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무용창작작품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창작작품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Creative Dance Work 「A Prayer of a Non-Believer」
Authors
지혜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오늘날 예술가들은 현 시대적 동향과 자신의 창의적 사고 및 감정을 관객과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예술장르와의 결합을 시도하며 그 표현의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무용 역시 총체적 예술로서의 융합과 변용을 통한 혁신적인 안무로 안무자의 의미전달과 관객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한 공간적, 시간적 활용의 극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무용의 이러한 시도와 노력은 예술적 기능으로서의 심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고, 예로부터 무용이 신과 인간의 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미루어보았을 때 무용은 심미적 가치뿐 만아니라 종교적 기능으로서의 가치 또한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독교 무용은 이와 같이 미적, 종교적 기능을 가지는 대표적인 무용 형태이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 무용은 하나님과의 소통적 측면에만 너무 치중한 나머지 예술의 본질인 관객과의 소통과 다양한 표현에 있어서는 다소 한계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관객과의 소통을 위한 기독교 무용의 표현법을 발전시키고 소재의 범위를 넓혀 타 예술장르와의 결합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학예술 가운데 시, 특히 종교적 기능을 가지는 '신앙시'의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무용창작 작품「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안무한 후, 본 작품을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과 움직임, 음악, 조명, 의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시적 표현법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무용창작작품「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창작 작품「어느 무신론자의 기도」의 주제 및 내용은 전반적으로 신앙 고백의 한 형태로서 '부족하고 연약한 모습이지만 하나님께 쓰임 받기를 원한다.'는 줄거리를 바탕으로, 작품의 각 장마다 정해진 주제어에 따라 그 내용이 구성되었다. 본 작품의 프롤로그에서는 연구자가 하나님을 알지 못했던 불안하고 두려웠던 삶의 모습을 담고 있는 신앙고백으로 시작된다. 1장에서는 부끄럽고 자신 없는 심리 상태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모습, 2장에서는 천지 창조에 대한 믿음과 자신의 존재에 대해 인정하는 모습, 그리고 3장에서는 하나님과 인격적으로 만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시의 각연에서 주제어를 정하여 장면의 내용을 전달하였다. 둘째, 공간사용에 있어서는 기독교 관점에서 바라 본 진정한 '기도'의 시작점인 가장 낮아진 모습에서 조금씩 변화하는 영적 상태를 나타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움직임의 개발을 위해서는 각 장마다 강조되는 신체부위를 설정하여 그에 따른 특징과 상징하는 바를 안무에 적용 하였다. 프롤로그는 몸의 수축(contraction)과 손, 발의 제한적 움직임을 사용하였고, 1장에서는 중간 레벨의 걷기(walk)로 무대 전,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시선과 표정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2장 전반부에서는 롱드 잠브 아떼르(rond de jambe aterre), 아라베스크 발란스(arabesque balance), 줴떼 앙트르낭(jete en tournant), 부레부레(bourre bourre) 등과 같은 높은 레벨의 동작을 사용하였으며 후반부에서는 다시 높이를 낮추는 움직임으로 기도하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팔, 다리의 움직임 범위를 확장시켰으며 그랑 점프(grand jump)와 같은 높은 레벨의 동작을 통해 자유로움을 나타내었고, 마지막 장면은 평온한 느낌의 손동작과 감정 표현으로 마무리 하였다. 셋째, 음악은 기독교 신앙적 가치와 주제를 나타내기 위해 그와 관련된 영화음악과 소년합창단 곡을 사용하여 작품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프롤로그에서는 긴장과 이완, 그리고 불안한 심리 상태를 반복되는 현악기 소리와 성악가의 호소력 있는 강한 음색으로 그 분위기를 묘사하였다. 1, 2, 3장의 음악에서 들려지는 어린 소년의 목소리는 하나님 앞에서 어린아이가 되는 안무자의 모습과 동일 시 하였고, 노래의 가사에 담긴 내용을 시에 나타난 작가의 물음에 대한 하나님의 음성으로 대입하여 사용하였다. 넷째, 작품에서 조명은 범위의 제한과 확장으로 영적상태의 변화와 하나님과 인간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것에 초점을 두었고, 의상은 살색의 심플한 튜닉으로 디자인되었는데 이는 죄에서 거듭남에 대한 기독교적 상징성과 의미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신앙시'를 텍스트로 안무된 무용창작작품「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는 시인과 연구자의 신앙 고백이 작품의 모티브 역할을 하였다. 안무자는 본 작품을 통해 '기도'의 진정한 의미를 전달하고, 오늘날 신앙의 문턱에 있거나 혹은 무신론자라 칭하는 사람들과 하나님과의 관계거리를 좁히고자하는 데에 의도를 두었다. 이러한 연구는 기독교 무용의 창작 활성화와 이에 따른 표현 범위의 확장 및 관객과의 신앙적 소통 측면에 기여할 것이며, 기독교 무용이 예술의 한 장르로써 확고히 자리매김하는데 이바지할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e artists of today have a tendency to expand their scope of expression as they try to converge with other genres of arts in an attempt to communicate their feelings, creative ideas, and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arts with their audiences. As for dancing, which is an integrative form of art, the artists try to maximize their utilization of the space and tim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s by the means of revolutionary choreographies through conversion and adjustment. But, such attempts in the realm of dancing also have aesthetic value as a function of the art. And, since the ancient times, dancing has been the means to communicate with the gods, which supports the notion that the dancing has been used in religious purposes as well as artistic ones. Christian dancing is one of the profound forms of dancing art that is equipped both with aesthetic and at the same time religious implications. But, today, Christian dancing is too much obsessed