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숙-
dc.creator박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4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8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시각에 비추어 우리나라 현행 중학교 국사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에 숨겨진 정치적 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국사 교과서의 잠재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생들이 배우게 되는 학교 지식이 교과서를 통하여 전달된다고 할 때 교과서의 내용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단지 교과서를 받아 들이기 보다는 교과서에 숨겨진 의도를 찾아 내기 위해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하고 발전적인 방향 모색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개념 정의, 다양한 시각을 기능론적 시각과 갈등론적 시각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잠재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으며 그 분석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 목표의 잠재적 의미 2. 중학교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대한 분석 3. 중학교 국사 교과의 평가에 대한 분석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중학교 국사 교과의 목표는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인간에 두고 있으며 학문적 목표보다는 국가 체제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하는 국민정신의 강화에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 우리나라 중학교 국사 교과의 내용 선정과 조직은 연대사적 구조에 주제 중심으로 표방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교과서의 내용 대부분은 정치사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 학생들의 흥미나 요구보다는 정치지배집단의 필요에 의한 내용이 선정되고 조직되었다. 3. 우리나라 중학교 국사 교과의 평가는 다양한 평가제도를 제시하고 있으나 주입식·암기식의 점수에 의한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입시에 필요한 지식만을 중시하여 학생들의 사고력과 비판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학교교육이 특정 집단의 이데올로기만을 전수시키고 내면화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부정적인 측면을 중시해서 분석하고 바람직한 학교 교육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겠다. 교과서에 대한 잠재적 의미의 연구 뿐만 아니라 학교 내·외의 여러가지 요소에 대한 잠재적 의미의 발견이 계속되어서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 우리나라에도 확립되도록 노력해야 하겠다.;This study is focused on two subjects. The one is to criticize the ideology of the political control group and the other is to analyze the hidden meaning of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through examining the current textbooks. Supposing that the school knowledge which students are learning is based on the textbooks, the implications that textbooks suggest are very significant. Refined recognition about the hidden curriculum and desirable direction for research is more important than the tacit approval of the content of textbooks, for the purpose of chasing the hidden intentions. This study is an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concepts, various viewpoints of the hidden curriculum, mainly from the functional viewpoint and the conflict one.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examination of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definite contents are as follows : 1. The hidden meaning of educational objectives introduc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2.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troduc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3.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for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main educational objectives of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s set on the man who understands and accepts the streams of history and on the intensification of national spirit to approve the justification of political system. 2.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textbook content is characterized by the chronological structure which emphasizes the topics. But as a matter of fact, most part of the textbooks are structured focusing on political history. As a result the sources which are needed by the political group are selected and organized rat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interest and need are concentrated. 3. The evaluation introduced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re manifold, but the evaluation by cramming and memorizing method is prevailing. The fact that the knowledge needed for the examination is regarded as being important weakens student's faculty of thinking and of criticizing. The negative aspect of hidden curriculum should be highlightened so that schooling might not instruct and internalize the ideology of the specific political group. For the firm establishment of the sincere education should be needed not only by the study of the textbooks but also that of discovery of hidden mea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4 C. 선행연구 = 4 Ⅱ.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 8 A. 잠재적 교육 과정의 역사적 배경 및 개념에 대한 정의 = 8 B. 잠재적 교육과정의 시각 = 19 Ⅲ. 잠재적 교육과정의 시각에서 중학교 국사 교과서 분석 = 33 A. 교육 목표 = 33 B. 내용의 선정과 조직 = 37 C. 평가 = 46 Ⅳ. 요약 및 결론 = 48 참고문헌 = 53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34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국사교과서-
dc.title잠재적 교육과정 시각에 비추어 본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FOR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HIDDEN CURRICULUM-
dc.format.pagev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