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8 Download: 0

Haeussermann 검사 방법의 妥當性에 관한 豫備調査

Title
Haeussermann 검사 방법의 妥當性에 관한 豫備調査
Other Titles
(A) priliminary study on the validity of haeussermann's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al level of cerebral palsied preschool children
Authors
愼昌慶.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Haeussermann뇌성마비아동발달수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Our country's Constitutional Law and the Law of Education provide that every individual must hav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hether they are physically handicapped, mentally handicapped or emotionally or socially handicapped, the state must provide all children the opportunity to learn, and adapt educational programs to meet the needs. We are concerned with the numerous amount of physically handicapped or crippled children in need of special education. Above all, the cerebral palsied childrer among the many types of physically handicapped need special education especially cerebral palsied children because of the highstatistics being around 160 thousand. As compared with a developed country's special educational program, our educational policy and special educational program is very poor or in on earlystage. Therefore, numerous cerebral palsied children have a lack of opportunity to learn. Almost all of the exceptional children are without guaranteed education.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planners must quickly implement educational policy. And special education reserchers are encouraged to explore the future. It is the intent of this paper to establish the early scientific findings, early diagnosis, early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adaptation for the cerebral palsied children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learning ability of cerebral palsied children. So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dapt and use the Haeussermann's material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lse Haeussermann's approach is reliable for determining the psychoeducationally standing of each child in a preschool program for cerebral palsied children. Therefore the beginning of this study will explain the physical, mental, emotional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ed educational problems. W. Minear states "Cerebral Palsy is described as a complex of neuromuscular disability, comprising motor and other symptom complexes, caused by one or more non-progressive brain lesion". Cerebral palsy is classified (1) Spastic type, (2) Athetosis type, (3) Rigidity type, (4) Ataxia type, (5) Tremor type. And there is a tendency to think of the cerebral palsied child as one whose motor ability is moderately to severely limited by muscle stiffness, incoordination, involuntary movement or after neuromotor qualities which provide motor disability and associated defects in cerebral palsy. The associated defects are (1) seizure, (2) motor disability and behavior defects, (3) hearing defects, (4) visual deficits, (5) general sensory impairment, (6) perceptual problems, (7) communication problems, (8) mental retaradation, (9) emotional disturbance (10) learning disability. What was needed was a way to test adapted Educational methods to increase the cerebral palsied child's learning ability. But a general standarlized psychoeducationally testing method was found to be unrelable. I think that the Haeussermann's approach is very good to gain an assessment of the child's ability. The second part, this paper will introduce the Haeussermann approach. The educational evaluation utilizing Haeussermann's approach is a structured testing and educational procedure designed to assess the child's present functions and level of achievement in a variety of areas. By providing an individualized diagnostic teaching program early in the child's educational career, it may be possible to avoid establishing or compounding habits which could handicap his learning. Specific learning skills in five areas of functioning are assessed by the 41 test items. For effective learning, the child must acquire skills in the areas of (1) physical functioning and sensory status, (2) perceptual functioning, (3) competence in learning for short-term retention, (4) language competence and (5) cognitive functioning. In this part the paper will simply describe the process of how to make and instructions on how to test and what to be aware of. In part three, the paper deals with appling Haenssermann's approach to test cerebral palsied children's learning ability in Korea, whether, it is a reliable approach or not. Procedure; 30 subjects were chosen from Sam Yoock rehabilitation institution 14, YunSae rehabilitation institution 6, municipal child hospital 10 in Seoul and the Haeussermann's approach was applied. The period was 40 days from Sep. 10 to Oct. 20 which include a pretest and main test. From this thirty cerebral palsied children were selected preferably preschool children from 4 years to 6 years old. This paper was compiled from the results of combining Haeussermann's materials with the children's medical records, and occupational therapist records. Except in areas where comparison was impossible, the results utilizing Haeussermann's materials consisted five areas, 41 main