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ild's Imaginative Play
Authors
최상순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아상상놀이유치원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자연관찰을 통하여 국민학교 병설 유치원아의 상상놀이 가작화 요소와 변인들(성, 연령, 감정조망)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1. 상상놀이의 가작화 요소들은 유아의 성,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2. 상상놀이의 참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감정조망 수용이 차이를 보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광명시에 소재한 1개 유치원 2개반 원아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상상놀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이 숙재의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변인과의 관계 연구"에서 사용한 checklist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감정조망 수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Kurdek과 Rodgon이 사용한 감정조망수용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자연관찰을 하였고 면접법도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Computer Program에 의하여 분석되었으며, 2원변량분석, 3원변량분석 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물과 유사한 사물의 가작화, 사물을 사용치 않는 가작화, 자신의 행동으로 가작화, 가족역할, 역할언어의 가작화에서 여아가 남아 보다 의의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실물과 다른 사물의 가작화, 다른 사물을 통한 행동의 가작화, 허구적 역할, 효과음의 가작화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의의 있는 차이를 보여 주있다. 현실적 역할 및 해설언어의 가작화에서는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역할언어의 가작화에서 연령에 따라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6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역할언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상놀이의 참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감정조망 수용에서 상상놀이 참여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상상놀이에 많이 참여한 유아는 적게 참여한 유아보다 감정조망 수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6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감정조망 수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감정조망 수용간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 the make- believe element of imaginative play and the variance (sex, age,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mong the kindergarten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natural observation. The research quest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ke-believe elements of the imaginative play according to the children's sex, ag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high and low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ymbolic play by affective perspective-taking score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80 children of B kindergarten with two class at elementary school in Kwang Moung City. The tools of this study used a check list of Lee, Sook Jae who had written "A correlational study on imaginative play and Related variables" to observe children's imaginative play and used a affective perspective-taking measure scales by Kurdek and Rodgon to find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 natural observation used time sampling and an interview. The data was analyzed by analysis of 2-way and 3-way variance with the SPSS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ir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more than boys in make-believe of object with similar object, in make-believe with no object, in make-believe to act as agents, in make-believe of family role and in make-believe of role verbalization. But, boy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more than girls in make-believe of object with dissimilar object, in make-believe of action through other object, in make-believe of fantasy role, and in make-believe the effective soun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ke-believe of interpretation verbalization and realistic role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ag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ke-believe of role verbalization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at is, Six-years o l d used more than Five-years old in make-believe of role verbalization. 2.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high and low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imaginative play and in affective perspective-taking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age. That is, The group of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imaginative play scored i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more than the the group of low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imaginative play and six-years old appeared high score in affective perspective-taking than five years ol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ccording to children's sex.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