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곽정인-
dc.creator곽정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631-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dissertation, I make an content analysis about childrearing focused on health and hygiene based on articles from Chosun-ilbo and Donga-ilbo in 1920s. The purpose of the analysis lies in identifying what the articles are about, who contributes and in what path their contents spread out. Here are research ques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1. What contents are the articles dealing with regarding to health and hygiene in 1920s? 2. Who are the contributors of the articles? 3. How di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get circulated? 532 articles had been examined in total. They covered until December 31st, 1929 since the first issues of both newspapers, May 5th, 1920 for Chosun-ilbo, and April 1st, 1920 for Donga-ilbo. Every single article is a unit of analysis investigated by content analysis. The articles about childrearing focused on health and hygiene have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similarity in contents and articles in each category have been content-analyzed. I investigate contributors of the articles and look into how they are campaigning about health and hygien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categorizing all the articles either medical information or general health care, the articles of medical information are superior to those of general health care. It refers that childrearing paradigm was centered on disease care. It is originated from sociocultural background introducing modern medicine and setting up pediatrics. General health care occupies a great deal of part of the whole articles. So it explains that childrearing paradigm is not only disease-centered but also prevention-centered. This trend reflects that society had a deep interest in health and hygiene for children. Types of disease are dealt with most in the articles and diagnosis of disease and the sense of hygiene come next in order. It tells that society had a consistent concern about disease and diagnosis which directly affected infant health and hygiene. It is emphasized through the articles that parents should have knowledge of disease to raise their children healthy. It is hygiene t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raise children away from sickness. Moreover, individual cleanliness is stressed in terms of food, clothing, house and bathing. Keeping house clean, especially kitchen, is a prevention staying children away from disease. It is emphasized that mothers are responsible for it. This consideration shows that the role of mother was consistently concerned and the gravity of the role of mother was considered. Next, many people from different fields were interested in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hygiene of childrearing. Major contributors from four different fields are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al experts, religionists and public bodies. They eager to enlighten young parents in terms of raising infants healthy. This reveals that the society realized their responsibilities and duties managing infants' health and hygiene care. Additionally, the society understood that infants deserved to receive the consistent care. Finally, there are many various paths to spread out the contents of health and hygiene for infants. Health professionals as major doers addressed knowledge related to nurturing, disease and hygiene of infant through articles, lectures, pediatrics and ob-gyns. Educational experts had lectures abut hygiene for homemakers. They made a speech about the importance of infants' hygienic care, nutrition and exercise at Home reform campaign held by Chosun-ilbo and Donga-ilbo. Majority of religionists were Christian and Christian missions made people enlighten the importance of infants' health and hygiene. They performed a variety of events such as milk providing, running parents association, making house calls and mother and child health care. Public bodies contributed to inform the concept of health and hygiene to public by providing leaflets about the sense of hygiene, street vendors for infant supplies, counseling for baby health care and parasite check-up. By means of looking into the articles, significance as follows is disclosed. Childrearing paradigm in 1920s was focused on health and hygiene influenced by sociocultural background. This was the origin of introducing the modern concept of infant health and hygiene. Society should make every preparation for parents to carry on the newly introduced childrearing ideas. Through the understanding how our ancestors raised their children, it is necessary to adopt efficient ways of childrearing.;본 연구는 192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나타난 자녀양육 기사 중 건강 및 위생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 당시 자녀양육 기사 중 건강 및 위생 관련기사가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을 기고한 주체가 누구이고, 그 내용은 어떠한 통로로 확산해 나갔는지 신문기사를 통해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1920년대 자녀양육 기사 중 건강 및 위생 관련내용은 어떠한가? 2. 