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초등교사의 '이해' 중심 사회과 수업 설계에 관한 인식 연구

Title
초등교사의 '이해' 중심 사회과 수업 설계에 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His/Her Instruction Design focusing understanding in Social Studies
Authors
김선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자
Abstract
Teachers' role as a developer or a designer of curriculums has been emphasized as seen in both recent study trends which are focusing teachers' role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enforcement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 bill standing for 'keep-developing curriculum', and it has been known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curriculum design have influence on performances of curriculum. And also instructors who design 'Understanding' focused curriculum have renewed the definition of 'Understanding'. Moreover, their curriculum design presuppose 'Understanding' very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must have clear understanding on what to teach and also have to develop class design based on it.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showing whether teachers who design and perform curriculums systematize 'Understanding' as a target, and plan assessment to collect evidences for ensuring the achievement, and design their classes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is to know how clearly present teachers understand the meaning of curriculum targets, and what processes for class design, especially focusing on targets, assessments, and class planning based on 'backward design', they are taking to achieve the targets, and how they perceive their own knowledge and abilities of the curriculum design, and what differences can be made with teaching experiences. The substantial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teachers set the class targets? 1-1. How do teachers set the goals for units of Social Studies and individual classes? 1-2. What differences can be made with teachers' career experiences when the teachers set the goals? 2. What assessment do teachers design to get the evidence of achieving the goals for units of Social Studies? 2-1. How do teachers design the assessment for units of Social Studies and individual classes? 2-2. What differences can be made with teachers' career experiences when the teachers design the assessment? 3. How do teachers take concrete shape for the curriculum design of Social Studies Unit? 3-1. What is the priority When teachers design for the units of Social Studies and individual classes? 3-2. What differences can be made with teachers' career experiences when the teachers design the curriculum? 4. Are teachers aware of the level of their own knowledge and abilities of designing class performances for Social Studies unit? 4-1. How do teachers recognize their own knowledge and abilities of curriculum planning for Social Studies unit? 4-2. What differences can be made with teachers' career experiences when the teachers design the curriculum? For the above research issues, researcher have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as the goal of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s and documents, and then designed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literatures and traditional design literatures. First, the questionnaire made up to know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curriculum design and this consist of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curriculum design as secondary factor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eachers actual understanding about 'Understanding' backward design, teachers' using of resources and documents for Social Studies, preparation time for classes, understanding the goals of Social Studies set in the 7th curriculum bill, setting up the goals with focus on 'Understanding' backward design, assessment task plan and tools, and learning plan were consisted of as secondary factors. A survey of 300 teachers, of which 277 responded, working in various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Daejeon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for windows 12.0 at a significance level p =.05.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for analysis. And also there were interviews of four and all the recoding data were analyzed after having been transcribed. The following result are derived from the survey. First, as the survey result of how teachers set the goals for classes, teachers give most serious consideration for 'exploration of basic concept and principles' whereas they give less consideration for 'information applic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hen they consider targets intended in the 2007 Education bill. It shows the priority is ’meaningful coherence of main ideas’, and next comes ‘exploration of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and last comes 'transferable main ideas' when teachers consider about setting up curriculum targets focusing 'Understanding' Also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give more consideration on establishing goals so they have tried to design classes with 'Understanding' based design.