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노인성 치매 미술치료프로그램 적용사례 연구

Title
노인성 치매 미술치료프로그램 적용사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for senile dementia : Centered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S Welfare Center
Authors
이현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현재 급증하고 있는 노인 인구로 인해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각종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치매 문제는 암이나 AIDS와 함께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21세기의 3대 질환에 속하며 의료, 복지 차원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고 있는 나라로 2026년에는 전체 인구 5명 중에서 1명은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 질환의 대표적인 치매도 급격히 많아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약 34만 명의 노인이 치매를 앓고 있고 2030년에는 약 100만 명으로 증가하여, 인구고령화에 따라 노인성치매 환자는 급속히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성 치매에 대한 이해와 정신치료와 더불어 새로운 차원의 치료로 대두되고 있는 미술을 매체로 활용한 활동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자는 서울시 S노인복지센터에서 장기 요양하는 치매노인 15명과 주간보호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23명중에서 동일한 치매 원인을 가지고 같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6명 중 내담자 A~E는 모두 여성이고 내담자 F는 남성이다. 각 내담자들은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앓고 있는 84세 내담자 A, 91세 내담자 B, 83세 내담자 C, 76세 내담자 D와 파킨슨병 치매를 앓고 있는 92세 내담자 E와 73세 내담자 F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 6명 중 동일한 치매유형을 가지고, 같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두 명씩 짝을 지어 각기 다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장면은 동영상으로 기록하고, 수업 도중 연구자와 나눈 대화 내용을 녹취 자료로 수집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수업 종료 후에는 평가서를 작성하고 자료로 이용하였다. 노인성치매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은 주 1회씩 2명의 대상자에게 문제행동 유형별로 짝을 지어 실시하였고 2011년 2월 22일부터 5월 24일까지 총 14회 진행하였다. 한 회기 당 약 45분씩 두 번으로 총 90분을 수업시간으로 하였고 연구자를 포함한 2명의 미술치료사가 수업을 이끌었다. 수업은 문제행동 감소를 목표로 하였고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알츠하이머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의 기억력 증진 프로그램과 환각 망상 완화 프로그램, 파킨슨병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의 손 떨림 완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앓고 있는 내담자 A, B, C, D중에서 기억력 장애가 심한 A, B와 환각, 망상이 심한 C, D에게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기억력 장애 완화 프로그램으로 '도시락 반찬 만들기'와 '나비 그림 퍼즐 맞추기', '선물 만들기' 수업을 통해 기억력 완화를 꾀하였고 환각, 망상 완화 프로그램으로는 '나만의 거울 만들기', '나에게 주는 상장 만들기', '알록달록 스테인드 글라스 만들기'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파킨슨병 치매를 앓고 있는 내담자 E, F를 위해서는 '꼬꼬닭 가족 만들기', '고향 그리기', '생일상 차리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전반적으로 내담자들은 수업에 적극적이고 의욕적으로 변화하였고 다음과 같은 문제행동의 변화를 가져왔다. 내담자 A는 사전 수업 때는 본인의 자식이 몇 명인지도 기억하지 못하였는데 수업 시간 중에 이름과 성별을 구분해냈다. 내담자 B는 "힘들다." 는 말을 자주 했고 수업시간에 책상 앞에 앉히기도 어려웠지만 어느새 의욕을 보이며 혼자 힘으로 작품을 완성했다. 내담자 C는 항상 치료실을 돌아다니며 멍한 눈으로 배회하고 실언을 하였는데 미술치료 수업 시간 동안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내담자 D는 수업시간 동안 연구자가 잦은 대화를 유도함으로써 실언이 조금 사라졌고, 배회 행동을 하지 않게 되었다. 내담자 E는 수업 시간 중 신체 떨림이 호전되었고 인지가 좋아 색감 배합이 뛰어났다. 마지막으로 내담자 F도 신체떨림이 수업시간에 호전되었고 여러 가지 색깔을 배합할 수 있게 되었다. 내담자 모두 문제행동 유형의 완화 현상을 보였고, 프로그램의 적용 시 평상시와는 다르게 집중력을 보이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치매노인에게 적합한 미술재료 혹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종류가 분류가 되어 있지 않아 관련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치매 유형에 따라 적용 가능한 미술치료와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치매노인의 장기간 관찰을 통하여 얻어진 문제행동을 토대로 본 연구의 효과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으며 조사 대상을 보다 다양한 치매질환에 적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치매의 중등도에 따라 분류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고 연구자가 실시한 지역복지센터뿐만 아니라 요양시설 및 가정에 있는 치매노인을 비교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Recently, with the aging population growing rapidly, geriatric illness is increasing so various social problems are rising. Especially, dementia is among 3 diseases of the 21st century with cancer and AIDS defined by WHO, receiving attention from the medical and welfare dimensions. Our country has the fastest speed of aging among OECD nations. And it’s expected that one of five men will be a senior citizen more than 65 in 2026. As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s, the representative of geriatric illness, dementia is also on the rapid increase. According to the data from Statistics Korea, in our country, about 3.4 hundred thousand old men are suffering from dementia, and expected to be about 1 million in 2030. So, it’s estimated