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Title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 of Directors and Teachers about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uthors
이정숙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평가인증 과정을 실제 적용하면서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알아봄으로서 앞으로 실시될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 시설장과 교사의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1 보육시설 시설장과 교사의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하 며 그들 간에 차이가 있는가? 1.2 보육시설 시설장의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인식은 변인(시설유형, 평가시기,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보육시설 교사의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인식은 변인(시설유형, 평가시기,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보육시설 시설장과 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동기와 성과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보육시설 시설장과 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동기는 어떠한가? 2.2. 보육시설 시설장과 교사의 평가인증 성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3 보육시설 시설장과 교사의 평가인증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고, <연구문제 2>를 위해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문제 1>의 설문조사를 위해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하여 인증을 받은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2009년 9월부터 10월까지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시설장 338명, 교사 336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문제 2번>의 면담연구를 위해 2009년 7월부터 10월 사이에 시설장 10명, 교사 8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과정 중 모든 내용은 녹음 한 후 전사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 경우 Duncan 사후검증을 통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집단을 알아보았다. 면담 내용은 현장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장과 교사는 평가인증 과정 4단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며 참여설명회, 문서작성, 현장관찰 방법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참여 설명회에는 대체로 많이 참여했고, 시설장의 참여가 더 많았으며, 참여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참여할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인증과정에서 대부분이 조력을 받았으며, 조력자의 시설 방문 등 면대면의 조력 유형이 가장 도움이 되었다.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된 영역과 준비하는데 가장 어려운 영역은 보육환경 영역으로 나타났다. 시간을 가장 많이 들여서 작성한 문서는 보육과정 관련 문서이며 다음 순으로 시설장은 운영관리 관련 문서, 교사는 원아관리 관련 문서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시설장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교사가 적극적으로 평가에 참여하게 유도한 것으로 인식 하였으며, 현장관찰 방법은 적절한 편이라고 인식했는데 시설장보다 교사가 더 적절한 편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아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시설장과 교사가 현장관찰 당일 가장 염려되는 것은 영유아와 바람직한 상호작용이고, 대체로 인증결과 점수와 자체 평가 점수가 일치한다고 인식하며, 점수가 일치하지 않은 이유는 현장 평가자와 자체평가자가 지표 해석을 달리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인증 과정에서 어려운 점과 이직(폐원)을 고려한 이유에서 시설장과 교사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인증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재정문제, 과다업무로 인한 초과 근무로 나타났다. 시설유형, 평가시기,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평가인증 과정에서 어려움으로 인해 이직(폐원)을 고려한 이유는 업무과다이며 시설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상호작용 영역의 질적 수준 향상 정도, 평가결과 활용에서 시설장과 교사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대체로 평가인증 목적 달성과 영역별 질적 수준이 많이 향상 되었다고 인식하고, 상호작용 영역은 상대적으로 향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인증을 받은 후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었으며, 만족도가 하락한 가장 큰 이유는 평가인증과정에서 시설장과 교사의 희생을 요구하고, 영유아의 보육이 소홀히 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를 활용해서 시설과 교사에게 차별화된 재정지원을 원했다. 넷째, 사후유지 관리를 위해 필요한 방안, 사후유지 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시설장과 교사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사후유지관리를 위해 재정지원과 인력 지원을 원했으며, 사후유지 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교사의 업무과다와 교사의 잦은 이동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제2차 평가 준비에서 적절한 평가 주기, 필요한 지원에서 시설장과 교사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평가인증의 적절한 주기를 5년 이상을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절반 정도가 제2차 평가인증에 참여를 희망했고, 참여를 희망하는 큰 이유는 시설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며, 긍정적 효과가 많기 때문으로 나타났고,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참여를 희망하지 않은 이유는 과다한 업무로 일상적인 보육업무가 소홀하게 될까 염려해서로 나타났으며, 평가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제2차 평가에 가장 필요한 지원은 평가준비를 위한 재정지원과 교사의 업무보조로 나타났다. 제2차 평가에서 역점평가 영역을 두는 것에 대해 대체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했으며,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면담을 통해 참여 동기와 성과, 개선방안이 제안되었다. 시설장과 교사의 공통된 참여 동기는 보육시설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다. 그 외에 시설장은 관심과 지원을 기대하면서 국가시책에 따르기, 보육시설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 평가에 대한 부담에서 벗어나기, 자신감에서 출발, 불이익 피하기 위해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전문성과 자질 향상에 대한 기대, 체제에 순응, 피할 수 없어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인증의 성과로 전문성 향상이 시설장과 교사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시설장은 운영관리 체계 확립, 부족한 부분 개선의 계기 마련, 교사는 교재 교구와 문서 정리 체계 확립, 유대감 형성, 근무환경 향상으로 나타났다. 평가인증의 개선방안으로 재정지원을 공통적으로 제안했다. 그 외에 시설장은 지표 적용의 일관성 유지, 부족한 부분의 질 향상을 위한 연수기회 확대, 업무과다 해결을 위해 자원봉사센터와 상시 연계 체계 구축, 1차 평가에 미참여한 시설의 실태 파악 및 지원, 대체 교사제도 활성화, 정기적인 장학지도 체계구축, 지역 공동 보육으로 교사 초과 근무 시간 축소를 제안했다. 교사는 1차 평가에서 낮게 평가 받은 영역의 조력 강화와 점수 비중 높이기, 평가준비 기간에 인적지원, 평가 점수 척도의 세분화, 교사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다양한 교재 교구 지원을 제안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methods for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o be conducted in the years to com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tries to understand difficulties when applying the accreditation system to the actual situ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are to be studied: 1.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accreditation process? 1.1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accreditation proces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the accreditation process? 1.2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ceive the accreditation proces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riables(the type of institution, the evaluation time and the length of career)? 1.3 How do child care center teachers perceive the accreditation proces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riables(the type of institution, the evaluation time and the length of career)? 2. What motivates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and how do they perceive the results and improvement methods? 2.1 What motivates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2.2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results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2.3 What suggestions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make to improve the accreditation process? Question No. 1 was ask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question No. 2 was done by data analysi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Questionnaires for question No. 1 were distributed by mail for a month of September to October 2009 to the child care centers which were accredited in Jeollabukdo, Jeollanamdo and Gwangju from 2005 to 2008. 