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Dewey, Bruner, Freire의 理論에 나타난 古典主義와 浪漫主義 敎育觀

Title
Dewey, Bruner, Freire의 理論에 나타난 古典主義와 浪漫主義 敎育觀
Other Titles
Classical and Romantic Conception of Education with Reference to Educational Theories of Dewey, Bruner and Freire
Authors
盧京姬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DeweyBrunerFreire고전주의낭만주의교육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history of curriculum has witnessed a number of disputes over the meaning and emphasis of educational process. One aspect of the disputes is reflected in the recent controversy between the classical and romantic approach to the curriculum. The classicism, representi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education, views the child as the "adult writ small," and regards it as the prime function of education to mould the child into the pattern of established values and cultural heritage. In contrast, the romanticism views the child as the "source" or "master" of educational process, and seeks to develop the natural instinct and capabilities in the child into a free and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se criteria, Dewey and Freire are usually classified as romantists, and Bruner as a classicist. However, a doubt is felt concerning whether or not the educational idea of these theorists can be meaningfully understood in terms of classical-romantic dichotomy.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xplicate the doubt to a certain extent. Dewey, putting emphasis on the need and interest of the child, envisages the main task of education as one of linking the subject matter to the daily life situations. To him, education is the "growth through experience", the purpose being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human being capable of problem-solving. Intelligence in this context is the means of problem-solv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is made possible by the "reflective thinking" which is the actual working of intelligence. In Bruner, the content of education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Learn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means to understand how things, previously unrelated, come into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this type of learning is best achieved through inquiry and discovery.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knowledge is learnt most effectively when the students are engaged in the same kind of activities as the scholars. When the students learn the structure, they come to master the "mode of thought"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The educational theory of Freire is epitomized in "conscientizasao" as the basis of "human liberation." According to him, learning "words" is not simply the acquisition of skills, but leads ultimately to the changed view of the world and society. Man changes the "world" by changing the "word." He contrasts the traditional "banking concept of education" with the new "problemposing concept of education" with the "praxis" at the core. Praxis means the linking of action and thought, through which man can grasp the reality and emerge from the "limit situation." This is the process of conscientizacao. Seen in the light of classical-romantic dichotomy, the educational theories of Dewey, Bruner and Freire resist simple characterization in terms of any of the two contrasting views. Despite the common classification, each of the three theories is a complex intermingling of various elements in the two approaches. This shows that, even though the dichotomized approaches of classicism and romanticism may be significant as representing the "ideal types" of educational theories, they cannot safely be used to characterize the