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5 Download: 0

유아와 교사의 기질에 따른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Title
유아와 교사의 기질에 따른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Other Titles
Child -Teacher Attachment Security & Child's Social Competence : According to Child and Teacher Temperament
Authors
김선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교사기질애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achment security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and its relation with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child and teacher temperament.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determined. 1. How is child-teacher attachment security according to child temperament? 2. How is child-teacher attachment security according to teacher temperament? 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child-teacher attachment security and chil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pairs of teachers and 4 year-olds, comprised of 17 teachers and 107 children in 17 preschools located in Seoul. Kyung-gi area. Modified and translated version for teachers by Ji-Hee Park(1996) of the Attachment Q-set(version 3.0) by Waters and Dean(1987) was used as research tool to measure child-teacher attachment security. Child Temperament Scale, used by Hee-YoungChun(1993) to typify temperament of Korean children, was used to measure child temperament, and DOTS-R for adults developed by Windle and Lerner(1986), modified and translated by Jung-Min Kim was used to measure teacher temperament. Also, Pro- social Behavioral Skill Measure by Won-Young Lee, Chan-Ok Park, and Young-Hee Roh(1993) was used to measure child social compet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ly with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in the relation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child-teacher attachment security, activity and responsiveness from the child temperament aspect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Of them, responsiveness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activity display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temperament and child-teacher attachment security, flexibility/rigidity and mood from the teacher temperament aspect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Of them, flexibility/rigidity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mood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child-teacher attachment security and child social competence, preschool adaptability from the child social competence aspect displaye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Reaffirmation of the possibility of children forming attachment with teachers, and proof that secure attachment between child and teacher have positive effect on child social competence can be obtained from the above results. The study also shows that influence of their temperament in forming attachment with children can me minimized if teacher or parents know their temperaments correctly and strive to control their negative temperament in interacting with children.;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교사의 기질에 따른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기질에 따른 유아-교사간 애착안정성은 어떠한가? 2. 교사의 기질에 따른 유아-교사간 애착안정성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간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17곳의 유치원 만 4세반 담임 교사와 유아의 쌍으로 17명의 교사와 107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로는 Waters와 Dean(1987)이 만든 Attachment Q-set(version 3.0)을 박지희(1996)가 교사용으로 수정·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천희영(1993)이 한국 유아의 기질 유형화를 위해 사용하였던 기질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Windle과 Lerner(1986)가 제작한 성인용 DOTS-R을 김정민(1992)이 수정·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의 친 사회적 기술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간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기질 차원 중 활동성과 반응성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중 반응성과는 정적 상관을, 활동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기질과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간의 관계에서는 교사의 기질 차원 중 융통성 대 경직성과 기분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중 융통성 대 경직성과는 정적 상관을, 기분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차원 중 유치원 적응능력만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유아가 교사와도 애착을 형성 할 수 있다는 것이 재입증 되었으며, 유아-교사간 안정적인 애착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또한 교사나 부모가 자신의 기질적 측면을 바르게 알고, 유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의 부정적인 기질측면을 조절하려고 노력한다면 유아와의 애착형성에서 기질에 따른 영향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