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조선시대 보패류의 사용과 금제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시대 보패류의 사용과 금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and Prohibition of Jewelry during the Joseon Dynasty
Authors
정진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장신구의 재료인 보패류(寶貝類)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용례와 금제(禁制)를 고찰한 것이다. 여기서 보패류는 복식과 관련하여 조선시대 문헌과 유물자료에서 자주 나타나고 있는 보석(寶石)과 패물(貝物)을 말하며, 옥석류(玉石類)인 옥(玉)·수정(水精, 水晶)·마노(瑪瑙)·공작석(孔雀石)·석웅황(石雄黃)과 유기(有機)물질인 진주(珍珠, 眞珠)·산호(珊瑚)·호박(琥珀) 그리고 기타 재료로서 무소의 뿔이나 거북이의 등껍질과 같은 서각(犀角)·대모(玳瑁)를 포함한다. 보석이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복식을 꾸미는데 애용되어 왔다. 조선은 유교(儒敎)를 국가이념으로 삼아 예(禮)를 중시하여 왔으며, 신분제도라는 국가의 기본질서를 유지해왔다. 신분제사회에서 상류층은 복식을 통해서 그들의 부(富)와 권력을 과시하였으며, 차별적인 복식의 착용을 통하여 존비(尊卑)와 귀천(貴賤)의 구분을 두고자 하였다. 따라서 보석이 장식된 장신구는 예를 갖추는데 사용되거나 착용자의 신분이나 부를 상징하는 역할을 해왔다. 또한 조선사회는 검약(儉約)을 중요시하여, 사치(奢侈)는 국가와 집안의 멸망을 초래하는 것이며 검소함만이 나라를 편안하게하고 집안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 여겼다. 복식의 사치와 검소로도 사람의 지조를 알 수 있다고 하였으며, 사치하는 자는 지혜롭지 못하다하여 멀리하였다. 즉 조선시대의 복식은 예와 법도(法度)를 준수하되 화려함이나 사치스러움과는 거리를 두고자 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검약사상과 신분제에 따른 복식착용의 엄격한 규제는 경제의 발달을 비롯한 사회의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해이해졌다. 조선은 건국이후 사회가 안정을 찾고 발전해 나감에 따라 사무역과 시장유통은 활발해지며 경제구조가 변화하였다. 중국물품의 국내 유입은 쉬워졌고 상품유통부문은 발달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를 축적하게 된 부상대고(富商大賈)들이 출현하였다. 경제적 자립을 한 부상대고들은 의복의 사치를 통하여 경제력을 과시하였다. 상류층과 부상대고의 호화스러운 문화는 점차 서민사회에도 퍼져나가, 서민·천민층에서도 모방심리를 가지고 분수에 넘치는 의복과 음식을 갖추려 하였다. 사치풍조로 재화의 낭비가 심해지니 민생과 국가의 재정은 위협되었고, 조정에서는 궁중이 바로 사치의 근원지라 하여 검소한 덕을 보여야 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조정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분제의 이완과 경제의 발달로 인해 민간의 사치풍조는 지속되었다. 따라서 대표적 사치품인 옥, 진주, 산호, 호박·밀화, 수정, 마노, 서각, 대모, 공작석, 석웅황과 같은 보패류의 용례와 금제에 대한 내용은 『조선왕조실록』,『궁중발기』외 문헌에 나타난다. 이들은 주로 복식에서 장신구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미의식을 표현함과 동시에 신분을 상징하는 역할도 하였다. 특히 옥은 궁중의 상징이라 할 수 있을 만큼 궁중 예물의 다양한 품목에 사용되었다. 옥은 국내에도 산지가 있었지만 채굴금지령으로 인해 사사로이 사용될 수 없었고, 이를 통해 옥은 왕과 신료들의 품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진주, 산호, 호박도 옥과 함께 상류층에서 애용되었다. 진주는 주로 여성장신구인 비녀, 노리개, 가락지에 장식되었고, 가체(假髢)가 금지된 영·정조대 이후에 금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즉 쪽머리가 정착함에 따라 비녀의 장식이 늘었고, 혼례 시 착용하는 족두리와 댕기 등에 진주가 많이 소요되어 이와 관련한 금제도 이 시기에 나타나게 되었다. 산호는 주로 남성장신구인 갓끈에 사용된 예가 나타나며,『궁중발기』에서는 옥 다음으로 비녀나 노리개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산호는 국내 산지에서 얻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도 겸하였으며, 사치품인 산호를 무역해 들이는 문제와 관련한 금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산호의 사용에 제한이 있자 이를 모방한 가짜 산호나 붉은 염료와 점토 등의 사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밀화, 명박, 금패는 호박과 한가지로 갓끈, 풍잠, 비녀, 노리개 등에 장식되었는데, 이들은 구하기가 어려운 만큼 납조밀화(蠟造蜜花)라는 모조품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조밀화의 사용으로 당시 강조되었던 검박한 뜻을 취하고 사치풍속은 멀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수정과 마노는 국내에 산지가 많은 보석으로 대표적인 품목은 갓끈과 장도였으며, 마노는 특히 자마노(紫瑪瑙)가 선호되었다. 서각과 대모는 각각 무소의 뿔과 대모의 등껍질을 말하며, 복식에 장식된 것으로 보석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주로 대(帶)에 사용되어 착용자의 신분이나 계급을 나타내었고, 금제도 신분에 맞지 않게 서대와 대모대를 착용한 것이 문제가 되어 나타난다. 공작석과 석웅황은 다른 보석들과 함께 여성의 비녀, 족두리, 노리개 등에서 조화를 이루어 사용되었으며, 그 사용이 많지 않아 문헌의 기록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며 금제의 내용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열거한 사치품인 보패류에 대한 금제는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신분, 채굴·무역, 사치문제와 관련하여 나타나고 있다. 신분규제와 관련한 금제는 남성장신구에 많이 사용된 옥·대모·서각에 대한 것이며, 채굴과 관련한 금제는 국내에 광산이 있었던 옥과 수정에 대한 것이다. 이들은 조정에서 신분제를 유지시키고 왕권강화와 나라안정을 목적으로 하여 조선전기에 많이 나타난다. 하지만 중·후기로 갈수록 사무역의 발달과 함께 갓끈에 사용된 산호·호박에 대한 무역금제가 빈번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혼례에 사용되는 사치품이나 여성들의 머리장식품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산호와 진주에 대한 금제가 주목된다. 금제가 나타나게 된 배경은 신분제도를 유지하고 사치풍조를 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신분에 상관없이 보패류가 사용되면서 신분계급의 위엄이 사라지고 사회질서가 무너지는 것을 막고자 서민들의 장신구 사용에 제한을 두었으며 장신구의 재료인 보석의 채굴까지 금하게 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치풍조로 인해 보석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었으며 이는 밀무역의 성행과 국가재정의 위기를 야기시켜 사치금지 측면의 금제도 나타나게 되었다. 지속적인 금제의 출현은 보패류가 사람들에게 변함없이 애용되어 왔음을 반증한다. 즉 조선은 6세기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사회와 경제는 점차 발달해 오면서, 당대의 사람들은 부의 축적과 미적 수준의 향상을 이루었기 때문에 금제에도 불구하고 보패류의 사용을 유지하였다. 이상으로 조선시대 보패류의 용례와 금제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사치품인 보패류가 금제가 내려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장신구에 애용된 것을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 연구한 점에 의의를 가진다. 