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유치원 교사, 부모, 유아의 놀이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유치원 교사, 부모, 유아의 놀이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LAY BY KINDERGARTEN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Authors
김소양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치원교사부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play by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The specific issues for this study ate as follows : 1. What do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recognize the definition of play, and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2. How do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importance of play? 3. What are teacher and parent roles in promoting children's play, and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he two groups? 4. How do teachers perceive play and kindergarten curriculum? 5. What do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perceive as children's favorite play activities and materials, and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124 children drawn from two private kindergartens for 4 to 6 years of age, 138 parents with children from 3 to 6 years of age, and 124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from Rothlein and Brett's study were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Both teachers and parents frequently defined play as whole development or learning, while parents evenly defined play as interesting activity, intellectual development, physical activity, and so on. Most children have positive feelings about play, and some believed play meant specific play activities or materials. Almost all of the children indicated friends as playing partners, and also most children responded that they studied when they were not playing. 2. Both teachers and parents regard play as an important medium for young children, but the reason they recognize is different. Teachers thought that play was important for children's whole development or learning, whereas parents thought that play was important for specific aspects of children's development. Most parents indicated that their children should spend most of their time in kindergarten in play because play had value as a learning activity. 3. To promote children's play, both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child-child interaction as an important factor.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that teachers think providing time and opportunity is the more important factor. While parents think providing materials is the more important factor to promote children's play. Teachers mentioned that the main factor to interfere with children's play was the parent's overprotecting their children. 4.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play was an integral part of the daily program, but they also thought that they should choose specific play activities to include play in their curriculum. Teacher's perception was inconsistent. 5. Children and teachers mentioned dramatic play, blocks and outdoor play frequently as children's favorite play activities and materials, but parents mentioned books and stories frequently. The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ere different.;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 부모,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놀이의 개념을 교사, 부모, 유아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와 부모의 인식간에 차이가 있는가? 2. 놀이의 중요성을 교사와 부모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3. 놀이증진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와 부모의 인식간에 차이가 있는가? 4. 놀이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5.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활동이나 놀이감에 대한 교사, 부모, 유아의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와 부모의 인식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2개의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4,5,6세의 유아 124명과, 만3,4,5,6세의 자녀를 가진 부모138명, 그리고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Rothlein과 Brett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질문지와 면접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X^(2)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교사와 부모는 유아 놀이를 전인발달이나 학습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으나, 부모의 경우는 흥미로운 활동, 지적인 발달, 사회성발달, 신체적인 활동등으로도 고르게 인식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두 집단간의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유아는 놀이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었으며, 특정 놀이활동이나 놀이감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유아들이 친구를 놀이대상으로 좋아하고 있었으며, 놀이를 하지 않을 때는 공부를 하는 경향이 많았다. 2. 교사와 부모는 놀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이유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는 전인발달을 위해 놀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부모는 특정 영역의 발달을 위해 놀이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부모는 유치원에서의 놀이시간에 대해, 놀이가 학습 활동으로의 가치를 갖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놀이로 보내야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3. 유아의 놀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와 부모는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가장 중시하고 있었으나, 교사는 시간과 기회의 제공을 더 중시하고, 부모는 교구와 자료의 제공을 더 중시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교사는 놀이방해요인으로, 부모의 과보호를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4. 놀이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수의 교사들이 놀이가 교육과정의 통합적 요소임을 나타낸 대부분의 항목에 매우 그렇다는 응답을 하였으나, 놀이를 다른 활동과 분리시키는 입장을 나타낸 항목중, 특별한 놀이활동을 선택적으로 해야한다는 항목에도 매우 그렇다고 응답함으로써, 교사들의 놀이개념이 불분명함을 나타내었다. 5.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감이나 놀이활동으로, 유아와 교사는 극놀이블럭, 실외놀이등을 가장 많이 언급함으로써 유아와 교사의 인식은 일치하였으나, 부모는 책과 이야기를 가장 많이 언급함으로써 유아 및 교사의 인식과는 차이가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