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eachers have difficulties with setting up curriculum targets focusing 'Understanding' because they perform their classes focusing both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of content knowledge. Also it's due to parents' misunderstanding, that is, 'Understanding' is teachers' giving lectures on contents in textbooks rather than setting up goals of complete 'Understanding' which is transferable. Second, it is analyzed about evaluation plan for Social Studies unit; teachers give top priority for ‘synthesis focusing assessment task' whereas ‘use of scoring rubric for assessment task' and ‘students self-evaluation' are low priorities. For the questions of test, teachers frequently set up 'find-out answers from textbook content' or 'choose one among given answers' and they give much less consideration for 'giving questions for exploration'. Also as for the result of analyzing evaluation plan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career, prefer 'find-out answers from textbook content' or 'choose one among given answers' rather giving questions for exploration. This result shows teachers consider pretty much on assessment task design and paper examinations but don't consider much on students self-assessment, that is. teachers tend to lecture fragmentary knowledge and check students' knowledge on the lecturing contents rather than designing 'Understanding' focused curriculum. Third, it shows that teachers consider ‘clear goals for learners’ and ‘triggering interest’ heavily but give less consideration on ‘giving chances of self-evaluation' when they design class performances for Social Studies Unit. It is found that teachers rely on online teaching web site and instruction manual for materials because they are easily accessible and meet for the parents' need. It is presumed that they can find plenty of national standard materials in the instruction manual. In conclusion, for the evaluation and class design, teachers generally give serious consideration for content knowledge focus evaluation but they hardly design 'Understanding' based curriculum, and it means they design curriculum plan to cover the textbook step by step. Also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have tried more to plan their courses with 'Understanding' based design. Fourth, The result of teachers' awareness of their own knowledge and abilities of designing class performances for Social Studies unit shows that teachers admit they have comparatively enough knowledge about 'content based knowledge' comparing having less knowledge about 'design for assessment task' and 'design for evaluation standard'. Even they have much less knowledge on 'design and application of concept focused exploration'. Also teachers think that their knowledge and abilities of designing class performances get better as teaching career goes on. In conclus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plenty of 'content knowledge' based on textbooks, however, they have less knowledge on class goals, assessment task and curriculum designing which is needed to achieve students' 'Understanding'. It means generally teachers are poor at curriculum design with establishing goals based 'understanding' whereas they are good at textbook focused designing. Also with more teaching career, teachers have confidence to recognize their knowledge and abilities for curriculum design.;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연구동향과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표방하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으로 교육과정 개발자 혹은 재구성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교사가 가진 수업 설계의 지식과 능력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더불어 최근 ‘이해’ 중심 교수·학습 설계자들은 ‘이해’에 대해 새롭게 정의 내리며 ‘이해‘를 수업 설계를 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제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에 근거한 교육방법의 개발이 중요하다. 하지만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교사들이 어떻게 이러한 '이해’의 목표를 수립하고, 이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평가를 설계하고, 학습을 계획하는지에 대해서는 증거가 될 만한 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사들이 교육의 목표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떠한 설계 과정을 거치는지를 백워드(backward) 교육과정 설계모형을 기반으로 목표, 평가, 수업 계획의 측면에서 알아보고, 또한 교사들은 수업설계에 대한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각각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사회과 수업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는가? 1-1. 사회과 단원 및 학습차시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는가? 1-2. 수업 목표의 설정은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교사들은 자신이 계획한 사회과 단원의 목표를 성취하였다는 증거를 얻기 위해 서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는가? 2-1. 사회과 단원 및 학습차시 평가 계획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2-2. 