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48 Download: 0

자연사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itle
자연사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Biodiversity in Natural History Museum
Authors
윤소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생물종다양성 위기의 시대에 이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현실에서 생물종에 대한 다양한 표본과 전시물을 포함하고 있는 자연사박물관을 활용한다면 생물다양성에 관한 수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사와 학생이 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하더라도 수업에 대한 계획과 준비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의미 있는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런데 현재 국내 자연사박물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생물다양성과 연관된 내용이 부족하고, 생물다양성 학습에 적합한 모형이나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생물다양성에 관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사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 초·증·고 과학 교과서 생명 영역에 포함된 생물다양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여 생물다양성의 의미, 생물다양성 감소 원인, 생물다양성 보전 및 중요성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관련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직접 방문과 문헌·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서대문 자연사박물관, 영국 자연사박물관, 일본 키타큐슈 자연사박물관에서 생물다양성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다. 교과서 분석과 자연사박물관 교육의 현황 분석을 통해 생물다양성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박물관 교육 이론을 참고하여 자연사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2개월 동안 5차시에 걸쳐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중학교 1학년 학생 437명에게 적용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적용 시 박물관 교육 담당자인 연구자와 현장 교사, 보조 교사 한 명이 수업에 참여하였고, 수업처치 전·후에 자연사박물관 교육 활동과 생물다양성에 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는 첫째, 우리나라 초·중·고 과학 교과서 생명 영역에는 생물다양성의 의미 영역이 주로 다루어져 있었고, 생물다양성 감소나 그 원인,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 및 대책에 관한 부분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교육과정은 생물다양성과 관련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한 우리나라 자연사박물관의 생물다양성 관련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별로 다양하지 못했고, 생물다양성에 관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반면, 영국 자연사박물관과 일본 키타큐슈 자연사박물관의 경우는 별도의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과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었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를 대상별로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위에서 열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연사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중학생들에게 자연사박물관의 다양한 전시물을 바탕으로 생물다양성의 의미,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원인,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 및 대책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자연사박물관 관람 전 교육, 자연사박물관 관람 교육, 자연사박물관 관람 후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계획, 설계, 제작 단계를 거쳐 교육 담당자를 위한 교육 안내서와 학생들을 위한 활동지를 개발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넷째, 자연사박물관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학생들의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었는지 검증한 결과 학생들이 자연사박물관 교육 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고,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서의 인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하였고, 생물다양성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현장의 교사들이 자연사박물관에서 생물다양성에 관한 교육을 실시할 때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학교 밖 교육 기관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박물관 교육과 학교 교육의 의미 있는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수준과 대상에 따른 다양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biodiversity and, is to fin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bout natural history museum education and biodiversity. For developing the program, researcher is to examine the context of biodiversity in science textbooks developed by the 7th Curriculum and to examine education program of natural history museum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developed program is organized by three steps : 'prior to visiting', 'on-site', and 'after visiting'. And the education guideline for instructor and the worksheets for students are proposed at each educational step. 'Prior to visiting' program includes attention for students before visiting the museum, and suggests that the instructor gives pre-information relating to the biodiversity for stimulating students' curiosity about the biodiversity. For 'on-site' step, the specified worksheet is proposed for the effective education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which consists of the three parts, diversity of plants and insects, diversity of animals, and the sixth mass extinction. The workshee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any pictures and images about biodiversity for raising students'interests. 'After visiting' step is for adjusting the content of inspection during the class time. In addi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effects, the program suggests that the instructor manages the students to publish newspaper for natural history museum. After the program is applicated, this study examined if the program for biodiversity in natural history museum would effect on students' level of awareness about biodiversity and natural history museum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using the developed program for biodversity brought positive increase in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biodiversity, and natural history museum education. Students showed high interest in natural history museum,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museum education, level of awareness on the efficiency of natural history museum. In addition, museum education for biodiversity brings positive effect in expanding students' awareness about biodiversity. In conclusion, using natural history museum resources for biodiversity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bout biodiversit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education programs using natural history museum resour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