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이혜숙-
dc.creator이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66-
dc.description.abstractIn the rapidly changing corporate environment, corporations focus on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nstantly and strategically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quickly and secur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Meanwhile, as the importance of ‘Outcome-oriented Education’ is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effect of education based on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corporate education is reconsidered. Also, more people say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practical education which can enable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to improve their work-executing capacity by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learning to their work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al outcome. As shown above, since the effect of corporate education need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rganizational outcome, learning transfer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well as the starting point to connect education to the learning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learning transfer,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new studies based on practical execution at work. Also,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learning transfer in an integrated way, it is required to think of educational strategies and directions to promote learning transfer. In terms of such a context, this study verifies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the prediction of the learning transfer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Also, based on such a result, this study also draws the operational strategies and directions of corporate e-learning to promote learning transfer. [Issue] Does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for the prediction of learning transfer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in corporate e-learning? Based on the responding data of 82 people which have been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executed. Also, by using the method of analyzing a mediating effect, which w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whether a mediating effect exists or not has been ver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can be used to predict learning transfer and self-efficacy, while self-efficacy can be used to predict learning transfer. Also, through the verification of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t has been found that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erms of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such results, it can be said that as superiors and colleagues show their interest and support to help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ir work, while a favorable organizational mood is formed for the change which improves the execution of work, learning transfer is influenced positively. Learning transfer is promoted as the expectation and belief towards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transfer in terms of corporate e-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strengthen self-efficacy regarding the execution of work. Al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types of corporate e-learning for the participation of both individual workers and their superiors and colleagues. This study is important since it suggests the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as the main factors for the prediction of learning transfer for corporate e-learning through the verification of a mediating effect. Also, it approaches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two variables in an integrated wa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for learning transfer.;급변하고 있는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조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전략적으로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s development)에 힘을 쏟고 있다. 반면, 이러닝 보급이 확대되면서 기업교육의 양적 증가를 이루었지만 조직 구성원들이 학습을 통해 배운 내용을 업무에 적용하여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기업교육의 효과는 조직성과에 직결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는 교육을 학습효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출발점이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따라서 학습전이를 이해하는데 있어 직무환경에서 실질적인 수행을 근거로 한 새로운 연구들이 시도되어야 하고, 학습전이 과정의 통합적 이해를 통해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교육 전략과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지원(organizational support)이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를 예측하는데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를 촉진하는 전략과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기업 이러닝에서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지원이 학습전이를 예측하는데 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설문을 통해 수집한 82명의 응답 자료를 기반으로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 분석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구성원이 인식한 조직지원은 학습전이와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조직 구성원이 인식한 조직지원과 학습전이 간 예측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사와 동료가 조직 구성원의 수행에 관심을 갖고 배운 내용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고, 수행을 향상시키는 변화에 호의적인 조직 분위기일수록 학습전이는 촉진되며, 조직 구성원이 수행에 대한 기대와 신념이 높을 때 학습전이의 효과는 더 커진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하고, 기업 이러닝이 개인 학습 차원으로 그치지 않고 상사 및 동료의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러닝 운영이 시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기업 이러닝에서의 학습전이를 예측하는 주요 요인으로 조직지원, 자기 효능감을 제시하고, 변인 간 직·간접적인 관계 속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학습전이 과정을 이해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 정의 3 1. 학습전이 3 2. 조직지원 4 3. 자기효능감 4 Ⅱ. 이론적 배경 6 A. 기업 이러닝 현황 및 과제 6 B. 학습전이 8 1. 학습전이 개념 8 2. 학습전이 모형 9 3.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 4. 학습전이 측정 방법 14 C. 학습전이 관련 변수 15 1. 조직지원 15 2. 자기효능감 17 D. 관련 선행연구 18 1. 조직지원과 학습전이 관련 선행연구 18 2. 자기효능감과 학습전이 관련 선행연구 20 3. 자기효능감과 조직지원 관련 선행연구 21 E. 연구문제 및 가설 23 Ⅲ.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 25 B. 연구절차 27 C. 측정도구 28 1. 학습전이 측정도구 29 2. 조직지원 측정도구 33 3.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33 D. 자료의 분석방법 34 IV. 연구결과 37 A. 기술 통계 37 B. 상관분석 38 C. 가설검증 39 1. 조직지원의 학습전이 예측에 대한 검증 40 2. 조직지원의 자기효능감 예측에 대한 검증 40 3. 자기효능감의 학습전이 예측에 대한 검증 41 4. 조직지원의 학습전이 예측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41 V. 결론 및 제언 44 A. 결론 및 논의 44 B.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부록 1. 설문지 55 부록 2. 학습 내용 및 학습 목표 60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30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와 조직지원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rs' the Self-Efficacy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dc.creator.othernameLee, Hye Sook-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