평가 계획은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교사들은 사회과 수업 계획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가? 3-1. 사회과 단원 및 학습차시 수업 계획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3-2. 수업 계획은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교사들은 사회과 수업 설계에 대한 자신의 지식 및 수업 설계 능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4-1. 수업 설계에 대한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4-2. 수업 설계에 대한 지식 및 능력은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을 통해 나타난 교육과정 목표로서의 '이해'의 의미와 구성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 설계 문헌과 일반 교육과정 설계 문헌을 기반으로 하여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첫째, ‘목표 수립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수립, ‘이해’를 중심으로 한 사회과 수업의 목표 수립을, 평가계획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 계획 및 평가 문항을, 수업 계획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 계획, 사회과 수업 설계의 참고 자료를 하위요인으로 하였다. 또한 수업 설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교사가 가진 수업 설계 지식과 수업 설계 능력을 하위요인으로 하였으며 각각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사회과를 가르치는 초등학교 교사로서, 서울특별시, 경기도,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국, 공립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300명이었으며, 분석 대상은 27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유의도 수준 p = .05로 하고,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빈도분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보충 설명하기 위하여 교사 4명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는 음성 녹음 한 뒤, 내용을 모두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수업 목표 설정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중 ‘기본개념과 원리 탐구능력’을 가장 높게 고려한 반면, ‘정보 활용과 문제 해결 능력’은 낮게 고려하였다. ‘이해’ 중심 목표 수립에 관해서는 ’주요 아이디어들의 의미 있는 관련성’, ‘참된 탐구와 깊이 있는 사고’, ‘전이 가능한 주요 아이디어’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경력에 따라서 살펴본 결과,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사회과 수업 설계의 목표수립에 있어서 대체로 경력이 많을수록 ‘이해’ 중심의 설계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지식 중심의 학력 평가 위주의 수업을 하고 있으며, 학부모는 교사가 학생들이 전이 가능한 완전한 이해에 도달하는 목표를 수립하는 것보다는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잘’ 가르쳐 주는 것을 ‘이해’로 오해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가 진정한 ‘이해’ 중심의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사회과 평가 계획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통합중심의 수행과제’를 많이 고려하는 반면, ‘준거 중심의 채점 도구의 수행 평가 활용’, ‘학생의 자기 평가 활용’은 상대적으로 낮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문항에 대해서는 ‘내용에서 답을 찾는 문제’나 ‘하나의 정답을 가지고 있는 단답식의 문제’를 많이 계획하고 ‘탐구의 방법을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문제’를 가장 적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경력에 따른 평가 계획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경력에 상관없이 ‘내용에서 답을 찾거나’, ‘하나의 정답을 가지고 있는 단답식의 문제’를 많이 사용하고, 탐구를 요구하는 문제를 가장 적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은 수행평가나 지필평가에 관한 고려를 많이 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자기평가는 잘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이해’를 중시하는 설계를 하기보다는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단편적 내용을 가르치고, 이러한 내용을 평가하는 설계를 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과 수업 계획에 대해 살펴본 결과, ‘목표주지’나 ‘흥미유발’에 대해서는 많이 고려하는 반면 ‘자기평가의 기회제공’은 낮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계획의 참고 자료는 교사들은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시험이나 학부모의 요구 때문에 교과서, 인터넷 교수 학습 사이트, 교사용 지도서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내용의 많은 부분이 교사용 지도서에 재 진술 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교사들은 “이해”라는 특정 목표에 천착하기 보다는 교과서 진도를 차근히 나가는 수업 설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직경력에 따라서 살펴본 결과,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수업 계획에 관하여 더 많이 고려하였다. 이는 수업 계획을 하는데 있어서 대체로 지식 중심의 평가 계획은 고려하지만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 계획은 잘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해”라는 특정 목표에 천착하기 보다는 교과서 진도를 차근히 나가는 수업 설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은 수업 계획을 함에 있어서 대체로 경력이 많을수록 ‘이해’ 중심의 설계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사회과 단원 수업 설계에 대한 자신의 지식 및 수업 설계 능력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내용지식’은 비교적 많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한 반면 ‘수행과제 설계’와 ‘채점 기준 설계’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사회과 단원 설계 능력은 ‘중요한 아이디어와 개념을 중심으로 한 수업 설계’ 능력은 많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지만 ‘이해를 드러낼 수 있는 수행평가 과제 설계’ 능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가르칠 내용에 대한 설계 능력은 많다고 인식한 반면, ‘목표에 준거한 평가 설계’ 능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직경력에 따른 수업 설계 지식과 능력은 경력이 증가 할수록 많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과서 중심의 ‘내용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데 필요한 목표, 수행과제, 학습설계에 대한 지식은 적게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교사들은 교과서 중심의 설계는 잘 할 수 있지만 ‘이해’를 중심으로 한 목표를 설정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능력은 대체로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자신감과 그동안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 설계에 관한 자신의 내용지식이나 능력적인 면을 높게 인식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