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교사들의 연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Title
교사들의 연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eachers' Research Experiences
Authors
노진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Teacher research has been supported by educational researchers in terms of narrowing the gap between educational research and its practice in school settings. Several research has discussed its concept, features, and necessities. However, only few research has studied its fact and effect on teachers' practice an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develop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eacher research by interviewing five teachers who have various research experienc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organiz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eachers' research experiences concretely. First, how the teachers recognize the meaning of "research" in school settings? Second, in what way their narratives on research experiences can be interpreted?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research based on their narra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narrative inquiry to analyze and interpret teachers' research experiences specifically. First, interview questions and protocol were developed by pilot interviews. Second, a selection criteria for potential interviewee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and features which were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 for inviting appropriate participants. Third, five participants were invited in this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by each participant. Fourth, the whol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few samples of their research outputs were also collected. Fifth, those data constituted the teachers' narrative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focused on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understood the concept of research as "action research", which is mainly support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government, "educational research", which is generally carried out by the university researchers, and "teacher research", which is teachers' personal research performed by each of their need. Based on their perception on research, this study defined teacher research as "teachers' spontaneous inquiry and action for solving the problem which was derived by their practice" and tried to interpret their narratives focused on teacher research experiences. Second, by interpreting their narratives,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conflict in justifying their teacher research as "research." The participants thought their research was meaningful regarding its purpose and applicability. On the other hand, they were confusing whether it is really a research in usual context. Although they perceived teacher research as separate term with action research or educational research, they still depended upon the standard and authority of educational research, especially those of quantitative research. Third, three characteristics of teacher research were derived based on teachers' narratives and their outputs. First of all, teacher research is personal, but professional. Teacher research is conducted from teachers' experiences of their practice, and it develops a personal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ir practice. Secondly, teacher research is practical. Teachers continuously practice their ideas and get a feed-back, and it occurs during the whole research process. As a result, the output of the research can be most applicable in their class. Finally, teacher research is easily shared among the teachers, and become public. Teachers prefer to share their research by teacher community or internet rather than scholarly journal or thesis. The way of sharing the research by online communities is becoming popular, and it affects their personal research to be developed as a public knowledge. This study implies that teacher research is substantial as it establishes teachers' expertise which is most important and needed for teachers themselves. Still the participants felt confusions between teacher research and educational research regarding the authority and standard of research. At the same time, the participants were convinced that teacher research is required for every teacher, because it is found to be far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research or theories for teachers' practice in each class.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ality of teacher research is somewhat different from what is known to be, thus more research of its practice and possibility is required which reflects the voices and experiences of teacher researchers.;교사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이론과 실제 간의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아 왔다. 그동안 교사연구의 개념과 성격, 필요성 등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데 반해, 교사연구의 실제를 탐구할 수 있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장 교사의 연구경험을 토대로 교사연구의 실제를 이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현장 교사의 연구경험을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의 의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현장에서 연구라는 개념이 교사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사들의 연구경험 내러티브에 대한 해석을 통해 교사연구의 실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교사연구의 의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그들의 연구경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교사연구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교사연구 및 내러티브 연구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교사연구와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교사연구의 대두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교사연구자 및 교사연구에 대한 Stenhouse의 논의와 실행연구의 주요 개념 및 과정,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에 대한 Schön의 논의를 검토하고, 교사연구 분야의 주요 학자인 Cochran-Smith & Lytle의 논의를 중심으로 교사연구의 개념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이후, 국내에서 교사연구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논의들을 국내 교사연구 실태와 지원체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내러티브 연구방법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Clandinin & Connelly의 논의를 중심으로, Riessman과 Lieblich의 주요 논의도 함께 다루면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설계된 본 연구는 현장 교사와의 면담을 주된 자료 수집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다 충실한 자료 수집을 위해 현장 교사와의 파일럿 인터뷰를 거쳐 면담 질문지와 프로토콜을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적절한 참여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된 교사연구의 개념 및 성격을 토대로 연구 참여자 선정 준거를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5명의 중등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섭외하여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과의 면담 내용은 모두 전사되어 교사들의 연구물과 마인드맵, 홈페이지 등과 함께 내러티브 연구의 중요한 현장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작성된 현장 텍스트에 대한 분석과 해석은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된 내러티브 연구의 과정과 절차를 참조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의 의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교육청 및 교육기관의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현장 연구, 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연구, 그리고 교사 자신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교사연구의 세 가지 맥락에서 연구의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다. 현장 연구에 대하여 참여자들은 자신의 참여 및 관찰 경험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으며, 교육 연구에 대한 인식은 교육 연구 자체에 큰 관심이 없다는 입장과 교육 연구와 교사연구 간의 소통과 연대가 필요하다는 두 가지 입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공통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구방식이나 형태가 앞의 두 가지 맥락과 겹치더라도, 교사연구는 당사자인 교사가 자신의 현장경험을 통해 형성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자발적으로 진행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이를 별개의 연구 맥락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반적인 연구맥락과 교사연구라는 맥락 사이에서 혼동과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일반적인 사회과학 연구의 패러다임과 교사연구를 비교하면서 자신의 연구가 과연 연구가 될 수 있는지, 그리고 교사 자신을 과연 연구자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사연구를 '교사가 자신의 현장 경험을 통해 인식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탐구 및 실천하여 문제를 개선해 나가는 것‘으로 정의하고, 참여자들의 교사연구 경험을 해석하였다. 앞의 인식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갈등을 주제로 그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자신의 연구가 현장경험에서 비롯된 개인적인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실천을 개선하려는 목적이 강하다는 점에서 자체적인 의미를 발견하면서도, 이를 일반적인 의미의 연구로 볼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 스스로가 전통적인 연구의 엄격성과 틀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함으로써, 자신이 별개로 인식한 교사연구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드는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셋째, 교사연구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과 그들의 연구경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도출된 교사연구의 특징으로 연구의 개인성 및 전문성, 실천성, 고유의 공유 및 전파 방식을 들 수 있다. 교사연구는 교사가 현장 경험을 통해 형성한 개인적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교사 자신이 문제의식을 느끼고 연구한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창출한다. 또한 교사연구는 현장에서 실천의 개선 및 변화를 목적으로 하며, 연구와 실천이 서로 구분되지 않고 밀접한 연관을 맺으면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교사들은 자신의 연구를 일반적인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학술지 게재의 방식보다 온·오프라인의 교사 모임을 통해 다른 교사들과 공유하며, 특히 인터넷을 통한 연구의 전파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연구가 당사자인 교사 자신에게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실천적 지식과 전문성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연구맥락과 교사연구 사이에서 혼동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나, 동시에 자신들의 연구가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확신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기존의 이론이나 논문보다는 그들이 스스로 진행한 연구가 교사 자신에게 가장 의미 있는 실천적 지식을 제공하고, 자신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큰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연구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이 현장의 실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이루어졌다는 문제를 제기함과 동시에, 교사연구에 대한 인식의 확대 및 이 분야에 대한 현장 중심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