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교사들의 권력부여에 대한 인식

Title
교사들의 권력부여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Empowerment
Authors
위여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교사권력부여서울지역일반계 중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aning of the teacher empowerment which has come to front as the core subject of the educational reform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quality, to present a advancing direction in the future in other to empower teacher and to initiate a discourse on empowerment among teachers that emerges out of their experience. For this study purpose, both literature and survey research were used. In literature research, the meaning of the empowerment as a facilitative power was studied. Change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s' actual enlargement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were presented as a plan to empower. And school administrator leadership was inquired for teacher empowerment. The specific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teachers have become empowered? 2. How schools have become empowered? For this study of social survey, 360 teachers from 12 schools were sampled. 330 teachers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The questionaire consists of two parts. Part one is to investigate teacher empowerment. Contents of part one are as follows:(l) pride in the teaching profession (2) self-confidence in their competence (3) responsibility for teaching (4) investment for teacher's development (5) self-autonomy (6) openness. Part two is to investigate the school empowerment. Contents of part two are as follows: (1) teacher's autonomy permitted by school (2) suppor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s school activities (3) supports for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4) cultural cohesion in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eachers empowerment is relatively high. (1) They have considerable pride on their professor a s a teacher. (2) They have above average self-confidence. (3) They have very high level of responsibility. (4) They invest on a level that is about average for their own development. (5) They enjoy relatively high level of self-autonomy. (6) They are very open. Second, it was turned up that teachers' degree of recognition of empowerment of school is low. (1) The school restricts the teacher's autonomy. (2) The level of support by the school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s activities is low. (3) The level of support by the school for the participation by the teachers in decision making process is very low. (4) Cultural cohesion in school is very weak.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needs to create better supportive culture of school organization for teacher empowerment. Most of all, there is a urgent need school administrator leadership with which one can create a school community that shares goals with teachers.;본 연구는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개혁의 핵심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교사 권력부여(teacher empowerment)의 의미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재 교사 스스로가 어느 정도로 권력부여 되어 있는지와 학교의 문화는 교사에게 어느 정도로 권력을 부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교사의 권력부여를 위해 교사와 학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권력이란 교사 자신의 능력과 학교에서 교사들에게 부여하는 권한을 의미하는 것이고, 부여란 남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은 물론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도 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 권력부여는 교사들 스스로가 자신에게 필요한 능력을 주는 것과 학교가 교사들에게 필요한 권한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권한을 주고 능력을 길러주는 촉진적 권력으로서의 권력부여의 의미를 살펴보고 교사의 권력부여를 위한 방안으로써 학교 조직문화의 변화와 교사의 의사결정에의 실질적인 참여 확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권력부여를 위한 방안으로써 의사결정에 참여한 후에 발생하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권력부여를 위한 학교행정가의 지도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가 다루어졌다. 첫째, 교사들은 스스로 어느 정도로 권력부여 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문헌연구에 근거해 교사의 권력부여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다음의 여섯 가지 하위영역들을 설정하여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하위영역들은 교직에 대한 자부심, 교사 자신의 실력에 대한 자신감, 교사 자신의 교수에 대한 책임감, 교사 자신의 개발을 위한 투자, 교사 자신의 자율성, 교사 자신의 개방성이다. 둘째, 교사들은 학교가 자신들에게 어느 정도로 권력을 부여하고 왔다고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하위영역은 다음의 네 가지이다. 학교에서 인정하는 교사들의 자율성, 교사의 효율적인 교직 수행을 위한 학교의 지원,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학교의 지원,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학교의 지원, 그리고 학교의 문화적 응집력이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스스로의 권력부여와 학교의 권력부여 문화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지역에 있는 일반계 중등학교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360명의 교사들을 표집한 뒤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연구에 적절한 330부의 응답을 SPSS/PC+를 이용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사들은 비교적 스스로 권력부여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들은 자신의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M=3.72). 교사 자신의 실력에 대한 자신감은 보통이상인 편이었다(M=3.31). 교사들은 자신의 교수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있었다(M=3.86). 교사들이 자기 개발을 위해 투자하고 있는 정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M=3.10). 교사들은 자신의 전문영역에서 비교적 자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M=3.49). 그리고 교사들은 동료 교사들이나 학교 행정가들과의 관계에서도 개방적이었다(M=3.67).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의 권력부여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학교가 자신들의 전문영역에서의 자율성을 제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M=2.87), 교사의 효율적인 교직 수행을 위한 학교의 지원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M=2.72). 교사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데 대한 학교의 지원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M=2.72). 교사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데 대한 학교의 지원 정도는 매우 낮았다(M=2.38). 그리고 학교의 문화적 응집력도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M=2.79). 연구 결과 한국의 교사들은 스스로 능력이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학교의 문화는 교사들에게 능력에 맞는 권한을 부여하는 정도가 낮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가 실제로 관찰할 수 있는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교사 자신의 권력부여 정도와 학교의 권력부여 문화 사이에 차이가 크면 클수록 문제와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학교는 교사들에게 권한과 능력을 더 많이 부여하는 지원적인 문화를 만들어 갈 것이 요구된다. 즉, 교사들의 전문영역에 자율성을 많이 부여해주고, 교사들의 효율적인 교직수행과 교사들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교사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와 기술을 적극적으로 제공해 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교사와 함께 목적을 공유하는 학교 공동체를 만들어 갈 학교행정가의 지도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