with the communication with the God, and, as a result, to some degree it could be said that the fundamental as the art, that is,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the diversity in terms of expression are neglected. So,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converge with other genre of art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the means of expanding the topics of the pieces and develop new kinds of expressions in Christian danc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of poetry, especially those that are closely connected to religion. This kind of poetry is called as 'religious poetry,’ and in this study, we will develop the choreography of a dancing piece titled 'A Prayer of a Non-Believer,' which uses a religious poetry as its text. And then, the dancing piece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its movement line, motion, music, and costume to examine the various poetic expressions in the piece and the meanings thereof. As a result, the analysis of a religious dancing piece, 'A Prayer of a Non-Believer' that was using a religious poetry was as follows; Firstly, the theme and contents of the dancing piece was generally related to the confession of a non-believing person, in which the confessing character wishes to be used by the God even though the person is weak and immature. In each chapter of the piece, there were different themes that were the key message to be delivered in that part. In the prologue of the piece, the researcher confesses her past, when she did not know the God and therefore lived in fear and anxiety. In Chapter 1, the character advanced to the God, however the character finds herself still in shame and fear. In Chapter 2, the character gets to believe in the creation by the God and accepts her own existence. Chapter 3 was about the encounter with the God, and for this scene, the keywords of each paragraph of the poem were used to describe the scene. Secondly, in terms of the usage of the space, the focus was made on the transition from the lowest posture, which is in the perspectives of Christianity the beginning point of a prayer, to the changing spiritual status as the prayer progresses. To develop the motions, body parts that were to be emphasized were determined for each chapter, and the choreography was developed in a way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s. The prologue used the contraction of the body and limited movements of the hands and feet. In Chapter1, an intermediate level of walking movements was introduced as the character moved back and forth on the stage. In the first half of Chapter 2, movements of higher levels, such as roun de jambe aterre, arabesque balance, and jete en tournant, as well as bourre bourre. In the second half, on the other hand, the lowered posture of a prayer showed up again, to symbolize a prayer. In Chapter 3, the movement range of the arms and legs was extended, and higher level movements such as a grand jump were introduced to express the freedom. In the last scene, peaceful hand movements and emotional expressions were used to wrap up the story. Thirdly, relevant movie OSTs and the pieces of a boy choir were used to express the religious value and theme of Christianity to fulfill the intent of the piece. In the prologue, tunes of tension and relaxation and the nervousness of the mind was expressed with the strong tones of the strings and voices. In Chapter 1, 2, and 3, the voice of young boys in the music was to show the character’s being a child in front of the God. The lyrics of the song were to symbolize the answer of the God in response to the questions in the poem. Fourthly, the costume was of skin-toned, simple design tunic. This was to symbolize the redemption from the sin as was profoundly argued in Christian symbolism and values. As shown above, the dancing piece titled ‘A Prayer of a Non-Believer’used the religious confession of the researcher and the poem as its motif. The choreographer’s intent in this piece was to deliver the true meaning of a prayer and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people who are about to join other believers or those who call themselves as non-believers and the Go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ill be its contribution in expanding the scope of expression and facilitation of the creation of Christian dancing pieces and the religious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it will also help Christian dancing to gain ground as a field of 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