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디자인 수업에서 PBL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디자인 수업에서 PBL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PBL) in Design Lessons and its effect on creative expression: Targeted f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ter works
Authors
오진석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향숙
Abstract
For the last few years, as the world went through fast changes in society, educational method also has been changed in a dramatic way. Korea also had different values in education in different era in its history. The country earned its fame of being a leading nation in IT Industry, changing lives of many, after a fast development of high-tech devices and the country's economy. And now the need for a change in educational system has been recognized. 21st century, so called a knowledge-bas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constantly creat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communicational technology, they are expanding in immense velocity. Therefore, storing up vast amount of information in an old way became impossible and somewhat useless. Now the emphasis is on being able to solve various problems and create new ways using such information.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has been shifted from fostering artists to become outstanding performers to nurturing their capacity to seek beauty from this speedy life and con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its values and share them with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 on people who are full of creative expression and artistic sentiment by providing education with diverse experiences in life. To fulfill its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we can look into ‘Problem Based Learning(PBL)’. The structure of PBL is aimed to provide students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needs so that they can choose, work and use the information themselves. It has attracted lots of countries to apply this method of learning. Not only the PBL motivates students by suggesting real life problems but also it extends critical thinking,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midst of studying given information. This explains how much potential it has as an alternative method to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as it promotes realistic problem solving. As we enter into an era of Design, rather than the technology, customers started to put design as their first priority in choosing products. These designs are applied to the whole daily environment. It is now necessary to foster creative people who possess the design mind-set to adapt to this circumstance. Lots of countries over the world are providing design education as a trend which the students can develop their way of thinking since young. Especially elementary schools are best suited for PBL Model to teach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situ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to find out from 6th grade design lessons how the PBL Model will effect on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To reach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to research PBL-applicable chapters and 6th grade students' development process and their interes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ganizing the contents to improve their creative expression. Questionaries were taken by Jo Yeon Soon, from her procedure of question development of PBL Model in 2006. A lesson that adopted the PBL Model and the one with control group were both carried out for two weeks in 2010 February at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nam area with 56 students in two 6th grade classes.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research,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tool was referred to Yang Yoon Jung's 'the Elementary Art and Adumbration evaluation tool' that she established in 2001. Result of the lessons was analyzed by these methods and 'One 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data manage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Lesson 'Swine flu prevention Poster', outcomes from PBL Model surpassed than those of traditional group in terms of creativity within such factors as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al methods, formative element and principle, materials and tool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BL Model has given a positive effect on 6th grade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Therefore, it has a meaning of being the first step to address the need to expand the use of this model in elementary arts education.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사회의 빠른 변화에 따라 교육의 방법도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시대에 따라 교육과정에 적용되는 이론도 각기 달랐고, 그에 따라 교육의 목적과 중점도 변화했다. 첨단기기들이 발달하며 ‘IT 강국 코리아’라는 슬로건을 내세울 정도로 우리나라는 빠르게 발전했고, 그로 인해 사람들의 삶도 많이 달라졌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게 교육의 방식도 다양하게 변화해야 한다. 지식기반 사회, 정보화 사회로 불리는 21세기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끊임없이 창출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보급과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지식과 기술의 팽창이 놀라운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지식과 정보를 기존의 방식대로 소유하려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무모한일이 되었다. 이제는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여러 가지 해결책을 제시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졌다. 미술교육의 목표도 훌륭한 기능인으로서의 미술가를 양성하는 것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를 살아가며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것의 가치를 이해하며, 더 나아가 그것을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생활에서 가능한 여러 가지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을 표현함으로써 창의적 표현력과 미적 감수성을 지닌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은 새로운 방향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하며, 그 방법 중 하나로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PBL)을 들 수 있다. PBL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중심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PBL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PBL은 수업시작 시 실생활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해줌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탐구해 가는 과정 속에서 비판적 사고력, 협동심,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학습형태이다.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PBL은 전통적인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적 잠재력이 매우 큰 학습방법이다. ‘디자인의 시대’라고 불리는 현대사회에서는 기술력이 평준화되면서 소비자들은 디자인을 선택의 기준으로 최우선시 하고 있어, 디자인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이러한 디자인은 생활환경 전반에 적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해서 살아갈 수 있도록 디자인적인 사고를 가진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를 위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어렸을 때부터 디자인적 사고에 중점을 둔 디자인 교육을 실시하는 추세이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디자인 교육은 실생활과 관련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방법으로 PBL 모형과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디자인 수업에 PBL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PBL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단원을 연구하고, 초등학교 6학년의 발달단계와 흥미를 고려하여 창의적 표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용을 구성하여 계획하였다. 조연순(2006)이 제시한 PBL 모형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개발하고, 강인애(2007)의 문제개발 과정에 따라 문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PBL 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과 전통적인 방법의 디자인 수업을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 6학년 2학급 총 56명을 대상으로 2010년 2월 2주간 진행하였다. 수업 후,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는 양윤정(2001)의 초등 미술과 예시평가도구를 참고하여 제작한 것으로, 이것으로 수업 결과물을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일원다변량교차분석(One 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모형을 적용한 ‘신종인플루엔자 예방 포스터 꾸미기’ 수업을 통해 나온 결과물이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를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BL 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BL 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미술교육 현장에서 PBL의 활용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