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교사의 관심에 따른 통합교육과정 실행 형태

Title
교사의 관심에 따른 통합교육과정 실행 형태
Authors
서경혜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가 의도된 교육과정에 대해 갖는 관심에 따라서 교육과정의 실행 형태는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현행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교사는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 관심에 따라 의도된 교육과정은 어떠한 모습으로 변형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가 수준에서 계획된 통합교육과정이 의도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의 인상적인 실행 형태는 무엇인가? 2.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어떠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3. 교사들이 현재 실해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의 실행 형태는 무엇인가? 4.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교사들이 갖고 있는 관심에 따라서 의도된 통합교육과정은 어떤 모습으로 변형되었는가? 첫번째 연구문제는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나머지 연구문제들의 수행을 위해서 질문지 조사 방법이 사용되었다. 문헌 연구와 질문지 조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를 중합하면 다음과 갈다. 첫째, 통합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의도하고 있는 이상적인 실행 형태는 '창의적이고 융통성있는 실행'이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을 특정짓는 14개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고, 각 구성요소 별로 이상적인 실행 형태를 구체화하였다. 이 중에서 특히 40분이라는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학습활동과 내용에 따라 융통성있게 수업시간을 배정하는 것과 통합교과명이 아니라 학습과제 별로 일주일이 한번 시간표를 작성하는 것은 통합교육과정을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실행 형태라 볼 수 있다. 둘째, 전체 교사 집단이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갖고 있는 관심은 '정보적 관심'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들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개인별 관심을 살펴보면, 전체 교사 100명 중 54명이 정보적 관심을, 27명이 운영적 관심을, 그리고 4명이 대안적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15명의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어떤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현재 교사들이 실행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의 실행 형태는 통합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의도하고 있는 이상적인 실행 형태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대체로 통합교육과정 개발자들에 의해 지양되어야 할 것들로 규정된 '허용할 수 없는 실행 형태'였다. 통합교육과정 개발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교사들은 학년 초나 학기 초에 한번 통합교과명으로 시간표를 작성하고 있었고, 통합교과당 일률적으로 40분씩 수업시간을 배정하고 있었다.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의 실행 형태에 있어서도 통합교육과정의 이상적인 실행 형태를 실제로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은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요컨대 현재 대부분의 교사들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의 실제적인 모습은 처음에 의도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형되어 있었다. 네째,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개개인의 관심에 따라 그것의 실행 형태가 각기 다른지를 살펴 본 결과 몇몇 구성요소들의 실행 형태를 제외하고는 통합교육과정의 실행 형태에 있어 교사의 관심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우선 자신과 관련된 관심의 단계 즉 '지각하는 단계'와 '정보적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들의 실행 형태와 '대안적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들의 실행 형태는 뚜렷이 구별되었다. 지각하는 단계와 정보적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대체로 '허용할 수 없는 실행 형태'의 범주에 속해 있는 반면, 대안적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들의 실행 형태는 통합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의도하고 있는 '이상적인 실행 형태'와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정보적 관심'과 '대안적 관심'을 모두 갖고 있는 교사들의 실행 형태는 대체로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허용할 만한 실행 형태'와 일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운영적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들의 경우에는 반 정도의 교사들이 '허용할 수 없는 실행 형태'를 그리고 나머지 만 정도의 교사들이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허용할 만한 실행 형태'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갖고 있는 관심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실행은 그것의 이상적인 실행 형태와 점점 가까와지고 있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높은 단계의 관심을 가진 교사일수록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보다 창의적이고 융통성있게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몇 구성요소들에 있어서는 교사의 관심에 따라 그 실행 형태가 뚜렷이 구별되지 않았다. '시간표 작성 횟수나 작성 방식', '수업시간의 배정', '교실 이외의 공간 활용', '평가 결과의 활용'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실행 형태가 교사의 관심과는 관계없이 같은 모습으로 변형되어 실행되고 있는 것은 통합교육과정의 개발 방식, 학교 장의 학교 운영 방식, 적절한 지원책의 미비 등에서 그 이유를 찾아 볼 수 있다. 즉 교사가 나름대로 어떤 것을 선택할 만한 여지가 없기 때문인 것이다.; Curriculum development projects typically involve considerable funds and energies being channeled to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new products, with a disproportionately shall amount of attention paid to matters of implementation. There seems to be an implicit assumption that the nature and quality of a new curriculum product automatically determine its successful use in classrooms. However, implementation is not simply another step in the curriculum planning process, which would eventually correspond to planned or intended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fic ways in which teachers put an integrated curriculum in operation,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concerns exert a powerful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and they determine the operational patterns that teachers use it. This study deals with four questions as follow: (1) What is the intended us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is recommended by developers? (2)What are the concerns of teachers about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3)What is the operational patterns which teachers put the integrated curriculum into operation in their classrooms? (4)According to different stage of concerns, what has the intended integrated curriculum been changed in classrooms? The data on these were obtained by using the Concern-Based Adoption Model(CBAM) instruments developed by Hall et al. at University of Texas, such as SoCQ and IC component checklist. But IC component checklist was developed for the sake of the integraged curriculum. The results of four quest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teded use of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is recommended by developers can be characterized 'creativity' and 'flexibiliy' of teachers with implementing it. 2. Teachers 'Host common concern, based on the highest average percentile score, was Stage 1(informational concerns). And teachers' next highest concern was Stage 3(management concerns). It indicated that the teachers need more information which help them implement it effectively. 3. The operational patterns which teachers put the integrated curriculum into operation was very different from the intended use. The operational patterns of most teachers was in accord with the 'unacceptable patterns which is prescbibed by developers. 4. Teachers 'operational patterns was differd with each stage of concerns, except som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stage of concerns teachers have, they are less dependent on the teacher's guidebook and implement it more creatively and flexibly.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operational patterns with different concerns in some components such as 'Scheduling', 'Outdoor activities', and 'Use of test results'. Those components are much more influenced by the method of integration, management style of principals and lack of relevant materials and equipments than teachers' concerns. That is, since there is no alternatives for teachers to implement different ways, most teachers implement those components in the same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