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주체적 도덕 판단을 통한 성윤리 교육방안 연구

Title
주체적 도덕 판단을 통한 성윤리 교육방안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Sexual Ethics Education focusing on Moral Judgment
Authors
정관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지애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학생들의 주체적인 도덕 판단력을 통해 자신의 성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치탐구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범람하는 많은 개방된 성문화 사이에서 청소년들의 성범죄가 급증하고 있음을 문제의식으로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사회 현상의 원인을 제대로 된 성윤리교육의 부재로 판단하였다. 현대사회가 발달함과 동시에 필요한 윤리들이 새롭게 생성되고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떼어 낼 수 없는 성윤리는 도외시 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청소년 시기에 성윤리가 제대로 정립되지 못할 경우에는 그릇된 성가치관이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사회구성원이 되었을 때 그 사회의 성문화 또한 왜곡되거나 혼란스러울 가능성이 높다. 또한 행동으로 옮기기까지 별다른 판단 없이 옮기게 되며 그 결과 청소년 임신이나 낙태, 우울증 등 몸뿐만 이 아니라 마음까지 병들게 될 수 있다. 청소년 시기에 이러한 경험을 겪는다면 올바른 인격성장과 자아실현에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파급적인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올바른 성가치관 정립은 매우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 개방된 성문화가 유입되고 수많은 성적 매체와 메시지에 청소년들이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성교육은 일회적이며 체계적이지 못하다. 또한 그 내용은 피임, 성병, 임신 이라는 형식적인 내용에만 그치고 있어 자칫하면 청소년들의 성적 호기심을 더욱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암묵적으로 학교와 사회에서 성관계를 해도 된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논자는 현실은 쾌락주의이지만 ‘혼전순결’이라는 보수적인 성윤리만 존재하는 혼란스러운 우리 사회에서 성을 사적인 문제로 치부하여 단순한 형식의 성교육으로만 해결하려 할 것이 아니라 피임과 임신, 성병이라는 방법적 내용을 다루기 이전에 성 의식과 가치관 교육을 먼저 해야 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그 범주는 가치교육교과인 도덕교과에서 성윤리교육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그 방법은 청소년들 스스로가 판단하고 자신이 도출한 가치관을 자신의 성윤리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도덕교육에서 성윤리를 다루기에 앞서 철학에서 성을 어떻게 보았는가를 다뤄봄으로써 성에 대한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칸트, 르트르, 쇼펜하우어를 통해서 대표적으로 성과 사랑의 관계를 밝힌 입장을 제시하였으며 더 들어가 윤리학에서 보는 성윤리의 입장인 ‘결혼과 출산 중심의 성윤리’, ‘쾌락과 계약 중심의 성윤리’, ‘사랑 중심의 성윤리’를 제시하고 각각의 한계점을 지적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에 맞는 적절한 성윤리는 부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올바른 대안과 성윤리가 목표로 두어야 할 현대사회에 맞는 성윤리를 도출하려 하였다. 논자는 ‘사랑 중심의 성윤리’에서 인격존중이라는 요소가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인격의 존중과 인격의 성장이 먼저 강조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인격교육론자인 리코나의 인격교육방법론에서 인격의 성장을 위한 교육방법을 도출하고, 리코나의 저서인 『성과 사랑』에서 성윤리를 바라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성윤리 교육방법을 도출하였다. 토마스 리코나가 주장하는 성윤리는 혼전순결이기에 그의 성윤리를 받아들일 필요는 없으나 성과 사랑을 바라보는 입장은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다. 리코나가 성과 사랑을 바라보는 입장은 진정한 사랑은 기다림이라는 것이며 자신의 성 가치관이 올바른 것인가 판단하기 위해서는 주체적인 도덕 판단을 통해서 ‘나의 비전은 무엇인가? 나의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하며 스스로 질문하는 법을 제시했다. 그리하여 이 과정을 통해 논자는 ‘존중, 사랑, 책임의 성윤리’라는 새로운 성윤리를 도출하였으며 그 교육방법으로는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도덕판단을 할 수 있는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성윤리교육과 주체적 도덕 판단을 연결시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성이라는 특성상 충동과 호기심의 자극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강한 동기가 없이는 흔들릴 수 있는 확률이 높다. 그러므로 가치주 입적이나 가치 지향적이 아닌 가치탐구학습모형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여러 가지 가치 중에서 스스로 숙고와 판단의 과정을 걸쳐 자신이 선택하고옳다고 생각한 요소를 추출하여 성가치관으로 정립하는 것이 유의미하다고 보았다. 이 과정을 거쳐 정립된 성가치관은 자신의 동의와 판단을 통해 내린 결론이므로 훨씬 더 높은 동기가 될 수 있으며 그 가치관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도 확신이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윤리교육 학습 모형을 현재 고등학교 도덕교과서의 구성 단원인<Ⅰ인간과 자율> <Ⅱ사회 정의와 윤리> <Ⅲ 국가와 민족의 윤리> <Ⅳ이상적인삶>에 적용하여 제안해 보았다. Ⅰ인간과 자율단원에서 성에 대한 정의와 절제할 수 있고 통제가능 하며 다른 본능과는 달리 생명과 직결되지 않는 다는 것을 주지시킬 수 있으며 Ⅱ 사회 정의와 윤리 단원에서는 윤리학에서 이루어졌던 세 가지 성윤리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한계점과 비판점을 학생들이 스스로 고찰하여 대안을 제시하게 할 수 있다. Ⅲ 국가와 민족의 윤리단원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성문화를 비교하고 현재 성문화의 문제점과 수정해야 할 방안 을 제시하여 근본 원인을 스스로 찾게 하고 마지막 Ⅳ 이상적인 삶 단원에서 논자가 제시한 가치탐구학습 모형이 제시되며 그 모형을 통해 자신의 이상적인 삶과 이상적인 사회를 그려보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위의 교육방법을 실제로 행해 본 결과 학생들은 각각의 단원 마다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대안을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성윤리교육의 목표에 점점 근접해가는 모습을 보였으며 Ⅳ 이상적인 삶 단원의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변화되는 미래 모습을 그려 본 후 기존의 성윤리가 아닌 성윤리교육의 목표인 존중, 책임, 사랑의 세 가지 요소가 포함된 자신만의 성윤리를 새롭게 창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학습모형은 학생들의 깊이 있는 근거에 기초한 도덕적 판단력을 가지고 자신의 미래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을 성가치관은 무엇일까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과정으로 작용한다. 