338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336 child care center teachers completed and returned the replies. In-depth interviews for Question No. 2 were conducted to 10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8 teachers from July to October in 2009.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iles,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X² verification, t-tests, one-way ANOVAs, and for the significantly different groups Duncan post-verification was used. Th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by on-the-spot recording, and analyzed into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erceptions of four stage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such as difficulties, effects,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preparation for the second phase of accredit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First,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mostly had a positive mind in four stages of accreditation process but showed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with respect to participation in explanatory meeting, documentation, and field visit observation method. Most of directors and teachers attended the explanatory meeting, and the attendance of directors was greater. Lack of time was the biggest reason for the absence. Most directors and teachers got help, and the most helpful was the face-to-face assistance such as the assistant's direct visit. In this respect there were different opinions depending on evaluation time and type of institution. The most time-consuming and the most difficult area to prepare was child care environmental one, and they differed depending on type of institution and career. Child care curriculum related documentations were reported to take the most of time to prepare, and the most important role of directors is to motivate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Field visit observation was perceived to be appropriate and teachers perceived it more positively than directors. The one who perceived it inappropriate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depending on evaluation time and type of institution. On the day of field visit observation both directors and teachers were mostly concerned about the ideal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Their opinions differed depending on type of institution. Evaluation score and self-evaluation score were considered to be agreed, bu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ype of institution and career. This disagreement was due to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criteria between field evaluator and self evaluator,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ype of institution. Second, directors and teachers differed in perception of difficulties and reasons for changing occupations in the course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The biggest difficulties were pointed out to be financial problems and overtime work due to excessive work load. In this respect they differed depending on type of institution, evaluation time and career. Teachers who considered changing occupations due to the difficulties arising in the course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gave the reason of excessive work load and in this respect teachers differed depending on type of institution. Third, directors and teachers showed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qualitative improvement degree of interaction domain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Achievement of accreditation goal and improvement of qualitative level in each domain were perceived to be satisfactory, yet interaction domain was relatively less improved. Satisfaction with the accreditation system was reported to be higher after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Dissatisfaction was caused by the demand for directors' and teachers' sacrifice and the probable neglect of their routine child care. Both asked for discriminatory financi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results. Fourth, directors and teachers showed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means for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reason for its difficulty. They asked for financial funding and manpower support for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regarded teachers' excessive work load and frequent movement as the obstacle to maintain and manage afterwards. Fifth, directors and teachers differed in terms of the appropriate evaluation term and necessary support in the second phase of accreditation process. They considered once over five years to be appropriate for evaluation term. About half of them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econd phase of accreditation process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institution, expecting positive effects, and the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career. They gave the reason for not wanting to participate that they were most worried about the probable neglect of their routine child care because of excessive work load and differed in this respect depending on evaluation time. The most needed support for the second phase of accreditation process was financial funding and assistance for teachers. They considered it desirable to have an emphatic evaluation domain in the second phase of the process, and differed depending on career. Sixth, motivation, positive effects and improvement methods were suggested through interviews. The common motivation for directors and teachers to participate was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care facilities. In addition to this, directors participated to follow the nation's policy,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facilities, avoid from the burden of evaluation, start with self-confidence, and avoid disadvantages, and at the same time they expected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 authorities. Teachers participated, expecting to upgrade their professionalism and quality and also following the nation's policy and unavoidableness. The accreditation process resulted in the advancement of professionalism for both directors and teachers. As result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directors pointed out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insufficient parts, while teachers indicated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documentation system, strengthening of ties, and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For improvement methods, both commonly suggested financial support. Besides this directors suggested consistent application of accreditation criteria, extension of training for betterment of quality, establishment of all-time liaison with volunteering service center to solve the excessive work load, understanding the realities of and support for the institutions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first phase accreditation process, activation of substitute teacher system, establishment of regular encouragement and guidance of learning system, and reduction of teachers' working hours owing to community child care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