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무용 수업에서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 수업에서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on Dance Class
Authors
김율리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무용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가 자신의 신체를 인지하고 동작의 오차를 수정해내는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것이 바로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이다.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행동을 기록하고 관찰하는 과정 중에 자신에 대한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도록 유발하는 기법으로써, 사람들은 이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보다 나은 목표를 설정하고 보다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의 기본원리이자 효과이다. 자신의 움직임을 명확히 인지하고 보다 나은 목표를 위해 끊임없이 도전해야하는 무용학습에 있어서도 이 같은 원리와 과정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실제로 실기 학습 현장에서는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반해 무용분야에서의 비디오 자기관찰에 대한 연구들은 그 수나 내용면에서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기존의 연구들 또한 학습과정 전반을 폭넓게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해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의 과정 중 발생하는 모든 현상들에 대해 다각적이고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그 효과에 관하여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 지역에 위치하는 S무용학원 발레수업 수강생 중 무용경력 2년 이상~3년 이하인 초등학생 2명(10세, 13세)과 중학생 1명(14세)을 대상으로 하여 총 8차시의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자기평가기입, 심층면담, 문헌연구 등의 자료수집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은 동작학습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학생들은 비디오 자기관찰을 통해 정확성과 관련된 자신의 문제점을 신속히 파악해낼 수 있었지만 수행의 향상에 있어서는 동작의 성격에 따라 제한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력에 있어서는 비교적 즉각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리듬감에 있어서는 정확한 박자와 선율을 신속히 인지하였고, 공간구성능력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의 초기에는 분습법을 후기에는 전습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과제 특성에 따라 빠르고 복잡한 동작의 경우 분습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동료에 대한 평가를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그들이 보다 강한성취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정확하고 객관적인 피드백 자료로서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유용한 학습기재로 활용되며 동작학습의 효율성을 높였다. 반면 학생들의 관찰능력에 대한 미숙함과 한계를 보완해주기 위해서는 교사의 시기적절한 언어적 피드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은 신체인지능력 및 자아개념과 관련해 학생들의 자기관찰능력, 신체인지능력, 자기평가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강한 성취동기를 유발시켜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였다. 셋째, 학습자 개인의 특성과 관련해 관찰력, 인지력, 집중력, 무용실력 등 능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능력은 학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차원에서 높은 성취동기를 가질수록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 흥미도와 관련해 학생들은 일반 수업보다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을 더욱 흥미로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초기에는 비디오를 통해 자신의 수행을 보는 것 자체에 흥미를 가졌고, 수업의 후기로 갈수록 자신이 발전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하는 것에서 즐거움과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In learning dance, it is crucial that students remain aware of their bodies and constantly adjust incorrect movements. However, this process is often imperfect because of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or the learning environment. A useful method for supplementing these imperfections is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enables students to take a new perspective on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recording and viewing their actions. The basic principle and goal underlying video self-observation is that this process stimulates people to set higher goals for their actions and to actually correct their actions. It is easily argued that such principles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dance or sports education, in which students must constantly be aware of their movements and to challenge themselves with ever-higher goals. As such,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is actually in use on practical training sites. However, the amount of research done on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as applied to dance is remarkably small in terms of the number or content of studies. Previous studies remain insufficient to comprehensively explain the entir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effects of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on dance in a comprehensive and precise manner by conducting multifaceted and detailed analyses of all of the phenomena that occur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three ballet students at Seoul's "S Dance School," all with between 2~3 years of dance experience. Two of th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13 years old respectively), and one subject was in junior high school (14 years old). These students underwent 8 sessions of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and were analyzed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self-evaluation, detailed interviews, and text research.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affected the effectiveness of movement learning. Students were able to quickly identify their incorrect movements but showed limited abilities in improving their actual movements. Their expressive abilities showed a much more rapid and instant change and their rhythmic abilities improved to more quickly learn accurate beats and melodies, but their spatial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re were different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movement learning according to the time of learning and the type of task being required. It is more useful to use part-learning methods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and to use whole-learning methods in the later stages. It is also more effective to use part-learning methods for faster and more complicated movements. Second,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was shown to improve students' self-observation abilities, body-awareness abilities, and self-evaluation abilities with respect to body awareness and the conception self. This helps students to learn on self-led move st, to motes a high achievement, and has overall , active effect on learning. Third,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student,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is most effective in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observational, perceptive, concentrative, and dance skills, as well as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achievement motivation. Fourth, relative to interest in class, it was shown that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than in regular classes. In the beginning stages, students showed interest in seeing themselves on video; in the later stages, they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while watching themselves improve. Video self-observation learning also naturally encouraged evaluations of other students and thus led to a stronger sense of motivation, and was useful not only to students but also to teachers as an accurate and objective feedback tool. It was concluded that in order to supplement students' lacking abilities in observation and evaluation, teachers must give spoken feedback at appropriate ti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