that patients of senile dementia will increase rapidly with aging of population. Therefore, together with understanding of senile dementia and psycho therapy, it’s required to study activities using art as a medium rising as the therapy of the new dimension. Among 15 old men with dementia who are under care for a long time and 23 who are using day care at S Elderly Welfare Center in Seoul, this study was done for 6 men having the same cause of dementia and showing the same problem behavior. Among 6 subjects, clients A~E are all women and the client F is a man. And it’s composed of 84-year-old A, 91-year-old B, 83-year-old C, 76-year-old D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nd 92-year-old E, 73-year-old F with Dementia of Parkinson's disease. Among 6 subjects, paired two men with the same problem behavior and applied different art therapy programs. Recorded sessions with moving images, collected talks with researcher during session as the recorded data and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them. After completing a session, framed an evaluation sheet and used it as the data. As for the art therapy program for senile dementia, it was done through pairing of 6 subjects by the type of problem behaviors 1 time a week, and the total 14 times from 22nd Feb. to 24th, 2011. The session lasted about 45 minutes per one term. And 2 art therapists including the researcher directed sessions. The aim of the session was to decrease problem behaviors and the details are like following. The applied programs were ones for memory- increasing and ones for hallucination delusion-decreasing in patients of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nd programs for essential tremor-mitigating in patients of Dementia of Parkinson's disease. As for clients A, B, C, D suffering from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 different program was applied to A, B with severe memory disorder and C, D with severe hallucination delusion, As the programs for mitigating memory disorder, there were sessions of making lunch box dishes, putting butterfly-pictured puzzles and making a present. And, as the programs for mitigating hallucination delusion, making a mirror, medal and stained glass. Finally, composed programs of making a chicken family, drawing hometown, preparing birthday dishes for clients E, F suffering from Dementia of Parkinson's disease. Through programs above, changes like following were induced. Generally, clients came to be active and enthusiastic in sessions and changes of the problem behavior caused the outcome like following. The client A couldn’t remember how many children she has but identified their name and sex distinction. The client B always said she was painful and had a difficulty even in seating at her desk but completed the work by herself with highly motivated. The client C always walked about the treatment room, wandered with vacant eyes and made an improper remark but showed concentration on art therapy session. The client D didn’t make much slip of the tongue and wandered any more through frequent conversation with the researcher during session. The client E improved trembling of a body during session with outstanding mixing of colors resulted from good cognition. Finally, the client F also improved trembling of a body during session and came to use various colors. Every client showed mitigation of problem behavior types and unusually concentrated on the applied programs. The difficulty in composing of art therapy programs for old men with dementia was that there was a limitation to obtaining the related information because classification isn’t done in kinds of art materials or art therapy programs fitting for the aged with dementia. So, there exists a need for studying kinds of art therapy and programs applicable to the type of dementia. This study has a limit like following. It’s require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is study based on problem behaviors discovered through long-time observation on the aged with dementia and produce art therapy programs fitting for the various dementia diseases. In addition, there’s a need to study wit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everity of dementia and do a comparative study not only for the aged at the regional welfare center this study was done but for the aged with dementia at the care facilities and ho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