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신데렐라」에 나타난 안무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신데렐라」에 나타난 안무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in Cinderella : With a Focus on Maguy Marin and Jean Christophe Maillot
Authors
서진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Contemporary art has achieved rapid growth on the basis of the highly variable and complex cultural environment. Amid this trend of times, ballet art has solidified its footing as a new genre called 'contemporary ballet' based on highly creative and diverse dancing techniques bolstered by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expression and the increased possibilities of realization on the stage, shifting away from traditional classical ballet. Many contemporary dancers are making incessant attempts to expand the expressivity even further through their creative reinterpretation unique to them, going beyond the rigid and standardized expression. And they gained popularity from the public who are charmed with their novel ideas and distinctive presentation as many parody works have created which represent the reinterpretation of classical ballet such as Swan Lake or Gisell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inderella(2002) of Maguy Marin and Cinderella(2007) of Jean Christophe Maillot - which are recognized for high excellence in adapting classical ballet into contemporary ballet - from the perspective of ballet development, character description, use of music, structure of motion, costume, and stage a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Maguy Marin presented the images like fairy tales from the standpoint of children in dance development and character description, like depicting the external aspect of all characters in the form of half doll and half human, which is contrasted to the characters in the previous Cinderella works. In addition, various symbolic presentations were showcased, like including the characters and new scenes that do not appear in the original work. By contrast, the Cinderella of Jean Christophe Maillot presents the dead biological mother of Cinderella as fairy, rather than putting the step-mother and sister-in-law at the center of plot, which changes the patters of the drama. And the mysticity was increased as Cinderella treads on the gold powder on bare feet, rather than putting on glass shoes. Second, in relation to the use of music and motion structure, Maguy Marin did not use some part of Prokofiev's music, but inserted babbles of baby, incomprehensible imitative words, electronic sounds, etc, and utilized the recorded sound, not the orchestra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motion structure, it ha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drama as routine music and mimes were dominating the work, not the motion and movement of dance, which suggests its differentiation from other contemporary ballet works. In contrast to that, the ballet work of Jean Christophe Maillot sometimes uses two music in a complex way depending on the scene, and inserted the music 'Lieutenant Kije' composed by Prokofiev in 1933 which is not the music of Cinderella, and scenes that do not appear in original work were used. From the perspective of motion structure, comic motions and mimes were used which maintain the technique of ballet and technique while keeping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intact, enhancing the level of work based on the diversified and differentiated techniques and forms which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motion and movement. The work of Jean Christophe Maillot had the music and motion consistent in an overall sense, creating an impression of unity. Third, in the work of Maguy Marin, all characters wear masks and put on costume made from sponge, depicting the characters dull-witted by usurping the physical elements of characters. Such depictions instill the intensive image of fairy tale though there is no shift to the stage that embodied the house of doll. By contrast, Jean Christophe Maillot highlighted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with ornaments