idea of individual thinkers. Also, the common "labels" notwithstanding, some important common threads are noted in the three theories. They all emphasize the "understanding" as the goal of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expressed in different terms, i.e., "experience", "structure of knowledge" and "praxis" points to the same combination of action and thought. And perhaps most conspicuously, the three theories lean heavily toward the active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the learners. It may be interesting, however, to investigate the theories in the light of their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敎育課程史를 통하여 교육학자들은 교육의 意味와 强調點에 관하여 많은 論爭은 계속해왔다. 교육에 관한 이러한 論爭은 시대와 사회에 따른 의견의 差異를 반영하지만, 오늘날 그 論爭은 古典主義(Classicism)와 浪漫主義(Romanticism)라는 두 가지 입장의 대립으로 요약된다. 古典主義는 과거의 傳統主義的 敎育觀으로서, 아동을 '어른의 縮小版'으로 보고 기존의 문화유산과 가치관을 아동들에게 일반적으로 注入함으로써 아동을 일정한 틀에 맞추는 것을 교육의 機能으로 보고 있다. 이에 反하여 浪漫主義는 '아동'을 '교육의 主體'로 보고 아동의 要求나 本性을 최대한으로 개발하여 그로 하여금 자유롭고 창의적인 인간이 되게 하는 것을 그 目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준거에 의하면 Dewer, Freire는 浪漫主義者로, Bruner는 古典主義者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들 세 사람의 교육이론을 "古典主業" 또는 "浪漫主義"로 二元化하여 파악하는 것이 과연 그들의 이론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Dewey는 아동 개개인의 興味와 欲求를 존중하고, 일상생활의 경험을 교육 장면에서 이행함으로써 교육이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였다. 그가 주장하는 교육은 '經驗을 통한 成長'이며 그 결과로서 '問題解決'(Problem-Solving)을 할 수 있는 '知力'(Intelligence)을 지닌 인간을 그 目的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知力'이란 바로 問題狀況의 극복을 위해 작용하는,問題解決을 가능하게 하는 動力이며, 인간의 經驗은 '知力'이 작용해가는 방식인 '反省的 思考'(Reflective thinking)에 의해서 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Bruner에 의하면 교육내용의 핵심은 '지식의 구조'(structure of knowleage)이다. 지식의 구조를 파악한다는 것은 사물이나 現彖이 어떻게 상호관련 되어 있는가를 학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發見과 探究學習이 중요한 방법이 된다. 다시 말하면, 학자들이 學問의 최전선에서 學問을 探究하는 것과 同一한 方法으로 兒童들이 學問을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知識의 構造'를 學習한다는 것은 '兒童들이 發見과 探究를 통해 각 敎科에 대한 자신의 안목, 즉 思考方式(The mode of thought)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Freire의 교육이론의 핵심은 '意識化(congcientizacao)'이다. 그의 교육의 목적은 인간다운 現存을 위한 '人間의 解放'이다. 따라서 그는 글을 배우는 것을 단순한 기술습득이라고 보지 않고, 그것은 價値體系, 思考方式의 形成, 그리고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과정으로 보았다. 그는 종래의 '權威'에 의한 교육을 '銀行貯蓄式 敎育'(The banking concept of education)이라고 비판하면서 '프락시스'(praxis)를 통한 '問題提起式 敎育'(problem posing concept of education)을 提案하였다. 여기서 '프락시스'는 行動과 思考의 연결과 반복을 가리키며 인간은 이 '프락시스'를 통해서만 問題를 認譏하고 또한 그들을 限界지우는 '限界狀況'(Llmlt situation)을 극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것이 '意識化過程'이다. 이상 Dewey, Bruner, Freire의 교육이론에서 추출할 수 있는 공통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이론을 '敎育이라는 現象'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그 궁극적 目的에 나타나는 意味는 정반대의 성격이 아니다. 오히려 '敎育의 目的'으로서 問題를 의식할 즐 알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자신의 안목을 가지는 상황, 즉 '理解'라는 개념에 一敎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敎育內容도 각기 다른 用語로 表現되고 있을 뿐이지만(즉 經驗과 反省的 思考, 知識의 構造, 프락시스)"理解"라는 교육의 共通的 目的을 위해서 行動과 思考의 結合性을 주장함으로써 같은 內容으로 귀착되고 있다. 세째, 敎授體制로서의 敎師와 學生의 關係에 있어서도 과거의 敎師中心的 諦義가 아닌 敎師와 學生의 상호작용아래 學生의 적극적인 활동과 參與를 强調하는 점에서 그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따라서 세 사람의 교육이론에는 古典主義와 浪漫主義的 要系가 복합적으로 얽혀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古典主義와 浪漫主義는 傳說的인 '理想型'으로서는 대립되는 敎育觀을 나타내고 있지만, 한 교육학자의 교육이론이 그 理想型중의 어느 한 견해에 전반적으로 일치되는 것은 아니다. 세 사람의 교육이론은 그 시대나 사회적 배경에서의 異質的인 요소로 말미암아 서로 다른 용어로 표현되기는 하지만 그것이 표현하고자 하는 이념은 동일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 공통된 이념은 넓게 "人間다운 삶을 위한 교육'이라는 말로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주체적으로 말하면, 교육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안목을 가지고 세계를 이해하면서 살도록 하는데에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