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Korean Study Abroad Generation's Reentry Shock and Transition

Title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Korean Study Abroad Generation's Reentry Shock and Transition
Other Titles
한국 귀국유학생들의 재진입 문화충격과 변화에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주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For several decades, Koreans have increasingly sojourned to overseas to pursue education. Yet, despite the growing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a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Korean study abroad returnees. As returnees are a valuable knowledge resource and can serve as major assets for a country in terms of business and overall national development, helping returnees to perform better in the workplace is essential. Many Korean returnees find coming back to their country more difficult that the culture shock experience upon moving to a host culture abroad. Reentry shock describes this often unanticipated range of incidents experience by returne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lived experiences of studying abroad and home country reentry among Korean returnees.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post-study abroad decisions and reentry shock experiences of Korea’s study abroad generation using critical incident technique. It also seeks for reentry adjustment strategies and companies’ strategies to relieve reentry shock from returnees’ points of view. Twenty-five participants who have studied abroad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for more than five years shared their experiences through face-to-face or video chatting interviews. Most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ir study abroad experience was positive for them, although some expressed negative aspects of study abroad experience. The categories found from study abroad experiences were, friends, degree from abroad, career advancement, language advancement, personal transformation, language barriers, home sickness, loneliness, costs, and racism. As far as decisions to return home, respondents mentioned four main reasons of returning home which are family, military service, job opportunities, and contribution to the home country.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subject of reentry-related challenges and adjustment strategies. The data consisted of recognized components from the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to identify consistent categories and themes. The findings identify common themes among returnees, the three main categories discovered from interview data were, general cultural difficulty, family difficulty and professional difficulty. Under general cultural difficulty category, two sub categories and five themes emerged: cultural issues- public etiquette, privacy, and time consciousness, environmental issues- physical space and pollution. Under family difficulty category, three main categories were created: adopting to changes, privacy, and expectations. Under professional difficulty category, two main categories, two sub categories, and eight themes transpired: upon job hunting, upon work situations cultural-specific issues- hierarchism, collectivism, privacy, flexibility, indirect verbal style, results-oriented style, saving face, and masculinity, and personal identity issues. The findings suggest that all respondents experienced at least some kinds of reentry culture shock. Some of these returnees have been able to adapt after experiencing moderate level of reentry culture shock, while others still report trouble adjusting back to the Korean environment. One of the most frequently recurring themes discovered from the interview data was the family, which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decision to come back home. Moreover, many returnees reported being surprised how dealing with family members was of the major sources of difficulty in the reentry shock experience. Reentry adjustment strategies stated by respondents included: following Korean norms, recognizing other people’s points of view, making friends at work, making specific efforts to communicate with people, having a positive attitude, having a reasonable expectation and considering other Koreans as foreigners. Companies’ strategies to relieve reentry shock suggested by respondents included: considering reentry shock as a personal problem, providing a diversity workshop, creating a mentor program, and formulating a flexible work schedule. The findings illustrate the challenges of coming home and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entry preparation and support programs to facilitate returnees’ readjustment to the Korean living and professional environment. Returnees have valuable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business competitiveness and for the general society’s development. Pre-departure and post-departure programs would be helpful for Korean returnees to learn about potential difficulties regarding both their host country adaptation process in the host country and reentry adaptation in the home culture. This study also adds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providing a detailed description to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and returning to Korea.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 사회에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는 해외유학생들의 수적 증가이다. 이렇게 해외에서 공부하고 있는 한국 유학생들의 꾸준한 수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온 귀국 학생들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특히 외국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한국 유학생들의 수는 지난 수십 년간 계속해서 증가해왔다. 귀국 유학생들은 가치 있는 지식 자원이며. 회사 경쟁력 및 전반적인 국가 발전의 입장에서 중요한 자산이다. 그러므로 이런 귀국 유학생들이 한국에 돌아왔을 때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학생들의 유학경험과 귀국 후의 생활 그리고 귀국 후 겪을 수 있는 재진입 충격 현상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재진입 충격에 대한 대처법을 제안하고, 유학생 출신 직원들의 재진입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업의 해결책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중요 사건 기록법(CIT)를 이용하여 한국 조기 유학세대의 유학 후 결정과 귀국 후 재진입 충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영어권 국가에서 5년 이상 유학생활을 한25명의 참가자들이 일대일 대면 또는 비디오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유학경험을 공유하였고 자신이 경험한 역문화적 충격과 그러한 경험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유학 생활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나 몇몇 참가자들은 부정적인 면도 제시하였다. 유학생활의 긍정적인 면들로는 여러 나라에서 온 친구들, 외국 학위 취득, 직장에서의 빠른 승진, 긍정적인 개인적 변화, 언어 습득 이 있었고, 부정적인 면들로는 언어의 장벽, 유학 비용 문제, 향수병, 외로움. 인종차별 이 있었다. 참가자들이 귀국한 이유로는 가족, 군대문제, 취업 전망, 모국의 발전을 위해 개인적인 지원 이 있었다. 귀국 관련 어려움과 귀국 시 적응전략 주제에 대해서는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인터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인터뷰를 통해 알아 본 요소들로 구성되었고 일관된 범주 및 주제들을 파악하였다. 인터뷰 데이터를 통해 발견한 3개의 주요 범주들은 일반적인 문화적 어려움, 가족과의 갈등, 직업문제 등이었다. 일반적인 문화적 어려움에는 공중예절, 사생활, 시간 개념, 물리적 공간, 환경오염의 주제들이 포함되었고, 가족간의 갈등은 변화에의 적응, 사생활, 기대치에 관한 이슈들이 나타났다. 직업문제에는 구직할 때와 직장 안에서 경험들로 나눠졌고, 또한 이 범주들에는 위계주의, 집단주의. 사생활, 융통성, 간접적인 언어형태, 결과중심주의, 체면, 남성성등의 주제들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모든 참가자들이 귀국 후 최소한 몇몇 종류의 재진입 충격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들 중 일부는 보통 수준의 재진입 충격을 경험한 후 한국 생활에 적응할 수 있었고, 그렇지 않은 일부는 여전히 한국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인터뷰를 통해 파악된 가장 빈번하게 재발되는 역문화적 충격 주제 중 하나는 참가자들이 귀국하기로 결정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던 가족이었다. 게다가 많은 참가자들은 귀국 후 문화적 충격의 주요 원인으로 가족 구성원들과의 생각 이상으로 어려운 대면을 꼽았다. 참가자들이 말한 귀국 후 적응전략은 한국식 기준에 따르기,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기, 직장에서 친구관계 형성하기,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해 노력하기, 긍정적인 태도 갖기, 기대치를 낮추고 다른 한국인들을 외국인으로 간주하기 등이었다. 참가자들이 제시한 기업측에서의 해결책으로는 재진입 충격을 개인적인 문제로 간주하기, 귀국유학생들이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 개발, 멘토시스템 도입, 보다 유연성 있는 회사환경 만들기 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학생들이 귀국 후 한국 사회에서 대면하게 되는 어려움을 보여주며, 동시에 한국식 생활방식과 직장환경에 그들의 재적응 촉진을 위한 준비와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해외 유학을 경험한 귀국 유학생들의 지식, 능력 그리고 경험은 한국 조직들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전반적인 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사전 교육과 사후 프로그램이 시급하며, 이를 통해 귀국 유학생들이 한국의 문화와 적응 절차에 대한 잠재적 어려움들을 배우고 보다 쉽게 한국 사회에 적응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