그리하여 막연한 현실이 아니라 당장 자신과 자신의 미래에 직결될 수 있는 현실임을 인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책임 있는 판단과 그 판단에 대한 확실한 지지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모형을 통해 내린 선택은 일방적으로 주입된 가치관이 아닌 자신이 동의하고 숙고 한 후 내린 결정이기에 다른 가치관들보다 실제 행동으로 옮겨질 가능성 또한 높다고 보며 성의 특성인 호기심과 충동에도 굳건히 자신의 입장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통한 성윤리 가치관 정립 과정은 개인이 주체적인 관점을 형성해나가도록 하는 과정을 제시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자신이 새롭게 대안을 내렸던 이러한 경험이 바탕이 되어 성의 문제에서만 그치지 않고 다른 사회윤리적인 문제에서도 적용하여 도덕적 숙고와 판단, 실천이 가능한 도덕적 인격자로서의 성장을 기대할수 있다. 본 논문에서 주체적 도덕 판단을 통한 성윤리교육방안 연구 수업 모형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는 이러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서 스스로 적고 생각하는 기회가 주어지는 수업이며 교사는 그 어떠한 가치도 주입하지 않는다. 이러한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통해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함과 동시에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자신의 이상적인 삶을 살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성 가치관이 옳은 것인가를 스스로 질문하고 스스로 선택을 하고 자신에게 책임을 부여하게 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면서 우리들의 삶이 검토되게 하며 올바른 인격체로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고 성인이 되었을 때 사회의 공동선을 추구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지닌 성윤리교육을 현장에서 하루 빨리 교과서에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며 이 연구 이상으로 청소년과 성에 대한 자유로운 소통과 토론이 이루어지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개인적으로는 학생들의 주체적 도덕 판단을 통해서 자신의 성가치관을 스스로 정립하게 하여 완성도 높은 자아실현을 하게 하기 위함이며 사회적으로는 현재의 성 문화를 돌이켜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하고 그대안에 대한 논의를 제시해주는 수업 모형으로써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worth exploring model based on individuals’ ethical sexual behavior. Sexual crime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among youths in our society nowadays stem from the lack of sexual education and sound judgment. The lack of sexual ethnic attests this social phenomenon. Even though essential ethical value has been established and emphasized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sexual ethics that is the most important and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kind is ignored. Especially, if sexual ethics is not established properly, the improper sexual behavior could last until adulthood; the possibility that sexual culture of the society becomes distorted or confused is very high when young people become members of society. Despite the fact that young people expose to sexual media and messages through the influx of opened sexual culture, the current sex education is temporary and disorganized. Information such as venereal disease, contraception, and pregnancy is so confusing that it could arouse sexual curiosity of the adolescents. Furthermore, it implies that they can have sexual relations in school and society. The author of this paper insists that it is not only conservative sexual ethics such as remaining a virgin until marriage and sex topic should not be channeled through sex education alone, but it should be through sexual consciousness and values education, before tackling with sexual related subjects such as venereal disease, contraception, and pregnancy. The sexual related categories should be enforced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which is values education and sexual ethics education; and the method of how the education is imparted is based on individual’s value and sexual ethics. In mor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sexual relationship is clearly defined as on how sex is shown in the philosophy. The stance of this writing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love as proposed by Kant, Sartre, and Schopenhauer. Furthermore, various sexual ethical topics focusing on marriage and childbirth, pleasure and contract, and love, as well as their limitation are suggested. Through this proposition, there still problem exists for there is no proper sexual ethic suitable for our current society. However, there is an alternative view of sexual ethic presented that is considered proper to our modern society. Some of the alternative elements such as “respecting personality” and “sex and love” as suggested by a moral educator, Thomas Lickona, could be implemented in sexual ethics education. In Lickona’s view, it is essential to preserve virginity before