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15 Download: 0

이야기 결속표지 발달

Title
이야기 결속표지 발달
Authors
양수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야기는 여러 문장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의미덩이이다. 각기 다른 문장들이 하나의 의미덩이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문장과 문장을 의미적으로 결속시켜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앞의 문장에서 언급한 적이 있는 어휘를 다음 문장에서 다시 반복하거나 대용어로 지시하거나 아니면 생략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두 문장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암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을 결속표지(cohesive marker)라고 한다. 화자가 결속표지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청자는 그 이야기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화자는 철저하게 청자의 입장에 서서 어휘반복과 대용어와 생략 중 어떤 표지를 사용해야 청자가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을지를 판단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은 학령전, 학령기를 거쳐 성인기까지 점진적으로 습득된다. 그리하여 결속표지의 사용은 문장을 넘어선 담화수준의 언어를 주로 사용하는 5세 이상의 아동들에게 유용한 발달지표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언어장애 아동들의 담화기술 척도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말의 결속표지에 대한 기초자료는 부족한 상황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말 결속표지 발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결속표지 산출능력의 연령간 변화와 각 연령 내에서의 결속표지 유형간 사용률과 정확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속표지 유형은 어휘반복(lexical cohesion), 생략(ellipsis) 및 대용(referential substitution)에 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세, 6세, 8세 및 성인으로서 각 연령당 20명씩 80명이었다. 연구자는 이들에게 글자없는 그림이야기책 두 권을 보여주면서 이야기를 들려주었고 다 들은 후 이야기를 모르는 청자에게 책을 보지 않은 채 이야기를 회상하여 들려주게 하였다. 이들이 산출한 이야기는 녹음한 후 전사하였다. 연구자는 전사한 자료에서 결속표지를 판별하여 사용률과 정확률을 계산한 후 이에 대한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통해 연령에 따른 차이와 각 연령 내에서의 결속표지 유형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결속표지 사용률의 경우, 어휘반복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생략은 감소하였으며 대용은 연령간 차이가 없었다. 결속표지 유형간 사용률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연령이 대용에 비해 어휘 반복과 생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어휘와 생략간만 보면 4세는 생략을 더 많이 사용했고 6세와 8세는 둘간 차이가 없었으며 성인의 어휘반복을 더 많이 사용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생략보다 어휘반복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를 보였다. (2) 결속표지 정확률은 어휘반복, 생략, 대용 모두 연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속표지 유형간을 비교한 결과, 네 연령 모두에서 어휘반복의 정확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대용이었으며 생략의 정확률이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말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지는 어휘반복와 생략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생략보다 어휘반복을 선호함을 보였다. 또한 결속표지 사용의 정확률은 세 결속표지 모두 연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질적인 발달이 이루어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말 결속표지 특성 전반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 언어중재시 기초자료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cohension in the narratives of Korean speakers. Sixty children aged 4, 6, and 8 years, 20 children for each age group, and twenty adults were shown two short picture books and were told the stories of them. After presented with each story, each subject was asked to retell it to the investigator. All narratives they produced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development of cohesion was examined based on two aspects of the stories: (1) the cohesive markers(lexical cohesion, ellipsis, pro-forms) the subjects used to indicate characters, props and places in their narratives and (2) the cohesive accuracy. First, the percent occurrence of each cohesive marker was calculated. Second, the percent occurrence of accurate use of each cohesive marker was calculated to measure the accuracy. The statistic of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As the subjects grew older, the use of lexical cohesion increased in contrast to the use of ellipsis, which decreased. The pro-form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2) All age groups used lexical cohesion and ellipsis significantly more than pro-forms. With the increase of age, lexical cohesion was preferred to ellipsis. (3) Cohesive accurac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ge for all three cohesive markers. (4) All age groups used lexical cohesion most accurately among devices and the ellipsis the least. The proforms were in-betwe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