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순조조(純祖朝) 궁중정재에 나타난 정재무구 특성 연구

Title
순조조(純祖朝) 궁중정재에 나타난 정재무구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utstanding Features of The Royal Court Dance Prop in The King Seonjo Dynasty : In the Period of Agency Ruling Hyomyeongseja
Authors
김수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말복
Abstract
As a dynamic art, the primary medium dance moves on stage there is being done that the audience is watching eventually is the movement, movements have limitations to transmit rich contents, but through various equipments can be represented differently, just like the pops used the royal court dance bring out the whole image of the dance. therefore, dance prop does not only play a role as a prop itself, but as a central landmark. which represents the work with infinite meaning. Since many royal court dance were created during Hyomyeongsega period, this was considered as important milestone of the royal court dance. Also, during this time, various dance props appeared.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the period of Hyomyeongsega where a distinct change in the history of court dance appeared. And Focus especially on material, symbolic, morphologic, and theatrical attributes of the props in the royal court dance. Firstly, the subject peculiarities of the dance props have become more variable and naturally aesthetical, such as, the use of the flowers, and the tools that can be commonly seen in the palace. Symbolic attributes of the dance props can be divided in four categories, and they are dedicated, mythical, aesthetic destination, and a form of pleasure. Morphological attributes contain 3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stereoscopic, moveable, spectacular decoration stage. Lastly, for theatrical attributes, the props became dancing, singing and playing tools all together, on the stage.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on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t value and the various views on the dance props. The dance props simply has last value with change of time,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on a aesthetic tool. However, the dance props are actually the heritage of Korea's unique national sentiment. Therefore, we need to clearly define and understand the significant value of the dance props and inherit theme. I look forward to reproduc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royal court dance.;무용은 움직임을 일차적 매개체로 하는 동적예술로써 무대에서 공연되어졌을 때 관객이 감상하게 되는 것은 바로 움직임이다. 하지만 움직임만으로는 풍부한 내용을 전달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무대장치를 통해 훨씬 광범위하고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다. 무대 장치가 무대 전체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무용의 직접적인 보완역할을 하는 것처럼 궁중정재에서 정재무구가 이러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정재무구는 하나의 사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작품의 의도를 전달하는 표현매체로써 무한한 의미가 담겨져 중심적인 상징물로 존재한다. 특히 정재의 황금기라 불리는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에는 많은 정재가 창작되었고 이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정재무구가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는 대부분의 정재가 무구를 사용하고 그 무구의 이름이 작품의 이름이 될 만큼 무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재사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던 효명세자 대리청정기를 중심으로 그 당시 궁중정재에 사용된 정재무구의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이를 소재적, 상징적, 형태적, 연희적 특성으로 나뉘어 보다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러한 논의는 대량의 정재가 갑자기 창작되어진 원인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반적인 순조조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재무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함께 조선조 전체에 사용되었던 정재무구를 소도구, 소품 및 장치로 분류하여 이의 종류와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효명세자 대리청정시기에 많은 정재가 등장하였던 무자년(戊子年)과 기축년(己丑年)을 중심으로 그 당시 연희된 정재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총 40종의 종목이 연희되었으며 그 중 26종이 창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에 본격적으로 사용된 정재무구만을 선택하여 정리하였고, 여기에 나타난 정재무구의 특성을 소재적, 상징적, 형태적, 연희적 구성으로 나누어 정재무구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소재적 특성으로는 소재가 다양해짐과 동시에 한층 열린 시각의 자연친화적인 소재가 많아졌으며 그 중 꽃의 사용이 가장 많았다는 점, 그리고 궁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소품이 무구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징적 특성에서는 비교적 많은 정재에 사용되었고, 그 의미가 특징적으로 집약되어있는 정재무구를 위주로 살펴보았는데 이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었다. 이것은 존경의 뜻으로 ‘바친다’라는 의미, 왕권을 신성시하는 신화적 이미지, 심미적인 대상, 놀이형태로써 즐거움을 창출하는 정재무구들로 구분되었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무대 안에 무대’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입체적인 무대의 도입과 이동식 무대의 등장, 그리고 무구자체가 감상물로 여겨질 만큼 다채로운 장식을 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 연희적 특성으로는 무구자체가 무대 공간 안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악, 노래를 부르는 가, 춤을 추는 무, 그리고 놀이형태의 쾌락적 형식을 지닌 희의 통합적 요소를 지닌 악,가,무,희로써 연희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정재의 황금기인 효명세자 대리청정기를 중심으로 높은 문화적 가치에 비해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는 정재무구에 대한 소중한 가치를 재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외형적인 분석만이 아닌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였다는것에 의의를 둔다. 정재무구는 시대가 변함에 따라 단순한 감상물로만 인식되어 그 가치를 잃어가고 있으나 한국의 고유한 민족적인 정서와 예술성을 형상화하고 있는 귀중한 유산이다. 그러므로 이처럼 높은 가치를 지닌 정재무구를 올바르게 연구하고 계승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가 한국인의 정체성을 전통문화에서 재현할 수 있는 궁중정재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