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7 Download: 0

20세기 신발 디자인 연구

Title
20세기 신발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hoes Design of the 20th Century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20세기신발디자인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shoes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accessaries by classification and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to domestic shoe makers through analyzing the trend of shoe design. The range of this study is the whole western shoes containing ladies' shoes, loafers and brogue of manish style and training shoes. As a method of accomplishing this study, precedent theses, the articles and magazines related to the fashion have been examined and kept surfing the internet. Originated in ancient egyptian sandal, shoes have been diversifi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limates and established in the modern shape. Shoes are consist of upper, sole and heel and toe shape, heel shape, top line and details are the crucial elements of influencing shoe design. Methods of shoe making are classified by cementing, stitching and moking. The shoes of the 20th are categorized by shape as 1follows; Pumps style, slippers style, sandals style, platforms style, loafers style, oxford style and boots style. According to the trend of shoe design in the 20th centtry, seven charicteristic designs can be categorized; minimalism, romantic, ecology, techno, post modern, excessive decoration, fetish. The image of minimalism is expressed by the restrained details, extremely small size and using minimum color. The image of romanticism is represented by using soft color or strong vivid color and Patterned textile. And it is represented by decorating with elegant animal fur and frill, fringingand beeds of feminine image. The image of ecology is expressed by using natural materials by method of hand- made. The image of techno is represented by using colors and materials of cyber space image originated in futuristic fashion in the 60's and showing the futuristic mode emphasizing the functional aspect. The image of postmodernism is extracted by the humourous and creative design expressed by designer's own taste. The image of excessive decoration is represented by, what is called, work of art for actress decorated with gems and imitation jewelry. The image of fetish is expressed by shoes which is the component of the fetish fashion started from the 19th century. The domestic shoe making indusry has prbloms such as lack of making experiences and accumulated technic. This study has tried to link theoretical researches to actual design field and also madde a new attempt to present the direction to develope more various and competitive shoe design related shoe business reflecting fashion trend and consumer tastes.;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개성강조 풍조와 더불어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패션악세서리 중 가장 필수적인 아이템인 신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서양식 신발의 형태별 특성과 변천과정을 종류별로 고찰하고, 참신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간 표현의지의 특징에 따른 신발의 유형을 분석하여 정리하는데 있다. 연구범위는 1900년 이후부터 최근 2000년까지의 여성용 구두를 비롯하여 남성적인 로퍼와 브로그, 스포츠 감각의 트레이닝 슈즈를 포함한 대표적인 서양식 신발 전체를 다루었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선행연구와 패션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패션잡지, 제화업체 카탈로그, 박물관 화보집 등의 시각자료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을 참고하였다. 신발은 크게 갑피(upper), 창(sole), 굽(heel)으로 구성되며, 코 모양(toe shape), 굽 모양(heel shape), 톱 라인(top line), 장식(detail)등이 신발 디자인 변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신발 제조방법에는 크게 시멘팅(cementing), 스티칭(stitching), 몰딩(molding) 등으로 분류되며, 20세기 이후 생산기술의 발달로 신발 재료와 신발 제조방법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고대 이집트의 샌들에서 시작된 신발은 지역적 특성과 기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화되어 오늘날의 형태로 정착되었다. 20세기의 대표적인 신발의 형태는 끈이나 단추같은 여밈장치가 없는 펍프스(pumps) 스타일, 뒤가 트인 슬궈퍼(slippers) 스타일,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샌들(sandals) 스타일, 클로그와 웨지를 포함한 통굽 형태의 플랫폼(platforms) 스타일, 끈이 없는 단화형태의 모카신과 로퍼(loafers) 스타일, 브로그와 스니커즈를 포함한 끈으로 묶는 단화형태의 옥스최드(oxford) 스타일, 부츠(boots) 스타일 7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minimalism), 로맨틱(romantic), 에콜로지(ecology), 테크노(chne), 포스트모던(post modem), 과잉장식(excessive decoration), 페티시(fetish)로 구분하였다. 첫째, 미니멀리즘은 디자인 자체를 단순하게 하거나 사이즈를 극단적으로 작게 하거나 색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블랙을 위주로 하여 단색의 색조와 장식을 최소한으로 사용한다. 둘째, 로맨틱 이미지는 여성스러운 스타일에 로맨틱한 분위기의 소프트 컬러나 강렬한 원색을 주로 이용한다. 또한 우아한 동물의 털, 아름다운 패턴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고 여성스러운 리본이나 프릴, 프린징, 비즈(beads) 장식을 많이 한다 셋째, 에콜로지 이미지는 자연적인 동, 식물성 소재를 수공예 기법으로 만든 것으로 주로 자연적인 색상을 주로 하여 멀티컬러를 사용한다. 넷째, 테크노 이미지는 60년대의 미래주의 패션을 시작으로 사이버 스페이스적인 색채와 소재를 사용하고 하이테크놀로지 문화를 반영하여 신발 원래의 기능적인 면을 특히 강조한 다분히 미래적인 모드를 보여준다. 다섯째, 포스트 모던 이미지는 디자이너 개인적 취향에 의해 개성적으로 제작된 아주 독특하고 유머러스한 디자인이다. 여섯째, 과잉장식은 다채로운 색채와 고급스러운 소재에 천연보석과 모조보석을 수공예 기법으로 장식한 매우 화려한 신발로 주로 영화배우를 위해 제작된 예술품이다. 일곱째, 페티시 슈즈는 19세기부터 있어왔던 페티쉬 패션의 중요 아이템으로 힐의 높이를 극단적으로 과장하여 신발로서의 기능이 불가능하다. 의류학에서 액세서리 분야는 학문적으로도 중요도와 관심이 부족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점이 많다. 이에 필수 액세서리인 신발의 디자인 유형을 정리함으로써 신발 디자인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고, 나아가 일반인들에게 신발에 관한 정확한 지식을 주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