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동화에 대한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동화에 대한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hildren's making stories according to the type teacher's questions after reading story book
Authors
이두현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동화교사유아이야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에 대한 교사의 질문유형(확장형 질문, 제한형 질문)이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라 이야기 꾸미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라 이야기 길이는 유아의 성과 연령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라 이야기 질은 유아의 성과 연령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라 이야기 유형은 유아의 성과 연령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 유치원과 C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26명과 만 5세 유아 26명으로 총 52명이다. 연구는 예비실험, 사전검사, 처치, 본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교사의 질문유형은 Gallagher & Aschner(1963)가 분류한 4개의 질문유형을 토대로 조부경·조성연·박수옥 (1996)이 확장형 질문과 제한형 질문으로 범주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가 꾸민 이야기는 유아가 동화를 듣고 난 다음 그 주인공이 나오는 이야기를 새로 만들어 보도록 하여 수집하였다. 유아가 꾸민 이야기의 질과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Morrow(1990)의 이야기 질 분석도구와 Weber(1990)의 이야기 유형 분석도구를 채종옥(1995)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 3-way ANOVA검증과 x_(2) 검증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변인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GLM(General Linear Models)절차가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길이에서 확장형 질문집단은 제한형 질문집단보다 단어, 문장, 묘사단어를 많이 사용하여 이야기를 길게 꾸미며, 연령에 따라서 5세는 4세보다 단어와 문장을 많이 사용하였다. 특히 확장형 질문집단의 여아는 확장형 질문집단의 남아와 제한형 질문집단의 남아, 여아에 비해 단어수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확장형 질문집단의 5세는 확장형 질문집단의 4세와 제한형 질문집단의 4, 5세보다 문장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묘사단어에서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이야기 질에서 확장형 질문집단이 제한형 질문집단보다, 5세는 4세보다 우수한 이야기를 꾸였으며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확장형 질문집단의 5세는 확장형 질문집단의 4세, 제한형 질문집단의 4, 5세 보다 질적으로 우수한 이야기를 꾸몄다. 셋째, 이야기 유형에서 확장형 질문집단과 제한형 질문집단은 성별에 따라 확장형 질문집단의 남아, 여아는 해석적 유형이, 제한형 질문집단의 남아, 여아는 설명적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라서 확장형 질문집단의 4세는 설명적 유형이, 5세는 해석적 유형의 이야기가 증가하였고 제한형 질문집단의 유아는 모두 설명적 유형의 이야기가 증가하여 해석적 유형의 이야기는 감소함을 보였다. 따라서 확장형 질문집단의 유아들이 꾸민 이야기는 해석적 유형의 이야기 빈도가 높은 반면 제한형 질문집단이 꾸민 이야기는 설명적 유형의 이야기가 약간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effects of children's story mak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eacher's questions after reading story book by children's age and sex. To guide the investig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opos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ory length by children's age and sex accoding to teacher's question type?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ory quality by children's age and sex accoding to teacher's question type?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ory type by children's age and sex accoding to teacher's question typ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fty two, four years old and five years old children(twenty six from each kindergarten)from two kindergarten wich located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proceded through thease phases : Pre-test, 10 sessions of experimental treatment which took 5 weeks and past-test. The methods for this research were Gallagher & Ashner(l963)'s type of teacher's questions which corrected by Joe bu gung, Joe sung yeon and Park su oak(1996). After reading story book, the teacher gave questions in each group and the resercher interviewed each child to collect his or her story. Each child also was asked to construct a new story which includes the characters of the story they heard. To analysis the quality and type of story which children had made, Morrow(l990)'s and Weber(l990)'s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three-way-Anova, t-test, GLM(Genera1 Linear Models) and x2 -test of the SAS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divergent question group made the story longer. than the convergent question group and 5 years old used more words and phrases than 4 years old. Typically it shows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question type and children's sex. That is, girls in the divergent question group used more words than boys or children in the convergent question group. Regarding effect of teacher's question type and children's age, 5 years old in the divergent question group used more phrases than 4 years old or children in the convergent question group. But it doesn't show any differences in dipiction word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sex. 2. As of the quality of story, The divergent question group made better than the convergent question group and 5 years old made better than 4 years old. But it doesn't show any differences by children's sex. And the 5 years old in the divergent question group made better than 4 years old or children in the convergent question group. 3. The children's story type between the divergent question group and the convergent question group doesn't show any differences by children's sex. But by age, 4 years old in the divergent question group show descriptive type of story and 5 years old show interpretive type of story. Both 4 years old and 5 years old in the convergent question group increased in descriptive type of story and both decreased in interpretive type of story. But it does not show any stastical differ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