item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occupational therapist's observation records in the proportion of 90 to a hundred (90%). So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Haeussermann's test is a good measuring device to test the learning ability of cerebral palsied preschool children in Korea. This conclusion must pay attention to some points. First,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ecord should be reevaluated in inaccordance with Haeussermann's items, becaus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ecords are not unquestionable. Secon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ecord, the medical aspect is poor measuring device to determine the learning ability for cerebral palsied children. Therefore, I believe Haeussermann's test is a good device scientifically to evaluate education and to establish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erebral palsied children in Korea.;우리나라 헌법과 교육법은 모든 국민은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는 비록 신체적, 정신적, 정서 및 사회적인 장애가 있는 아동에게도 교육의 기회균등과 그의 능력에 맞는 교육을 확실히 보장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신체적 장애아동인 지체부자유아동이 있는데 그 가운데서 뇌성마비아동만 해도 그 숫자가 무려 16만이나 된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에 대한 국가나 사회의 교육적조치와 그 교육방법을 살펴본다면 특수교육의 현실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도 초보적이고 미흡하므로 수 많은 뇌성마비아동들이 교육기회를 상실하고 거의 버림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방면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 조치는 긴급하고 특수교육학도들의 사명감있는 학문적 개척활동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특수교육영역의 한 부분인 뇌성마비아동에 대하여도 과학적인 조기발견, 조기진단, 조기교육적 조치, 교육교정등을 효과적으로 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한 임상적인 접근방법으로 뇌성마비아동의 발달수준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 측정으로 Else Haeussermann의 검사방법을 채택하고저하는데 이 방법이 우리나라 학령전 뇌성마비아동의 발달수준 측정과 평가에 과연 타당한 것인가 이에 대한 실험연구를 해보고저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임을 서론에서 언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먼저 제1장에서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 및 사회적 특성과 그에 따른 敎育問題를 논하였다. 뇌성마비란 W. Minear가 말한 바와 같이 "非進行性 腦의 病菓로 인한여 야기된 筋力과 기타 複合症狀을 수반한 복합성 筋肉障碍"를 말하는데 뇌성마비는 (1) 경직성 (spastic type) 마비, (2) 무정위운등증 (athetosis type) 마비, (3) 강직성 (rigidity type) 마비, (4) 실조성 (ataxic type) 마비, (5) 진전성 (tremor type) 등의 여러가지 증상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뇌성마비의 특성으로 그 증상들의 복합성을 들 수가 있는데 그 복합성의 양상에 따라 뇌성마비는 다양한게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복합적증상 또는 그 장애의 정도에 따라 여러가지 합병증을 나타내는데 그 중요한 것을 들어보면 (1) 발작 (seizure), (2) 운동 및 행동상의 장애 (motor disability and behavior defects), (3) 청력손상 (hearing defects), (4) 시각장애 (visual deficits), (5) 일반적인 감각손상 (general sensory impairment), (6) 지각문제 (perceptual problems), (7) 의사소통의 장애 (communication problems), (8)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9) 정서상의 장애 (emotional disturbance), (10) 학습장애 (learning disability)등이다. 이러한 합병증이 뇌성마비의 둘째 특성이다. 따라서 그와같이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을 가지고 그 정도가 또한 각각 다른 뇌성마비아동의 발달수준을 측정하고자 하는 검사방법은 상당히 치밀하고 다각도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표준화된 검사방법에 의한 아동별 優劣測定方法으로서는 부족하기 때문에 뇌성마비아동의 여러 특성에 적절한 과학적인 검사방법이 꼭 필요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여러 특성을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발달수준을 측정한다는 어려운 과업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검사방법으로서 Haeussermann의 검사방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이 검사방법의 작성경위와 그 내용을 설명하였다. 이 검사방법은 뇌성마비아동의 발달수준을 측정합에 있어서 (1) 신체기능 및 감각기능 (physical functioning and sensory status), (2) 지각기능 (Perceptual functioning), (3) 암기능력 (competence in learning for short term Retention), (4) 언어학습능력 (language competence), (5) 인지적기능(cognitive functioning)과 같은 다섯개 분야와 그 각분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모두 41개 항목으로 검사항목을 성정하였다. 이 검사방법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고 각 항목의 검사를 실시하는 방법과 유의하여야 할 점에 대해서도 간단히 서술했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소개한 Haeussermann의 검사방법을 우리나라 뇌성마비아동의 발달수준측정에 사용하여도 좋을지 그 타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이 검사방법을 가지고 학령전 뇌성마비아동 (4세에서 6세까지) 30명을 표집하여 예비조사를 포함하여 1977년 9월10일부터 10월20일까지 40일간 실험해본 결과를 소개하였다. 즉 대상자 30명은 서울 신림동 소재 삼육재활원에서 14명, 연세재활원에서 6명, 시립아동병원에서 10명을 선정하였다. 그 내용은 “表2"에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Haeussermann의 검사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표집대상아동에 대한 병원 기록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것은 실험대상아동 30명에 대한 담당의사의 진단서와 담당 작업치료전문가의 기록을 말한다. 비교가 불가능한 부부은 제외하고 앞서 소개한 Haeussermann 검사방법의 5분야, 41개 항목중에서 비교가 가능한 항목에 한하여 양자의 검사결과 또는 관찰결과의 일치여부상황을 “表4”로서 表示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Haeussermann검사결과와 작업치료 전문가의 기록의 일치도는 90%라는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Haeussermann검사방법을 우리나라 뇌성마비아동에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맺었다. 결론을 맺음에 있어서 유의하여야 할 몇가지 점을 열거하였다. 첫째로 Haeussermann검사방법에 의한 본인의 실험결과와 작업치료전문가의 기록을 비교함에 있어 작업치료 전문가의 기록을 중요시 하였으나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항목에 대하여는 작업치료전문가의 기록을 재검토할 필요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작업치료전문가의 기록은 의료적인 관점에서 관찰한 결과의 기록이므로 그 관찰이 미치치 못하는 더 넓고 깊은 분야에 대한 관찰은 Haeussermann검사방법이 아니고서는 할 수 없다는 점에 우리는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Haeussermann검사방법이 우리나라 뇌성마비아동의 과학적인 교육진단 및 교육계획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