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1 Download: 0

학습 유형에 따른 명시적·암시적 어휘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습 유형에 따른 명시적·암시적 어휘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along with Types of Learning on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Ability and Motivation
Authors
이효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명시적 어휘 학습과 과업 활동을 통한 암시적 어휘 학습이 학습자들의 목표 어휘 습득 및 학습자들의 정의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와 동시에 학습 집단을 개별 집단과 짝 활동을 하는 협동 집단으로 나누어 어휘 학습 방법과 더불어 학습 유형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138명을 대상으로 어휘 활동을 20분씩 5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네 집단(개별 명시적 어휘 학습, 협동 명시적 어휘 학습, 개별 암시적 어휘 학습, 협동 암시적 어휘 학습)으로 구성되어 동영상을 시청한 뒤 목표 어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였다. 명시적 집단은 연습문제를 통해 어휘를 학습하였고, 암시적 집단은 어휘의 의미에 대한 설명 없이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목표 어휘를 사용해야 했다. 실험 실시 후 사후 어휘 평가와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 정도와 어휘 학습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의견을 들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시적 어휘 학습이 암시적 어휘 학습보다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명시적 어휘 학습 집단은 암시적 어휘 학습 집단보다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더 높았으며 집단 간 어휘 습득 향상 정도에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들과 같이 영어 수준이 높지 않은 경우, 명시적 어휘 학습이 어휘 학습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어휘 학습 방법과 협동 학습 여부를 보여주는 학습 유형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없었고, 협동 학습 여부에 따른 어휘 학습 방법의 효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협동 학습이 어휘 학습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보여준다. 셋째, 어휘 영역별 사후 검사 비교에서 집단 간 어휘 지식 습득 향상 정도를 비교해 보면, 어휘 이해 지식에서는 학습 방법과 학습 유형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국어 번역 영역에서는 암시적인 어휘 학습이 개별적으로 실시될 경우, 어휘 점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어휘 의미 선택 영역에서는 협동 명시적 어휘 학습 집단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어휘 표현 지식에서는 학습 방법과 학습 유형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어휘 이해 지식과 어휘 표현 지식에서 영역별로 효과적인 어휘 학습방법과 학습 유형이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설문 조사를 통한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나 정의적 반응에서는 암시적 어휘 학습 집단이 명시적 어휘 학습 집단에 비해 어휘 학습의 흥미도와 영어에 대한 두려움 감소, 동기 측면에서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어휘를 정확히 모르는 경우, 과업 수행이 어렵고, 교사에게 도움을 지속적으로 청하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협동 학습 집단의 경우 개별 집단에 비해 심리적 안정감, 학습 책임감 등을 긍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보였지만 수업이 산만해 질 수 있고 짝 의존도가 높아져 부정적인 반응도 보여 적절한 사용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연구의 결과가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어휘의 의미를 이해하고 학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명시적 어휘 학습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학습자들이 어휘를 유의미한 방식으로 연습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어휘 학습에 있어 적절하게 협동 학습을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이고 의사소통 상황에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어휘 활동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어휘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는 암시적 어휘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명시적인 어휘 학습을 통해 기본 어휘를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명시적 학습 방법과 암시적 학습 방법을 균형 있게 연계하여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along with the effects of types of learning, whether individually or collaboratively participated, on the vocabulary ability and language learning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138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20-minute experiments conducted five tim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group doing their work individually,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group doing their work collaboratively,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group doing their work individually,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group doing their work collaboratively. Each time after watching videos, explicit groups practiced target vocabulary using explanation on the meanings of vocabulary while implicit groups did a couple of tasks requiring them to use the target vocabulary without explanation on the meanings of the vocabulary.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and post-experimental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every groups to examine the effects of implicit and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done individually or collaboratively on vocabulary acquisi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in vocabulary acquisition. The explicit groups scored much higher on post-test measuring vocabulary knowledge than implicit group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vocabulary learning ways. For low level students like the participants,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way can be effective. Secondl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types of learn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This shows that collaborative learning does not have much influence on vocabulary acquisition. Thirdly,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types of learning in tests which measured receptive vocabulary. In a test that the participants gave the Korean translation of target words,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group doing their work individually scored the lowest whereas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group doing their work collaboratively scored high in multiple choice questions for finding English definition of target words. On the other hand, in the tests for accessing productive vocabular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types of learning. Therefore, the effective ways of vocabulary learning and types of learning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In addition, implicit groups replie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helped them to feel more positive about the vocabulary learning and decreased fear of English. However, they also replied that it was hard for them to complete tasks requiring the use of the vocabulary they didn't know and to ask the teacher the meaning of each vocabulary in it. Collaborative groups felt affectively safe and responsibility for working with their partners, but they easily distracted by interaction and too much dependence on partners.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implement a way to use collaborative learning in an appropriate way which makes students participate more active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It would be stimulated to implement more meaningful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and proper use of collaborative learning along with plenty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vocabulary by using it in communicative circumstances. Moreover, further research may focus on the class which gives a balance on using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