문헌을 위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현존하는 유물에서 확인되지 못하는 용례들이 있으며, 보패류로 범위를 제한하여 금·은·동과 같은 금속류나 칠보, 비취모, 점토 등의 장신구의 다른 재료를 연구에 다루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앞으로 역사적 시대상과 관련한 이해를 통해 상류층뿐만 아니라 서민층의 소비문화도 발전하고 있었음을 파악하며, 장신구의 재료인 보석을 주체로 한 연구를 통해 복식의 일부인 장신구에 대한 가치와 미를 재인식하는데 도움이 되는 깊이 있는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use and prohibition of jewelry, materials of the personal ornaments of the Joseon period. These jewels are frequently shown in the literatures and remains related to dress and accessories, which include jade, pearl, coral, amber, crystal, agate, malachite, orpiment, the rhinoceros's horn and tortoiseshell(carapace). Jewelry has been used to decorate dress and accessories in all ages and countries. Joseon had adopted Confucianism as its state ideology to value much of manners(禮) and had maintained a status system as its fundamental national order. Therefore, the personal ornaments decorated with jewelry had been used to show manners or to represent a person's wealth and power wearing it. In a society with a status system, people of the upper classes show off their wealth and power through differentiated dress and accessories and they intend to distinguish between the high and low by wearing different dress and accessories. Besides, they attached importance to frugality and avoided luxury. That is, they believed that luxury would cause the fall of the country and a family and that only frugality would establish peace of the country and bring a family to prosperity. They also said that a person's integrity can be displayed even from luxury and frugality of dress and kept away from a person of luxury by believing that the person is not wise. Accordingly, the dress and accessories of the Joseon period were designed to be kept away from being showy or luxurious while observing manners and rules. The frugality idea and strict control on dress according to the status system of the Joseon period had been slackened through the changes of the society including economic development. As Joseon stabilized and developed after establishment, private foreign trade and market activities became active and the structure of economy changed. Chinese goods had become to be imported easily into Joseon and the field of goods distribution had developed so that wealthy merchants appeared by accumulating wealth from such activities. Those wealthy merchants showed off their economic power through luxurious dress. As the luxurious culture of the upper classes and wealthy merchants gradually spreaded to popular society, the classes of common and humble people were willing to have dress and food above their means as imitation. These luxurious trends worsened a waste of commodities enough to threaten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and national finance. Thus Joseon's central government considered the Royal court as the source of luxury and that it has to display the virtue of frugality. But de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 those luxury trends of the common class continued due to a slackened status system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literatures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Gungjungbalgi(宮中撥記) and so on has the description on the use and prohibition of jewelry such as jade, pearl, coral, amber, agate, rhinoceros's horn, tortoiseshell, malachite and orpiment, which were typical luxurious articles. These jewels were used as the material of dress ornaments and were used in expressing aesthetic sense and representing a social position in the meantime. The upper classes loved jade, pearl, coral and amber. Especially, jade had been used in various court articles enough to be called as a symbol of the Royal court. Although jade was produced domestically, it could not be used privately according to a prohibition order for mining. And jade could used to maintain the dignity of a king and retainers. Pearl was used in decorating hairpins(簪), women's trinkets Norigae(pendants) and rings, which were accessories for the women and prohibition on them have been often found after the periods of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at prohibited a wig. That is, as the chignon(後髻) became popular, ornament with a hairpin increased and as pearl was much consumed for Jokduri(簇短里, crown) and Daenggi(唐只, pigtail ribbons)-like