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중학교 3학년 미술과 다문화적 접근 수업사례

Title
중학교 3학년 미술과 다문화적 접근 수업사례
Other Titles
A Study on Multicultural Approach in the Art Class of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Cooperative(Coop Coop Model) Learning
Authors
임보련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교통수단 및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세계는 국경을 초월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 분야에서 개인 및 국가 간 무한 경쟁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호 의존성과 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이른바 세계화의 시대에 살게 되었다. 다문화사회는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사회인데, 자국의 문화 중심적 사고방식이 존재할 경우, 자신의 문화와 상이한 문화 집단에 대해 편견과 고정관념을 형성하고, 나아가 이러한 편견과 고정관념에 근거한 갈등과 차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단일 민족임을 자랑하며 전통 문화를 유지하고 계승 발전시켜 왔던 우리 사회와 학교가 최근 몇 년 동안 다른 나라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게 되면서 다문화 교육이라는 새로운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적응을 돕고 일반 학생들도 이들과 더불어 서로를 존중하며 살아갈 수 있는 학교 환경, 특히 교수·학습 지원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한 미술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미술 문화에 대한 지식,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간에 대한 이해, 미술 문화 비교 체험은 물론, 위기에 처해 있는 문화적 비주류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가지게 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심어줄 수 있다고 본다. 미술교육은 미술이 지닌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학생들로 하여금 다문화적인 관점을 가지게 하기에 충분한 교과라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기초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수업의 효용성을 입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오은순(2008)이 제시한 다문화교육의 목적에서 개념을 도출하여 다문화적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에서 연구한 ‘국제이해 교육의 실태와 국제 비교 연구’(1995)와 김현이(2006), 정경미(2009), 박여울(2010)의 설문 내용을 참고로 개발한 것으로 중학교 3학년 미술과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다문화 의식을 측정하였으며,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기평가를 위한 평가도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성취기준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하는 E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75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37명, 통제집단 38으로 구분한 후 각 집단에 대해 다문화적 수업을 적용한 수업과 전통적인 미술수업을 통해 8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문화의식 검사지를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동질한 수준을 나타내 동질 집단임을 증명하였고, 실험 처치하여 얻은 결과 중 통계적 처리가 가능한 수집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독립표본 t-test,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실기 결과물․수업활동지․학습자의 기술 평가 자료는 질적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토대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적 접근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다문화와 관련한 다문화의 자아 정체성과 문화 다양성에서 높은 증진을 보였다. 둘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 ’발표 및 토론‘의 5부분의 7문항으로 나누어 질적 서술 분석한 결과, 다문화적 수업 접근을 통해 제작된 교수·학습 작품 결과물인 세계문화지도는 통제집단에 비해 ’표현능력‘인 ’주제선정‘ 능력 및 ’표현력‘에 있어서 높은 평가점수를 받았다. 셋째, 다문화적 접근 수업을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 평가 사후 차이 검증에서 실험집단의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사후 차이 검증에서 지기 평가의 하위영역인 방법측면, 제작측면, 토론측면에서 모두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평가 결과를 보여주었다. 넷째, 다문화적 접근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의 사후 수업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전제적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Coop Coop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 수업은 학습자의 문화적 자아 정체성과 문화 다양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적 수업이 학습자의 다문화적 의식인 자아 정체성과 문화 다양성을 함양하는데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검증했다는 의의가 있으며 중학교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다.;With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ICT development, the world transcending the border lives in the whole social area of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mong the personal and national mega competition society, and in the global time when the need of mutual dependence and cooperation are increased.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composed by culturally heterogeneous members, and in case of national cultural way of thinking, they form the prejudice and stereotype of the different cultural group from them, and their complication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is prejudice or stereotype. As our society and school live together with people from the other country which has been proud of being ethically homogeneous race and maintained the traditional culture inherited they faced new nee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 in this situation can not provide the school environment, specially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with which they could help the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s adaptation and even the general students' could respect each other with them. The art education that reflects multicultural variety is thought that it can not only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knowledge of art culture, human understanding with the other cultural background, the comparative experience of art culture, but also to make cultural non-mainstream students in crisis be self-confident with cultural identity. The art education is a good text for students to have multicultural view with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rt. Accordingly, this research intends to develop th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o prove its efficacy of class. For this, first, we extracted the concept from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esented by Oh Eun Soon(2008), and designed the multicultural class model. It was developed in basis of ‘A Study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Status and International Comparison’(1995) studied by the Korean Commission of UNESCO, the measurement instrument and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of Kim Hyeon I(2006), Jeong Kyung Mi(2009), Park Yeo Wool(2010), which made its corrective complementation to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s art level and measured th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nd the assessment tool for the practical evalu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basis of ‘the 2007th Middle School Achievement Target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Corrective Curriculum’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earch was made to 75 students at the 3rd grade of E middle school in Gangnamgu, Seoul, which was divided in 37 experimental groups and 38 control group to be performed over 8 sessions through the multicultural class and traditional art class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having performed the questionaire of multicultural consciousness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wo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showing the same level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proving to be the homogeneity group, an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experimented results for statistical disposition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perform the indepticent sample t-test, paired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practical result․the paper of activities of the class․the learner's quality evaluation data that can not b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qualitative analysis in order to extract the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ing.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multicultural access class has the higher multicultural self-identity and cultural variety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an the control group with traditional class. Second, as a result by qualitative description analysis divided in 7 questions of 5 parts of ’topic representation‘, ’expressive method‘, ’plastic element and principle‘, ’expressive material and tool‘, ’presentation and discussion‘, the world culture map that is the result of teaching and learning work produced by multicultural class access received the higher evaluation points to 'topic spotting' skill and 'expression' that is 'expressive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result of experimental group is appeared higher in the self-evaluation difference verifi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 multicultural access class. It showed the higher evaluation resul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ubarea of self-evaluation of method, production, discussion in the difference verified of two groups. Fourth, as a result of inquiring into the class satisfaction of experimental group that processes the multicultural access class, the satisfaction of whole class was highly appeared. In conclusion, the multicultural access class that based on Coop Coop of this research showed the positive result to improve the learner's cultural self-identity and cultural variety. Therefore,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of proving that the multicultural class has the educative efficiency to cultivate the self-identity and cultural variety that is the learner'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nd as the basic data that can be utilized 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