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유행의견선도력과 의복구매행동과의 상관연구

Title
유행의견선도력과 의복구매행동과의 상관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ashion leadership and Consumer Behavior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유행선도력의복구매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focus on college women who are the most interested group in clothing. It classified them into groups by adopting achivement motive, finding out how the relation between achivement motive and Fashion leadership, and achivement motive and economic factor would influence Fashion leadership in the end, and analyzing their wearing and purchasing bahavior.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setting up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argeting women from in their late teens to 20's, particularly for the clothing companies which target college women.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classify women in their late teens and 20's into subordinate groups on the basis of achivement motive, career, occupations they hope to get, and the value of profess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chivement motive and Fashion leadership among the groups. Second, it is to compare and analyze clothes purchasing behavior in the light of the occupation they hope to get among the subordinate groups, and to propose a specific marketing strategy and plan for the result. Third, it is to find out how achivement motive and economic factor would relatively influence Fashion leadership. In addition, it is to examine the personal envionmental factors of college women, and to analyze them.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710 college women living in Seoul, who a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in 6 colleges totally : 2 universities, 2 woman's universities, a college and a woman's college. And the model sampling is done by allotment sampling based on the『lndex of National Public Land Value』 Modified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er studies in used, and using SAS packages,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discrimination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χ^(2) -test are applie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women's general tendency about was examined. Second, college women in Seoul are classified into 3 subordinate groups by achivement motive, 3 subordinate groups by career, 8 occupation groups by the occupation they hope to get, and 3 subordinate groups by the way of thinking.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hivement motive and the extent of interest in fashion was proven to exist among the subordinate groups including the total college women group. However, specifically the subordinate groups based on achivement motive have no correlation among themselves. Third, clothes purchasing behavior was examined, mainly in the respect of 3 subordinate groups by career, 8 occupation groups by the occupation they hope to get, and 3 subordinate groups by the way of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7 clothes purchasing behavior factors such as purchasing motive,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tore selection standards, place of purchase, a companion, price of purchase, and the reason for satisfaction are prove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ubordinate groups by career. However, the other 5 factors such as informants, shopping time, paying methods, purchasing condition, frequency of purchasing, and dissatisfaction behavior are proven not to be so different. In addition, among subordinate groups by the occupation they hope to get, 8 factors such as purchasing motive,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informants, store selection standards, purchasing condition, a companion, price of purchase, the reason for satisfaction are proven to be fairly different, but frequency of purchase, place of purchase, paying methods, shopping time is the exception. When it comes to the subordinate groups by the value of profession, 8 clothes purchasing behavior factors such as purchasing motive,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informants, store selection standards, place of purchase, purchasing condition, frequency of purchase and price of purchase are prove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other factors such as shopping time, paying methods and a companion are proven not to be quite different among the groups. Forth, Fashion leadership is influenced by achivement motive and economic factor, but likely to be more affected by financial factor. On the contrary, it proves that achivement motive is more influential than total montly income, especially for the employment group among the subordinates by career, art-related job group among the subordinates by the occupation they hope to get, and the college women group of college and woman's univerisities.;본 연구는 의복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은 계층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졸업 후의 진로와 직업 및 성취동기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였다. 또한 이들 집단의 일반적인 경향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취동기와 유행의견선도력의 관계, 성취동기와 경제적 요인이 유행의견선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고 성취동기 하위집단들의 의복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10대후반에서 20대 여성, 특히 여대생들의 최근의 지향하는 바와 의복을 연관시켜 여대생들의 요즈음 의복행태를 근본적으로 이해하는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간접적으로 이러한 근본적이 이해가 이들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류업체에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들의 성취동기, 졸업후의 진로, 직업가치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본다. 둘째, 성취동기, 진로, 희망직업, 직업가치라는 각각의 요인에 의하여 하위 집단을 분류하고, 집단내의 성취동기와 유행의견선도력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셋째, 유행의견선도력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본다. 넷째, 희망직업을 중심으로 한 하위집단간의 의복구매행동을 비교분석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여대생 7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표본추출은 교육통계편람(1996)을 참고로 하여 남녀공학 4년제 대학 2개교, 여자 4년제대학 2개교, 남녀공학 전문대1개교, 여자전문대학 1개교 총 6개교를 여학생 수 기준으로 선정, 실시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법을 사용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A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피어슨 적률 상관분석, x^(2)_test, ANOVA, 회귀분석등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들은 53%가 일을 좋아하고 일에 있어서 경쟁심을 보이며 자기일을 끝까지 완성시키는 정도에 있어서 기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졸업 후96%가 취업이나 진학을 하려고 하고 있었다. 또한 직업선택시에는 자아발전의 기회를 중요시하고 있었고 구체적인 직업으로는 예술·디자인 관련직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둘째, 서울시내 여대생을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3개의 하위집단, 진로에 따라 3개의 하위집단, 희망직업에 따라 8개의 직업군, 가치관에 따라 3개의 하위집단으로 각각 분류하였으며, 전체 여대생 집단과 각각의 하위집단내에서의 성취동기와 유행관심도의 상관관계는 대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성취동기 하위집단 내에서의 상관관계는 거의 비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유행의견선도력에는 성취동기와 경제적 요인이 동시에 영향을 미쳤지만, 대체적으로 경제적요인이 유행의견선도력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진로에 따른 하위집단 중 취업집단, 희망직업에 따른 하위집단 중 예술관련직 집단, 그리고 전문대와 여대 여학생 집단의 경우는 성취동기와 가정의 총월수입과 비교할 때 성취동기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울시내 여대생의 진로에 따른 3개의 하위집단, 희망직업에 따른 8개의 직업군, 가치관에 따른 3개의 하위집단을 중심으로 의복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진로에 따른 하위집단간에는 구매동기, 의복선택기준, 점포선택기준, 구매처, 동행인, 품목별 구매 가격대, 만족요인 등 7개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정보원, 구매시기, 구매빈도, 구매상황, 대금지불방법의 5개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희망직업에 따른 하위집단간에는 구매동기, 의복선택 기준, 정보원, 점포선택기준, 구매상황, 동행인, 품목별 가격대, 만족요인의 8개 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구매처, 구매빈도, 구매시기, 대금지불방법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가치에 따른 하위집단의 의복구매행 동에 있어서는 구매동기, 의복선택기준, 정보원, 점포선택기준, 구매처, 구매상황, 구매빈도, 품목별 가격대 등 8개의 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구매시기, 대금지불방법, 동행인, 만족요인의 가지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