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대학원 학생들의 교과과정 비판과 요구 사례연구

Title
대학원 학생들의 교과과정 비판과 요구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critics and needs to formal curriculum by graduates
Authors
이창옥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대학원교과과정사례연구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1980년대에 한국 대학원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난 공식적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적 요구사건을 교육과정 사회학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현행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은 앞으로의 대학원 교과과정의 변화를 의미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한국의 학문과 사회체제의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과과정을 비판하고 있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학교지식에 대한 기본적 가정을 살펴본다. 둘째, 현행 교과과정을 비판하고 있는 학생들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현재 학교지식의 구성과 분배원리를 살펴본다. 세째, 현행 교과과정을 비판하고 있는 학생들이 배우기를 요구하는 학교지식의 성격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학생들의 비판과 요구가 담긴 성명서류와 신문기사, 관련 학생들과의 개별 면담기록등의 연구자료를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과과정을 비판하고 있는 학생들의 학교지식을 보는 시각의 기저에는 상대적 지식 관이 깔려 있었다. 둘째, 현행 교과과정을 비판하고 있는 학생들은 현재의 학교지식의 구성과 분배가 지식의 이데올로기적 속성과 사회.역사적 상대성이 고려되지않음으로써, 학생들과 우리사회에 관한 적합성을 결여하고 있다고 보았다. 세째, 학생들이 배우기를 바란 학교지식의 유형은 기능적 지식이 아니라 현사회체제의 변화 에 기여할 수 있는 해석.비판적 지식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1980년대 한국 대학원 학생들의 교과과정에 관한 집단적 비판은 학문세계에서 나타난 새로운 시각에 대한 수용과 우리 사회의 변화에 대한 탐색의 모습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앞으로 확산될 것이 라고 정리할 수 있다.;This study has analyzed graduates' critics and needs to formal curriculum that occurred broadly in 1980'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 of the sociology of curriculum. The graduates' critics to formal curriculum implicate not only the change of it but the change of social sciences and social system of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following themes of research. First is to examine basic assumptions about school knowledge that graduates who are critical to formal curriculum have.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principles of organization and distribution of school knowledge which graduate who criticize the current curriculum don't think that they are relevant. Third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school knowledge which graduates who criticize the current curriculum want to learn. For the sake of this purpose, this study tried to do con-tent analysis to many kind of public statements, newspapers, interview records and literatures related to these theres which include critics and needs of gradu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viewpoint of graduates who criticize the current curriculum is based on the relativism of knowledge. Second, the graduates who criticize the current curriculum view that the organization and distribution of school knowledge lack the consideration of ideological attribute and social and historical relativity. Third, the school knowledge which graduates want to learn is interpretive and critical knowledge that can contribute to change of today's social system. In conclusion graduates hope that our society can be changed through reorganization and redistribution of school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