matrimony. His point of view does not have to be accepted; however, his stance on sexual ethics in “Sex and Love” is vital and worth taken into consideration. He suggests that true love is worth waiting. In his viewpoint, he suggests that individuals ought to use their power of moral reasoning in determining whether his sexual value is right or wrong. In this writing, the author draws new guideline for sexual ethics education that sexual ethics should be based on respect, love, and responsibility; and suggests this to be implemented as a teaching method, value-research-learning model to students. Using sexual ethics as a moral guidance is certainly important. Since the nature of sex can be easily aroused, it is quite possible that adolescents falter without strong motivation to restrain. Therefore, instead of worth implantation or worth oriented model, the worth exploring model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nd invaluable. It would be meaningful to establish the sexual values by taking into account what the students think is right from their own perspective since they are the product of their own thought. Inculcating the values required strong motivation, confidence, and an impetus to succeed. The author refers to this sexual ethics education in the ethics textbook which contains four chapters, from chapter one to chapter four. The following chapters are: Man and Autonomy; Social Justice and ethics; ethics of the Nation and Ethnic Race; and The Ideal Life. In the first chapter, sex is defined and reminded that it can be controlled and does not directly affect individuals which make it different from other instincts. In the second chapter, the three kinds of sexual ethics conducted in the sexual ethics study are proposed and students are asked to set up limitations and provide criticism. In the third chapter, the sexual culture in the past and present is compared and modified should there be any problem, In the last chapter, the worth exploring model suggested by the author is proposed; this model is formed based on what individuals think their ideal society and lives would be like. Individuals are encouraged to se their imagination on how they would create their ideal community and on how they would like to live their lives in such community. According to the study, the result comes very close to the alternative view in the sexual ethics education, in which it encourages individuals to use the power of reasoning. In chapter four, using a value research model in the study, individuals’ community, lives and future idealistically change; participated students create their own sexual ethics which is similar to the three factors of sexual ethics education: respect, responsibility, and lov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n ethics, a guiding principle, on sexual behavior in the future. In addition, students recognize the true value directly pertinent to them and their future; it is not something vague. It appears that participated students wholeheartedly concur to a shared esponsibility and uphold the guiding principle in the stud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n real life, they will rather make a firm conviction to uphold the principle than allow their sexual impulse and curiosity consume them. In order to establish sexual ethics by using the worth exploring model, independent thinking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newly found principle can be applied not only to sexual subjects but to other ethics problems in our society. From the beginning to e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students; they are able to think independently and teacher does not infuse any values. In order to understand properly about sex, to take full responsibility of their future and dream, and to lead their ideal lives, students ought to adhere to a lofty ethical value; and they should uphold to the sexual thics. Living in the society, they ought to examine their lives, to be able grow as righteous human being, and to pursue the communal virtue in society when they reach adulthood. It is imperative that sexual ethics education is taught in school and it is essential to interact and debate freely about this subject matter. This research model could be used as an instructing instrument. Since the model is formed based on the participant’s sexual values,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view to the current sexual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