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역할수행정도

Title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역할수행정도
Other Titles
(The) working parents' expectation toward their children's and the degree of parenting
Authors
홍정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아기자녀행동발달맞벌이부모역할수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실제 부모 역할 수행 정도를 분석해 보고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부모 역할 수행 정도가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특성(자녀의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가? 2.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는 부모의 일반적인 특성(부모의 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어떠한가? 3. 유아기 자녀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역할 수행 정도는 자녀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가? 4. 유아기 자녀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역할 수행 정도는 부모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어떠한가? 5.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부모 역할 수행 정도는 관계가 있는가? 6.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부모 역할 수행 정도의 관계는 자녀의 성별, 부모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살고 있고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유아의 연령이 만 3세에서 만 6세까지)를 둔 맞벌이 부모인 어머니 266명과 아버지 2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맞벌이 부모의 자녀 행동에 대한 부모의 기대와 부모 역할 수행에 관한 자료는 질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검증, 빈도, 백분율,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모들은 그들 자녀의 성별이 무엇이든 지간에 자녀 행동에 대해서 갖는 기대가 거의 유사했다. 그러나 자녀의 연령에 따라서는 맞벌이 부모의 기대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연령이 어릴수록 부모의 기대 수준이 높아졌다. 2. 유아기 자녀가 있는 맞벌이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 행동에 대한 기대 수준은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맞벌이 부모의 연령은 자녀 행동에 대한 기대와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맞벌이 부모의 연령이 낮을수록 기대 수준이 높아진다. 또한 맞벌이 부모의 직업 유형도 유아기 자녀의 행동에 대한 기대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문직에 종사하는 맞벌이 부모의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맞벌이 부모의 학력은 유아기 자녀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기 자녀의 범주별 행동에 대한 부모의 기대에서는 부모의 성별, 연령, 학력, 직업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3. 맞벌이 부모들이 그들의 유아기 자녀에게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 정도는 자녀의 성별이나 연령에 상관없이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4. 맞벌이 부모들이 그들의 유아기 자녀에게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 정도는 맞벌이 부모의 학력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맞벌이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맞벌이 부모의 연령이 어릴수록, 관리직, 사무직, 비숙련/숙련 및 판매직, 전문직 순으로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 정도가 높았다. 5.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부모 역할 수행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부모 역할 수행정도의 관계는 어머니와 아들일 때 더욱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아버지와 딸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is is to investigate the working parents'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ren's behavior, the degree of actual parenting, and to examine if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working patent's expectations and their parenting levels. To satisfy those purpose, six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parent's expectation toward their children's behavior and the children's features (such as sexes, ages)?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s of working parents and the general features of themselves (sexes, ages, school backgrounds, occupations)? 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enting and the children's features in early childhood? 4.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enting and tne general parent's features? 5.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of working parents and their parents level? 6.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and parenting level effected by the children's sexes, or the parent's sex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mothers and 263 fathers of kindergarteners(3-6 year-olds) from working familie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s and counted the F-test, the frequency distribution, the percentil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y SPSS progra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working parents of kindergarteners have almost similiar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ren's behavior no mather what their(the children's) sex is. However, the statistics showed that parents have different expectation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variations. The younger children, the higher expectations. 2. Mothers have a tendency of having higher expectations than fathers. The age of parents is related to their expectation toward children's behavior. The younger they are, the higher expectations. Moreover, the type of parent's occupations exert an influence to their expectations : the professionals have the highest expectations, The school bacrounds, however, have no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expectation toward children's behavior. Meanwhile, every variation of parent's fertures like sexes, ages, educations, occupations, effect to the working parent's expectations toward children's categorized behaviors. 3. In the degree of parenting, the working parents have a tendency of doing their parental role no matter what the children's sexes or ages are. 4.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the parent's school background. However, the more mothers than fathers, the younger they are, and in order of managing work, official work, unskilled or sales work, professional, the higher degree of actual parenting was committed. 5.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s of working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s behaviors and their practical parenting level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parenting of working parents was more significant in mother-son relation, 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ppeared between fathers and duaugh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