1920년대 자녀양육 기사 중 건강 및 위생 관련내용을 기고한 주체는 누구인가? 3. 1920년대 자녀양육 기사 중 건강 및 위생 관련내용은 어떻게 확산되었는가? 본 연구는 조선일보 창간일인 1920년 3월 5일, 동아일보 창간일인 1920년 4월 1일부터 1929년 12월 31일까지 자녀양육기사 중 건강 및 위생 관련기사 총 532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하나하나의 기사를 분석단위로 하였고 내용분석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건강 및 위생 관련기사는 분석유목의 범주대로 나누어 기술하였고, 범주에 따라 관련기사를 해석하는 작업을 하였다. 또한 자녀양육 기사를 집중 분석하면서 건강 및 위생 내용을 기고한 주체를 알아보았다. 거기에서 나타나는 주요 주체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건강 및 위생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 및 위생에 관한 자녀양육 전체내용을 의료정보와 건강정보 유목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의료정보 기사가 건강정보 기사보다 더 많은 내용을 차지하였다. 의료정보 기사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건강에 대한 자녀양육 패러다임이 질병중심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는 당시 근대의학의 본격적인 유입과 소아과의 독립적인 설치 등 사회문화적 상황의 영향에서 기인한 것이다. 더불어 건강정보 기사도 의료정보 기사와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건강에 대한 자녀양육 패러다임이 질병중심 일뿐만 아니라 예방중심도 함께 공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 만큼 그 당시 자녀양육에 있어서 건강 및 위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단히 높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제별 내용을 살펴본 결과, 질병의 종류에 대한 기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질병의 진단, 위생의 순서로 나타났다. 유아의 건강 및 위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병의 종류와 진단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부모는 질병의 종류와 진단에 대해서 정확한 지식을 가져야지 만이 자녀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를 질병 없이 건강하게 키우도록 하기 위하여 제일 많이 강조한 내용은 위생이었다. 음식, 의복, 거처, 구강, 목욕과 같은 개인위생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가정을 청결히 하고, 특히 부엌을 위생적으로 하는 것이 유아가 질병에 걸리지 않게 하는 예방책이 되며, 이러한 책임은 어머니에게 달렸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유아에게 가장 근접한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지속적이었으며, 그 중요성 또한 매우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녀양육에 있어서 건강 및 위생에 관한 내용에 다양한 분야의 주체가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네 가지 주체, 즉 의료인, 교육관련 전문가, 종교인, 공공단체 모두 그 당시 어떻게 하면 유아를 건강하게 기를지에 대한 수많은 지식과 방법을 젊은 부모에게 알려주기 원했다. 이는 1920년대의 우리 사회가 유아의 신체적 보호와 위생적 관리를 해야 하는 책임과 의무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아는 이것을 받을 권리가 있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유아의 건강 및 위생에 관한 내용을 확산시킨 데는 다양한 통로가 있었다. 의료인은 유아의 건강 및 위생 내용형성에 주요한 주체가 되어 영양, 수유, 질병, 위생과 관련한 의학적 지식을 소아과나 산부인과 병원, 신문기사 혹은 각종 건강 및 위생 강연회 등을 매개로 전달하였다. 교육관련 전문가들은 민족의 교육계몽과 발전이라는 연결고리 속에서 일반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위생 공개 강연회를 펼쳤으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 주최한 가정개량운동을 매개로 유아의 위생과 영양 및 운동에 대해 언급하였다. 종교인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독교 선교집단은 아동건강회, 우유급식사업, 자모회 운영, 가정방문사업, 목욕하는 방법이나 수유하는 방법의 육아법 등과 같은 각종 모자보건 사업을 통해 유아의 건강 및 위생 내용을 개별적으로 개입하며 적극적으로 확장시켜나갔다. 공공단체는 위생선전삐라 배부, 라디오의 위생방송, 대로변 점포의 유아용품 진열회, 유유아건강상담, 아동구강진찰, 아동의 기생충 검사, 유유아 검사회, 창경원 관람의 우대, 위생활동사진(영화) 무료공개 등의 유유아애호데이 사업으로 건강 및 위생을 적극 홍보하였다. 192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나타난 자녀양육기사 중 건강 및 위생 관련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어떤 주체가, 어떤 통로로 내용을 확산해갔는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1920년대의 자녀양육의 패러다임은 사회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건강 및 위생에 초점을 맞춘 자녀양육 내용을 가지며, 우리사회에 유아의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근대적인 개념이 생기게 된 시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로운 자녀양육 방법을 효과적으로 따르기 위해서는 부모가 시행할 수 있는 제반의 여건이 마련되어야만 하며, 옛 선조들의 지혜로운 자녀양육 방법의 가치와 내용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에 맞는 효과적인 자녀양육법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7 II. 이론적 배경 = 8 A. 건강 및 위생에 관한 자녀양육 = 8 1. 자녀양육에서 건강 및 위생의 중요성 = 8 2. 건강 및 위생의 일반내용 = 11 B. 1920년대 자녀양육의 사회문화적 배경 = 16 1. 근대학문의 유입 = 16 2. 유치원의 자모회 = 22 3. ‘어린이’의 발견과 어린이 문화의 다양화 = 24 4. 가정개량운동 = 26 C. 신문의 특성 = 29 1. 신문의 유용성 = 29 2. 1920년대 신문의 독자 = 31 3. 신문분석 관련연구 = 34 III. 연구 방법 = 39 A. 연구 대상 = 39 B. 분석 단위 및 분석 유목 = 42 C.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 46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53 A. 건강 및 위생에 관한 자녀양육 내용 = 53 1. 건강 및 위생에 관한 자녀양육 전체 내용 = 53 2. 건강 및 위생에 관한 자녀양육 주제별 내용 = 56 B. 건강 및 위생 내용의 주체 = 101 1. 의료인의 건강 및 위생 내용 = 102 2. 교육관련 전문가의 건강 및 위생 내용 = 107 3. 종교인의 건강 및 위생 내용 = 114 4. 공공단체의 건강 및 위생 내용 = 118 C. 건강 및 위생 내용의 확산통로 = 124 1. 의료인의 의학적 지식제공 = 124 2. 교육관련 전문가의 위생 강연회 및 가정개량운동 = 133 3. 종교인의 모자보건 사업 = 137 4. 공공단체의 유유아애호데이 사업 = 146 Ⅴ. 논의 및 결론 = 153 A. 요약 및 논의 = 153 B. 결론 및 제언 = 173 참고문헌 = 179 부록 = 190 분석유목에 따른 신문기사 요약 = 190 ABSTRACT = 2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353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20년대 신문에 나타난 자녀양육 기사 중 건강 및 위생 관련 내용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about Childrearing Focused on Health and Hygiene Based on Articles from Chosun-ilbo and Donga-ilbo in 1920s-
dc.creator.othernameKwak, Jungin-
dc.format.pageⅶ, 23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