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니진스카와 킬리언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비교 연구

Title
니진스카와 킬리언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Image of Female in between Nijinska and kylian.
Authors
최정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성은 남성과 여성이라는 양분된 성격으로 나누어지고 성별에 따른 구분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생활 속에 고정 관념화 되어 왔다. 이에 따라 성 관념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채 우리 삶에 뿌리박혀 행동을 제한하고 여성을 관념적인 틀 속으로 옭아매어 왔다. 가부장적 사회는 남성이 지배적이고 우월적인 존재로 여성을 탄압하고 불평등한 위치로 전락시키며 이러한 인식은 남녀의 이미지를 적극적이고 강한 남성과 수동적이고 약한 여성으로 나타나고 전통적인 성 이미지 틀 속에서 자연스럽게 고정되어졌다. 이러한 성의 역할을 한정 짓는 기본적인 남성과 여성에 대한 인식은 무용에 있어서도 그대로 반영된다. 무용에서도 여성을 남성의 종속물로 보고 남성의 시각에서 수동적이고 가냘픈 여성이미지를 그대로 재현한다. 그러나 페미니즘 운동과 사회적 흐름에 따른 여성이미지의 인식의 변화는 무용 안에서 여성의 위치를 재인식하게 함으로서 여성의 이미지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역할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페미니스트들의 의해 시작된 성 구분에 있어서 해방적인 성격은 움직임과 주제 속에 사회적 인식과 육체의 표현성을 실험하고 성에 대한 견해를 재인식하며 인간으로서 동질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시각을 가져다주었다. 이렇듯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은 시대적, 사회적 개혁에 따라 진보으로 변화하였고, 이러한 영향은 무용 작품에 담겨있는 여성이미지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무용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변화와 그 차이를 연구하기 위해 원작인 니진스카의 작품<결혼>(1926)과 킬리언의 작품<결혼>(1982)을 Plot의 전개, 움직임 및 무대의 특성, 신랑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Plot의 전개적인 측면에서 니진스카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신부의 여성 이미지는 주인공인 자신이 아닌 다른 등장인물들에 의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였고, 극을 전개함에 있어서 신부의 역할은 수동적으로 나타난다. 이에 비해 킬리언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신부의 여성 이미지는 작품 전체를 이끌어 가며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신부의 이미지를 보여 준다. 둘째, 움직임의 특성적인 측면에서 니진스카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신부는 움직임이 거의 없고 간간히 나타나는 움직임 역시 남성에게 종속적이고 제한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킬리언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신부의 이미지는 다양한 상체의 표현과 역동적인 에너지의 사용으로 기존의 일반적 통념을 벗어난 움직임을 표출하며, 남녀 구분이란 전환되어 질 수 도 있고 통합 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무용에서 성역할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폭넓은 양상으로 점차 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어 주었다. 또한 무대 구성적인 측면에있어서 수직적인 구도에서 수평적인 구도로의 전향 모습은 움직임을 강조하여 능동적인 여성의 이미지를 더욱 구체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신랑과의 관계적인 측면에서 니진스카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신부의 이미지는 가부장제의 의한 여성의 억압원리를 그대로 반영하며 수직적인 관계형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킬리언의 작품<결혼>에 나타난 신랑과 신부의 관계 형성은 수평적이고 대등한 것으로 신부에게 신랑은 낭만적 사랑을 느끼는 대상인데, 이러한 점은 움직임과 무대적인 구도,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니진스카와 킬리언의 작품<결혼>에서 신부 캐릭터에 나타난 여성이미지의 모습은 대조적인 것으로, 전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전통적인 성 고정 관념에 대한 관점으로서, 후자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이전과는 다르게 여성 이미지가 다양화, 동등화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무용에 있어서도 성역할을 구분하고 차별하였던 양상이 오늘날 차츰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대변해 주고 있다. 두 안무가 작품<결혼>을 통해 각각 드러난 캐릭터 ‘신부’에 대한 여성이미지 시각의 표출은 예술의 시대적, 사회적 반영의 증거로서, 앞으로 무용 작품속의 고정 관념화된 수동적 여성 이미지를 벗어나 능동적인 여성 이미지로의 재창출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성에 대한 인식적 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다양화는 무용작품에 풍부한 해석을 더할 것이며, 진행되는 무용역사의 흐름 속에서 변화된 모습으로 그 역할을 확고히 해 나아가는 가운데 여성의 이미지는 남녀 구별이 없는 해방적인 인간상로 보여 질 것이다.;Since the history of human beings begins, human beings are divided into two genders such as male and female and sex roles are naturally established and fixed in our lives. Accordingly our perception or sense of sex has been rooted in our lives without our conspicuous awareness and has limited our behaviors to confine females in a certain frame. Patriarch society makes men dominant and be considered as superior and suppresses females and be considered as less privileged and inferior. This perception makes the image of men and women as strong men and passive and weak women. These perceptions are fixed in the frame of conventional image of sexes. This perception on men and women that limits the sex roles is naturally reflected to dancing. In Dancing, females are considered as accompaniment of males and the passive and weak female image is reproduced accordingly. However, the perception change on the image of female according to feminism campaign and social trend made us recognize the place of females in dancing. Therefore the image of female became developed into subjective and self-reliant one. Additionally, the liberalism that feminists introduced made us experiment the social perception and body expressions in the movement and theme, re-perceive the sex and try to implement homogeneity of two sexes as human beings. As such, the image of women has been changed progressively according to the innovation in the times an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ose influences changed female images in the dancing works as well. Accordingly, this article compared the plot development, movement, stag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al aspect to the bridegroom in Nijinska’s Wedding (1926) and Kilian’s Wedding (1982) to study the visual changes of female images and the difference shown in dancing work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from the comparison. First, in the development aspect of the plot, the female image of the bride in Nijinska’s "Wedding"was passive. She expressed her internal world not by herself but through other characters. In the development, the role of the bride was shown passive. Comparatively, the image of bride in Kilian’s "Wedding" is very active and subjective. She leads the whole work. Second, in the aspect of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the bride in Nijinska’s "Wedding" showed movement rarely. The movement shown very often was subjective to the man and very limited. However, Kilian’s bride showed movement escaping from the general convention with diversified upper body expression and the use of dynamic energy. She show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sexes could be transited and integrated and that the division between the sexes became weak and their roles got changed in diversified ways in dancing. Moreover, in the aspect of the stage formats, the conversional feature of vertical view to horizontal view emphasized the movement, functioned as a image of active female. Third,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 with the bridegroom, the bride in Nijinska’s "Wedding"reflected the principle of suppression of females by patriarchy and showed the vertical relation.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bridegroom and bride in Kilian’s "Wedding" is horizontal and equal. The bridegroom feels romantic love to the bride and this aspect is shown well in movements, configuration of the platform and contents. As shown above, the image of female shown in the bride character in "Wedding" by Nijinska and Kilian shows contrast. The former is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the sex and the latter shows the changed image that is diversified and equalized. It shows the trend in the dancing that the division and discrimination between sexes are disappearing gradually in the dancing. Female images in the same character of ‘Bride’ in "Wedding" by two different directors are the reflection of the time and society, it will contribute to the re-creation of female image, development of the plot, movement and stage in dancing works. Additionally, the diversification of im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n the females will add rich interpretation to the dancing works. While it does its role firmly and correctly in the history of dancing, the image of females will be developed into the emancipated human being without sex discrimin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