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9 Download: 0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평가과제에 따른 명사 표현어휘 능력 비교

Title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평가과제에 따른 명사 표현어휘 능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ng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f Language Delay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among Different evaluating tasks
Authors
최승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언어발달지체 아동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동의 언어수준은 크게 수용언어능력과 표현언어능력으로 나누어 평가되며, 세부적으로 어휘, 구문, 화용적인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어휘력은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으로, 구문, 화용적인 측면에서의 언어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어휘력에 결함이 있다면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정상발달하는 아동들은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언어장애가 있는 아동의 경우에는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사이의 편차가 큰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아동의 언어능력을 독립적으로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어휘력의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표현어휘를 독립적으로 평가하는표준화된 공식검사도구가 매우 부족하다. 비공식검사로 표현어휘를 평가하기 위해서 낱말 정의하기, 이야기 다시 말하기, 범주제시 이름대기, 문장완성하기, 설명 듣고 이름대기, 대화상황에서 이름대기 등의 과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에 따른 표현어휘 수행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같은 어휘목록에서의 다양한 과제에 따른 표현어휘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언어연령을 맞춘 일반아동 각각 21명씩 총 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세 가지 명사 표현어휘과제(이름대기, 문장완성하기, 정의하기)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아동들이 과제에 따라 명사 표현어휘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동일언어연령 집단의 명사 표현어휘 과제 정반응률은 언어발달지체아동 집단의 명사 표현어휘 과제 정반응률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2) 집단간 과제간 정반응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정의하기과제에서만 동일언어연령 집단의 정반응률이 언어발달지체아동 집단의 정반응률 평균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3) 집단내 과제간 정반응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름대기와 정의하기과제간, 문장완성하기와 정의하기과제간 정반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이름대기과제 반응에 따른 정의하기과제에서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언어발달지체아동들은 이름대기과제에서의 반응과 상관없이 정의하기과제에서 오반응하는 비율이 더 높았으나, 정의하기과제에서의 정반응율과 오반응율에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일반아동들은 이름대기과제에서의 반응과 상관없이 정의하기과제에서 정반응을 하는 비율이 오반응하는 비율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정의유형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아동들 모두 기능적 정의, 관계적 정의, 분류적 정의, 물리적 정의의 순서로 정의유형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6) 오류유형을 분석한 결과, 이름대기과제에서 두 집단의 아동들 모두 의미적 오류, 기타 오류, 시각적 오류, 음운적 오류의 순서로 오류유형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장완성하기과제에서도 두 집단의 아동들 모두 의미적 오류, 기타오류, 시각적 오류, 음운적 오류의 순서로 오류유형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정의하기과제에서는 두 집단간 오류유형 출현빈도에 특정한 양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정의하기과제가 세 가지 과제 중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일반아동들의 표현어휘 능력의 차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과제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동일한 어휘에 대한 표현가능 여부를 평가하더라도 과제에 따라 아동들의 반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의하기만으로 아동의 어휘력을 평가할 수는 없다. 따라서, 표현어휘 과제에 따라 아동들에게 요구되는 언어능력이 다르며, 이는 일반아동에게서도 동일하게 나타나 다양한 표현어휘과제로 아동의 표현어휘능력을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Evaluating language delayed child's language ability concretely is very important. Children's language can be divided into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and we should evaluate each aspects of language seperately such as semantic, syntactic and pragmatic side of language. Among these aspects of langauge, vocabulary is the basic ability required for expressive language since without this ability other parts of language can not be used properly. Normal developing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re highly related. In contrast,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has deviation between these two aspects of language. This kind of phase emerges among vocabulary ability also. For this reason evaluating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independently is required. However there are less standard language tes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y of expressive vocabulary in Korean noun of language delayed children. Twenty one language delayed children who were exhibiting one or two year of language delay and 21 normal children compared to their language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ighteen nouns were selected and three kinds of expressive vocabulary tasks were provided, which is naming, sentence completion and definition task. Repeated measure of MANOVA and post-hoc test were administer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un expressive vocabulary task depending on the groups. Frequency test were administered to analyze what type of definition each group show, and what type of errors each group show in each task.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 (1) Between groups, language delayed children's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group. (2) Between groups, between tasks, language delayed children's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group only in definition task. (3) Within group, between task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 between naming-definition task and sentence completion-definition task. (4) The frequencies of definition type in both groups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relational definition, functional definition, perceptual definition, and categorical definition. (5) The frequencies of error type in both groups in naming and sentence completion task were foun to be in order of semantic error, other error, visual error and phonological error. There were no special error pattern found in frequencies of error in definition task in both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o perform each expressive vocabulary task different language skills are required in both groups thus different expressive vocabulary task should be used to evaluate a child's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suggests that definition task best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mong three tasks. However, not being able to express a word doesn't mean that the child doesn't understand the wor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child's vocabulary ability through different expressive vocabulary tas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