headpieces and ribbons worn by women on weddings, prohibition related to this came out at that time. There are the cases that coral was used mainly in Gat(笠, hat) strings as men's ornaments and it was used largely in hairpins or women's trinkets next to jade in 『Gungjungbalgi』. Ambers were used in decorating Gat(笠) strings, Pungjam(風簪), ornamental hairpins and women's Norigae. It was characteristic that an imitation called Napjomilhwa(蠟造蜜花, artificial amber) was used as these were not easily available. The use of such an artificial amber made it possible to follow the mind of frugality emphasized at that time and to avoid luxurious trends. Crystal and agate were produced in many places domestically and used typically in Gat(笠) strings and Jangdo(粧刀, an encased ornamental knife). Especially, violet agate(紫瑪瑙) was preferred in agates. The rhinoceros's horn and tortoiseshell(carapace) for the decoration of dress also can be regarded as jewelry. These jewels were used mainly in belts to represent a social position or rank of the man wearing them. Therefore, prohibition came out due to the problem that people wore the belts of a rhinoceros's horn and tortoiseshell not fit to a man's social status. Malachite and orpiment were used in the women's hairpins, Norigae, Jokduri(簇短里) and Daenggi(唐只) with other jewels in harmony. As these were not used in large quantities, the literatures has record on them relatively less than other jewels and prohibition on them has not been found. Above-mentioned prohibition on jewels as luxurious articles came out in relation to the issues of social status, mining, foreign trade and luxury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Prohibition related to the control on social status was about jade, rhinoceros' horn and tortoiseshell used mostly in the men's ornaments and that related to mining was about jade and crystal produced in domestic mines. Most of those prohibitions are found in the early Joseon period for the purposes to maintain the status system, to consolidate the regal power and to stabilize the nation by the central government. But as time went by toward the middle and late Joseon periods, trade prohibition on coral and amber had frequently came ou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rivate foreign trade. And it is noticed that coral and pearl were prohibited in relation to luxurious articles and the women's hair ornaments used on the wedd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background of this prohibition system is classified as measures to maintain the status system and to restrict luxurious trends. That is, prohibition on the common people's use of ornaments was executed to restrict the conditions that dignity of social status disappears and social order falls as jewels were used regardless of social status. Thus even mining of jewels, material of ornaments was banned. Besides, demand on jewels continued due to luxurious trends to cause smuggling prevalent and national finance's crisis. As even the common people had luxurious wedding ceremonies,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became unstable so that a policy of ban on luxury came out. Continuous appearance of prohibition proves that people loved jewels constantly. That is, as Joseon's society and economy developed throughout its long history over 6 centuries, people at that time accumulated wealth and improved their aesthetic senses to keep using jewels despite of the prohibition. We examined the use and prohibition of jewelry in the Joseon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reflected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at jewelry was used continuously in ornaments despite of the prohibition.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some uses were not confirmed in existing remains due to the data collected mainly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s. metals such as gold, silver and copper and other materials of enameling, feathers of kingfisher, clay and so on for ornaments were not included by setting limits on the scope of ornamental materials only to jewelry. It seems that further study are required to grasp that consumption culture developed in the common people as well as in the upper classes through understanding related to periodic conditions in history and to renew understanding on the beauty of the ornaments through studies mainly about the jewelry as ornamental mater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