or colors, making it possible for the audience to get a grip on their personalities simply by looking at their costume, and the stage decoration was dominated by very simple white colors. As seen before, the comparison of Cinderella of Maguy Marin and Cinderella of Jean Christophe Maillot suggested that they reinterpreted the work from their distinctive and unique perspective to highlight the logical plausibility and recreate the work into the ballet with contemporary sensibility. Furthermore, their works increased the expressivity and feasibility through the adapta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genres amid the trend of postmodernism, paving the way for the artistic development of ballet which had been somewhat sluggish before. Like that, it is necessary to move ahead with the creative and experimental research and dance activities continuously which suit the cultural context and meet the social requirement and the sensibility of the contemporary time if the classic works of ballet are to be reinterpreted and developed further with new sensibility, and those efforts will help increase the interest in the original work and expand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현 시대의 예술은 매우 가변적이며 복합적인 문화적 환경을 바탕으로 급격한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발레예술은 표현 범위의 확대와 무대실현 가능성의 증진으로 전통적인 고전발레에서 벗어나 매우 창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안무기법을 개발함으로서 현대발레라는 새로운 장르로서의 그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 이에 많은 현대 안무가들은 고전발레의 경직되고 규격화된 표현에서 벗어나 그들만의 독창적인 재해석을 통해 움직임의 표현성을 더욱 확대시키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백조의 호수」나「지젤」등과 같은 고전발레는 여러 현대 안무가들에 의해 재해석되어 작품의 소재나 작가의 의도를 익살스럽게 표현하거나 원작의 요소를 차용하는 패러디 화된 작품들로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고, 이러한 작품들은 신선하고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연출기법으로 관객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전발레를 현대발레로 각색하여 작품성을 인정받은 바 있는 마기 마랭의「신데렐라(2002)」와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의「신데렐라(2007)」를 작품전개 및 인물묘사, 음악 및 움직임, 의상 및 무대미술로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전개 및 인물묘사에 있어서 마기 마랭은 어린이의 관점에서 연출하여 모든 등장인물들의 외형적인 면을 인형과 사람의 반반형태로 묘사하는 등 동화적인 이미지를 그려내었고, 원작에는 없었던 등장인물과 새로운 장면을 포함시키는 등 다양하고 상징적인 연출로 작품을 전개하였다. 이에 반해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는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계모와 새 언니들의 비중을 줄이고 그 대신 신데렐라의 죽은 생모를 요정으로 등장하게 하여 작품전체를 이끌어 나가도록 새롭게 각색하여 극적 상황묘사와 줄거리 전개 등에 변화를 주었으며, 신데렐라의 상징인 유리 구두를 없애고 맨발에 금가루를 묻히게 함으로써 원작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신비감을 한층 더 조성하였다. 둘째, 음악 및 움직임에 있어서 마기 마랭은 프로코피예프의 음악의 일부분을 삭제하여 아기들의 옹알거림, 알 수 없는 의성어, 전자음 등을 삽입함으로써 실제 공연에서도 오케스트라연주가 아닌 녹음된 음악을 사용하였다. 움직임에 있어서는 무용동작이 아닌 일상적 움직임을 개발하여 의미전달을 위해 사용하거나 마임위주의 형태로 작품을 이끌어나감으로서 극적 성향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는 장면에 따라「신데렐라」음악과 또 다른 음악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때도 있었는데, 그것은 프로코피예프가 1933년에 작곡한 교향곡 중「키제 중위」로서 원작에서는 나오지 않았던 장면에서 이 곡을 사용하였다. 움직임에 있어서는 발레와 현대무용 테크닉을 유지하면서 각 캐릭터의 성격에 코믹적인 움직임과 해학적인 마임을 더하거나, 고난도의 무용동작과 함께 불균형적 , 파괴적 특질을 살리는 움직임 등을 사용함으로서 작품의 수준을 높였으며, 다양한 형식과 구성을 통해 드러나는 동작들은 전반적으로 음악과 잘 조화를 이룸으로서 작품의 일체감을 더 해주었다. 셋째, 의상 및 무대미술 면에 있어서 마기 마랭은 모든 등장인물의 얼굴에 가면을 씌우고 스펀지로 제작된 입체적 의상을 입혀 등장인물의 신체적 요소를 가리는 등, 그들을 둔탁한 느낌의 이미지로 묘사하였고, 인형의 집을 형상화 한 무대장치는 전환이 없지만 그 자체만으로 매우 동화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도록 연출하였다. 이에 반해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는 적합한 장식이나 색상으로 포인트를 주어 의상만으로도 등장인물의 성격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도록 묘사하였으며 무대는 전반적으로 매우 단순한 화이트 색상의 분위기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연출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마기 마랭과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의「신데렐라」는 두 안무가의 차별화된 안무 방법으로 그들만의 독특한 관점에서 작품을 재해석하여 논리적인 설득력이 돋보이도록 연출 하였고, 고전에 새로운 현대적 감각을 입힌 독창적인 발레로 재출현 시켰다. 뿐만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타 장르의 차용과 협력을 통해 다소 위축 되어있었던 발레 예술의 발전에 가능성을 더해 주었다. 따라서 원작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발레에서 고전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당 시대의 예술적 감각과 사회적, 문화적 요구에 부응하는 창의적, 실험적인 연구와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