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문맥 유무 및 관용어 유형에 따른 관용어 이해능력 비교

Title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문맥 유무 및 관용어 유형에 따른 관용어 이해능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ofidiom comprehensionability ofschool-aged poorcomprehendersandtypicallydeveloping peers : the role of context,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Authors
현혜숙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읽기능력은 학령기 아동이 기초학습과 다양한 정보를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소이다.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단어재인이 가능하더라도 글을 읽으면서 바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고, 문자적 언어처리과정 뿐 아니라 관용어와 같은 비문자적 언어처리과정에서도 심각한 결함을 보인다(Nippod, 1991; Ezell & Goldstein, 1991; Qualls et al. 2004). 관용어는 교실 환경에서는 물론 또래관계나 책에서 구어 또는 문어의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그런데 관용어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비유적 의미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상위언어적인 지식을 요구하며 어린 아동이나 언어발달장애 아동에게는 특히 어려운 영역이다. 본 연구는 관용어 이해과제에서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문맥 추론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관용어 유형별로 이해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오답의 오류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관용어 이해능력의 특성을 파악해 효율적인 언어 중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5학년 읽기이해부진 아동 20명과 학년과 생활연령, 성별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용어 이해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과제는 관용어만 제시하고 4개의 보기 중에 정답을 고르는 독립과제와 관용어의 뜻을 유추할 수 있는 문맥 속에 관용어를 배치한 문맥과제 등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였다. 관용어는 투명도와 친숙도에 따라서 투명하고 친숙한 관용어, 투명하고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 불투명하고 친숙한 관용어, 불투명하고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4개의 보기는 각각 관용어 정답, 관용어의 어휘가 포함된 문자적 오답, 문맥과 관련된 오답, 문맥과 관련 없는 오답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과제제시 방법 및 관용어의 투명도 또는 친숙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3요인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과제제시 방법 및 투명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점수가 일반 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관용어의 투명도에 따라서는 관용어의 이해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투명한 관용어의 점수가 높았던 반면에 일반 아동은 불투명한 관용어의 점수가 더 높아 투명도와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과제제시 방법 및 친숙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능력에서도 일반 아동의 점수가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집단 내에서는 친숙한 관용어가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한편 문맥과제에서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친숙하지 않은 관용어의 점수가 일반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아 문맥으로부터 관용어의 의미를 추론해내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두 집단의 오답 오류 유형을 비교한 결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오류 빈도가 가장 높아서 비유 언어를 이해할 때 글자 그대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일반 아동은 문맥이 주어진 상황에서 관용어의 정확한 뜻을 파악하지 못할지라도 문맥과 관련된 오류 빈도가 가장 높아서 문맥을 활용하는 능력이 발달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읽기이해부진 아동에게 효율적인 비유 언어 중재를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관용어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관용어가 사용된 문맥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도록 추론능력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어휘력과 구문이해력 등 언어 전반적인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ability of idiom comprehension in school-aged poor comprehen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peers.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context,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on comprehension of 24 idioms. In the 1st task, idiomatic phrases were presented out of context. In the 2nd task, they were embedded in supportive story contexts. Two groups of 4- and 5-grad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20 poor comprehenders and their grade-, age-, gender-matched typically developing pee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ased on the two tasks, 3-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Idiom comprehens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or comprehender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D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context between two groups. TD made good use of context but poor comprehenders did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ransparency and group: that is poor comprehenders scored higher in transparent idioms but TD scored higher in opaque idioms. Meanwhile in terms of transpar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group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f idiom familiarity within two groups: it is easier for both groups to comprehend the familiar idioms than unfamiliar on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amiliarity, group and context. In context task, poor comprehenders' score of unfamiliar idio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D, that is, poor comprehenders are impaired in their ability to select appropriate cues from context and use these to derive the meaning of unfamiliar and opaque idioms. Fourth, poor comprehenders' percentage of literal interpretation errors in isolation task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D. It shows that poor comprehenders have a tendency to interpret idiom word by word.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school-aged poor comprehenders have inferior ability in idiom comprehension and do not make full use of contextual cu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en SLP intervene poor comprehenders' figurative language, it needs to consider idiom familiarity and teach inferencing skill from context. And it needs to expand their vocabulary size, sentence structure comprehension skill and pragmatic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