작업과 오늘날 국립국악원에서 연행되는 궁중 연희문화로서의 정재가 지니는 역할과 가치를 살펴보고, 국가대표 브랜드로서의 공연예술적 방향을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