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희-
dc.creator김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의복구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실질적인 소비층인 20대-50대 성인성을 대상으로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 성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물질주의 성향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로 의복구매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시장세분화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나아가 의류업체의 상품개발 및 광고전략의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 향에 대하여 알아본다. 둘째,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의 상관관계 및 물질주의 성향이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셋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라 분류된 집단의 의복구매행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20대-50대 여성 4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포본추출은 연령과 거주지를 고려하여 추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근거로 예비조사를 통해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피어슨 적률상관분석, 분산분석, 던컨테스트, 회귀분석, x^(2)-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50대 성인여성들은 물질주의 성향은 평균 점수는 2.84점이고 표준편차는 0.37이며 과시소비성향은 평균 2.69점으로 표준편차는 0.57로 나타나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둘째,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 성향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물질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과시소비성향에는 물질주의 성향의 요인인 성공·행복추구요인, 생활중심요인이 동시에 영향을 미쳤지만, 대체적으로 성공·행복추구요인이 과시소비성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대-50대의 성인여성을 물질주의 성향에 따라 상, 중, 하의 3개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물질주의 성향은 연령과 결혼여부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집단간에 구매동기, 정보원, 의복선택기준, 점포 선택기준, 구매빈도, 구매가격대, 수입브랜드 구매경험 등 7개 의복구매행동 변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구매처, 구매상황 및 구매시기에 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an improvement in the basic strategy in examining the market traits in marketing and the advertisements of the women's clothing by classifying an important clothing consumer group, being the women in their 20's to the 50's, by materialism and the conspicous consumer group thus comparing their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specific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 in the materialism and the conspicous consumption. Second, it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the conspicous consump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ve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materialistic factors. Third, it is to classify groups according to the materialistic factors. Forth, it is to examin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the divided groups. The survey was handed out to 440 women living in Seoul and the model sampling is based on age and their habitants. Modified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er studies are used as the method to extrac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AS packages are applied to find out the results of frequencies, percentages, arithmatic mea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nd the χ_(2) _ tests of the data.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materialistic influences and the conspicous consumption factors of the women in their 20's to the 50's is 2.84 and 2.69 out of 5 each with the deviation of 0.37 and 0.57 each, thus showing stable results. Second, cor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the conspicous consumption is proportional that that the escaltion of materialistic interests relatively escalates conspicous consumption thus concluding that large portion of the success factors functions vast amount in conspicous comsumption than centrality factors. Third, only age and the marritial status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emographic varibles in materialism when consumer groups are classified into 3 social classes. Forth, purchasing motives, informant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tores selection standards, frequency of purchase price, and the purchase experiance of the imported brands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othing consum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place of purchases, purchasing conditions and the shopping times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consuming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물질주의성향 = 3 B. 과시소비성향 = 8 C. 의복구매행동 =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2 A. 연구문제 = 22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2 C. 측정도구 및 절차 = 24 D. 분석방법 = 26 Ⅳ. 연구결과 = 27 A.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성향 = 27 1. 물질주의 성향 = 27 2. 과시소비성향 = 37 3.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의 관계 = 39 B.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 42 Ⅴ. 결론 및 제언 = 63 A.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 성향 = 63 B.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 65 참고문헌 = 71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103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물질주의-
dc.subject의복구매행동-
dc.subject중산층-
dc.subject성인여성-
dc.title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산층 성인여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eterialism and clothing Behavior of an adult women-
dc.format.pagevi, 9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