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사회과 경제 교육의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과 경제 교육의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conomic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Authors
임항숙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사회과경제교육내용분석교육과정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한국 경제는 급격한 변화와 그에 따른 여러 과제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제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 경제 주체의 경제적 이해력을 높여서 개인의 합리적이며 조화있는 경제 활동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개인의 합리적인 비판 능력과 의사 결정 능력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당면하고 있는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1세기를 대비하고 우리 사회가 선진 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경제 교육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사회과 교육이 바람직한 민주 시민의 자질 양성을 목적으로 할 때 민주 시민의 자질은 자기가 속해 있는 사회 현상을 바르게 파악하여 올바른 의사 결정을 내리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런데 우리들이 일상에서 내리는 의사 결정은 대부분 경제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경제 이해력의 올바른 함양을 위한 경제 교육은 사회과의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에서 우리 나라 경제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아보고 국제화, 정보화 시대에 알맞는 새로운 경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본격격인 경제 교육이 시작된 시대인 1980년대의 제4차 교육 과정기부터 현재의 제6차 교육 과정기까지의 사회과 교과서에서 경제 관련 내용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내용을 분석하는데에는 먼저 4, 5, 6차 경제 교육 내용의 변화가 어떠한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이루어졌는지를 알기 위해서 각 시기별로 우리 나라의 경제적 상황들과 교육 과정 개정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교사들의 의견을 토대로 하여 선정한 개념들을 분석의 기준으로 정하였다. 먼저 각 교육 과정기별로 기본 개념들의 비중과 내용상의 특징을 시대적 배경과 연결시켜 분석하고, 각 개념별로 그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종합적으로 4, 5, 6차 과정속에서 나타난 경제 교육의 내용과 비중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기별로 큰 비중으로 다루어진 개념들은 그 시기의 경제적 ·사회적 배경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었다. 특히 4, 5차 과정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특정한 개념이 지나치게 편중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중학교 과정에서는 경제적 원리를 이해시키는 개념들이 높은 비중을 보이고,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현실과 연결시켜 분석하고 종합하는 과정이 요구되는 개념들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따라서 중학교 과정에서는 기본 경제 문제, 소비, 생산의 개념들이 중요하게 다루어진 반면, 고둥학교 과정에서는 소득 분배, 금융, 국제 경제, 경제 변동의 개념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다. 셋째,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설명 수준의 발전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즉, 대부분의 개념의 설명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갑자기 심화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넷째, 5차 과정은 4차 과정의 내용을 기본 틀로 하여 개정된 것이기 때문에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6차 과정에서는 경제 과목의 독립과 함께 경제 문제의 해결에 경제 이론을 적용하는 능력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 사회과 교육에서의 경제 교육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바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 적합한 경제 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과목의 목표와 특성에 따른 내용의 선정과 조직 등 종합적인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실제 경제 생활에서 의사 결정 능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 교재와 교사들의 사전 교육의 필요가 요구된다. 셋째, 무엇보다도 수업 방법 면에서 지식 위주의 경제 교육을 지양하고 다양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한편 이에 관하여 교사들의 참여와 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21세기를 바로 앞에 두고서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제 민주 사회와 시장 경제의 추구는 새로운 의미에서의 개선된 경제 교육의 필요성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대두되는 많은 경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미래 사회의 경제 상황에 대비할 경제 교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Economic literacy needed by citizens involves more. It is mon synonymous with the discipline of economics, but draws on that discipline. Economically literate individuals have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s that comprise our economic system and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basic economic knowledge. Such individuals are equipped to conduct and objective, reasoned analysis of economic issues. The goal of social studies and cultivated the good citizen to be able to so rational decision-making through the acquisition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knowledge, skills, and altitudes based on the social science. The objectives of economic education are to cultivate the altitudes of economic citizen to to rational valuation and self-decision in economic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conomic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uitable for educating good citizen who are effectively participation in the future society. To achieve those goals, I analyzed and examined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6th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I studied the character of each course and the gravity of main concepts in whole economic education. Secondly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gravity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4th, 5th, 6th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the high portion of economic concept in each education course is relate with the economic issue. Secondly, the portion of special concept from the 4th to 5th is very high. Finally, the economic education in the 6th curriculum is outstandingly progressed compared with the 4th and the 5th education course. I suggest some tasks which economic education should solve to understand the economic education in social studies better and preparefor the 21th society as follows. Firstly, a review of the order of priority of curricula should be preceded: the right position of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entitled. Secondly, education before their engaging in teaching profession, and we should focus a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experiences related various economic reality, and avoid knowledge focused contents. Finally and most of all, teachers should change their attitud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conomic education 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