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고지민-
dc.creator고지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을 분석하고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가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은 어떠한가? 1-1. 어머니의 반응성은 어떠한가? 1-2. 영아의 반응성은 어떠한가? 1-3.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2-1.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 의 인지는 어머니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 의 인지는 영아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중류층 가정의 걸음마기(만 2세) 자녀 36명과 그들의 어머니 36명으로 총 72명이었다.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성의 수행과제와 관찰도구를 사용하였고,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질 측정도구와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에 대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행과제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은 모두 녹화되었고 녹화된 내용은 전사되었으며 분석은 통합적 방법과 구체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영아 간 상호작용에서 반응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는 영아에게 높은 수준의 반응성을 보였고 수행과제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일관된 반응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반응성이 높은 어머니는 영아의 시도에 대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영아 또한 어머니에게 비교적 높은 수준의 반응성을 보였으며 수행과제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일관된 반응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반응성이 높은 영아는 어머니에게 빈번하게 반응하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어머니와 영아는 서로간의 생각이나 목표를 조율하며 양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가 어머니의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는 영아의 부적정서에 상관없이 영아에게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그리고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는 조절능력이 높은 영아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인 반면 조절능력이 낮은 영아에게는 낮은 반응성을 보였다. 한편 조절능력이 낮은 어머니는 부적정서가 낮은 영아에게는 낮은 반응성을 보인 반면 부적정서가 높은 영아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또한 자신이 힘이나 통제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부적정서에 상관없이 영아에게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가 영아의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적정서가 높은 영아는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인 반면 조절능력이 낮은 어머니에게는 낮은 반응성을 보였다. 그리고 영아는 힘이나 통제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어머니에게는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와 영아의 반응성과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어머니의 반응성이 높을 경우 영아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므로 반응적이지 못하고 영아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반응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연습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또한 부모교육을 통해 반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질과 힘(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에 대한 역할을 인식시켜, 어머니가 기질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양육에 있어서 적절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In this dissertation, I make an analysis about mother's responsiveness and their two-year-old child'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e analysis lies in exploring how to respond the demand of partner in the their interaction and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responsiveness and their two-year-old child's responsiveness in various contexts. Futhermore, how the toddler's temperature, mother' temperature and mother's perceived power affect their responsiveness is to be examined. Here are research ques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1. What is the mother-toddl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1-1. What is a moth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1-2. What is a toddl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1-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 responsiveness and a toddler's responsiveness in their interaction? 2. What i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other-toddler's responsiveness? 1-1. How the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mother's perceived power affect a mother's responsiveness? 1-2. How the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mother's perceived power affect a toddler's respon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two-year-old toddler and their mother from middler class of seoul residence. The research tool utilized was based on the criterion of parent's responsiveness developed by Gates(2007) and Kochanska(2002), the variables was based on the component of toddler's temperature, mother's temperature and the perceived power. and the responsiveness in various performance task was recorded and analyzed macroscopically and microscopically.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view of mother's responsiveness revealed mothers are more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in their interactions and, in performance task, maintained consistent relatively high responsiveness. Particularly, mothers who are very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interacted positively with the toddlers and toddlers also are very responsive to their mothers in their interactions and, in performance task, maintained consistent relatively high responsiveness. In particular, toddlers who are more responsive responded to their mothers's demand and interacted affirmatively. There's a close connection between mother's and toddler's responsiveness, so that they exercised a bidirectional effect harmoniously with partner's thought and goal. Second, as far as the effect of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perceived power on mother's responsiveness,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were more cooperative, more sensitive, more acceptive regardless of the toddler's negative affective, more responsive to toddl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less responsive to toddl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On the other hand, while mothers who have lower effortful control are less responsive to the toddlers who have lower negative affectivity, they are more responsive to the toddlers who have higher negative affectivity. and mot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the perceived power regulated toddler's behavior adequately in mediating between two parties and highly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regardless of their sons or daughters negative affectivity. And that, as far as the effect of toddler's temperature,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perceived power on toddler's responsiveness, toddlers who have more negative affectivity were more responsive to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less responsiveness to moth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ere more cooperative, more sensitive, involved with mothers, and more affective to mot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more the perceived power. By means of looking into the result, I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f mothers were more sensitively responsive to their toddlers, encouraging sons and daughters to take an active part in interacting with their mother, toddlers would be more receptive, more cooperative to mothers and play a leading role in interacting with mothers, so that synchronous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oddlers could be increased, reciprocal interaction be promoted, and bilateral cooperative relationship be maintained. And it would be necessary for us to let mothers notice goodness-of-fit between their temperatures to affect positive responsiveness with each other and be aware of importance of perceived power and cheer them up to exercise a good power and control in looking after their toddl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9 II. 이론적 배경 10 A. 어머니-영아 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10 1. 어머니-영아 간 상호작용 10 2. 상호작용에서의 반응성 14 1) 반응성의 개념 14 2) 반응성의 특성 19 3) 반응성의 평가 23 B.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26 1. 영아의 기질 27 2. 어머니의 기질 31 3.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능력 33 III. 연구 방법 37 A. 연구대상 37 B. 연구도구 39 1. 반응성 수행과제 39 2. 반응성 관찰도구 40 3.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능력 57 4. 기질 측정도구 58 C. 연구 절차 64 1. 예비 연구 64 2. 본 연구 65 D. 자료 분석 70 IV. 연구 결과 71 A. 어머니-영아 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71 1. 어머니의 반응성 71 2. 영아의 반응성 75 3.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간의 관계 80 B.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86 1. 어머니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87 2. 영아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91 V. 논의 및 결론 93 A. 논의 93 1.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93 2.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105 B. 결론 및 제언 111 참고문헌 117 부록 1. 반응성 분석지 136 부록 2. 반응성의 하위범주별 구체적 예시 138 부록 3.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능력 144 부록 4. 어머니의 기질 설문지 145 부록 5.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 설문지 154 ABSTRACT 1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922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걸음마기 영아-어머니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ponsiveness in the toddler-mother's interaction-
dc.creator.othernameKoh, Ji Min-
dc.format.pagevi, 17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