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유아의 장독립성 - 의존성 인지양식과 사회성과의 관계

Title
유아의 장독립성 - 의존성 인지양식과 사회성과의 관계
Authors
이경자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sex differences in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2. Are there Social develop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group and Sex? 3. Are there Social development's lower rank factors (Dependence on Teacher, Interior control, Interaction with Peer, Comfortableness in School, Accomplishment Motivation, Curiosity) differences according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group?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Children; 60 boys and 60 girls from five years of a kindergarten at K city. The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 (PEFT) was administered to asses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for 120 Children. Then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rating scale by the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two way ANOVA.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group, but girls get higher scores than boys according to sex.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evelopment's lower rank factors according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and sex. Field dependence group get higher scores in dependence on teacher and comfortableness in School than field independence group. Field independence group get higher scores in accomplishment motivation than field dependence group, and showed tendency of higher scores in curiosity than field dependence group. Girls get higher scores in interior Control and interaction with peer than boys. The more girls depend on field, the more they get higher scores in interaction with pe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에 따라 사회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 점수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유아의 사회성은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사회성의 각 하위요인 (교사에의 의존성, 내적통제, 동료와의 상호작용, 학교에서의 안정감, 성취동기, 호기심)은 유아의 인지양식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는 K시에 있는 1개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유아남·여 각 60명씩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유아용 인지양식 검사를 실시한 후에 인지양식 검사 점수에 따라 장독립성-의존성 집단으로 분류된 남·여 각 30명씩 60명에게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78)에서 취학전아동용으로 개발된 사회·정서적발달 평정척도를 적용하여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인지양식 점수의 성차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고, 사회성이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는 인지양식(2)×성별(2)의 2way-ANOVA방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 점수는 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2. 유아의 사회성은,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성에 따라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성에 따른 사회성을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사에의 의존성, 학교에서의 안정감 요인은 장의존 집단이 장독립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성취동기는 장독립적인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고 호기심은 장독립적인 집단이 장의존적인 집단보다 높은 경향성 (P=.06)을 보였다. 또한 내적통제, 동료와의 상호작용은 남아보다 여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동료와의 상호작용 요인은 장의존적인 여아일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