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학교장의 성별에 따른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Title
학교장의 성별에 따른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of Male and Female Principal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uthors
이윤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학교장성별지도성 행동교사직무만족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교장과 여교장의 지도성 행동을 비교·분석하고, 각각의 지도성 행동차원이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남교장과 여교장의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가지 주 변인은 교장의 성별, 지도성 행동, 그리고 교사의 직무만족도이다. 지도성 행동의 하위변인은 인간지향성, 목표지향성, 관료지향성의 세가지이고, 직무만족도는 교직관, 행정적 지원, 교육과정운영, 인간관계, 인사관리, 유인체제, 사회관계 등 모두 일곱가지 하위 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과정은 1차적으로 학교장의 성별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교장의 지도성 행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2단계에서 남교장과 여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뒤 각각의 지도성 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녀 교장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으로부터 도출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교장과 여교장의 지도성 행동에 행동에 차이가 있다. 둘째, 남교장과 여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세째, 남교장과 여교장의 지도성 행동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다. 네째, 교장의 성별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추출된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28학급 이상의 공립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다. 연구대상이 되는 학교를 28학급 이상의 공립 중학교로 한정지은 것은 남교장과 여교장이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제반조건을 유사하게 통제하고, 성별 외에 지도성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교급별, 설립별, 규모별 매개변인을 통제하기 위해서이다. 측정도구로는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 척도를 위해 노종희(1988)의 LBDQ-KOR를 사용하였고, 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로는 김창걸(1983)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두 독립표본 t검정(two 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네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장의 성별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교장의 지도성 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인간지향성의 경우 여교장이 남교장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은 반면, 관료지향성은 남교장이 여교장에 비해 훨씬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목표지향성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전체 교사들이 여교장을 인간지향적이며 목표지향적으로, 그리고 남교장을 관료지향적이며 동시에 목표지향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 준다. 교장의 지도성 행동 인식에 대한 교사의 배경별 차이를 보면 목표지향성과 인간지향성의 경우 남교사는 남교장을, 여교사는 여교장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직위를 독립변인으로 보았을 때 남교장의 인간지향성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임교사 집단이 평교사 집단에 비해 교장을 더 인간지향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보면 인간지향성의 경우 모든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지만, 목표지향성의 경우는 그 상관정도가 매우 낮았다. 여기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교장의 관료지향적 지도성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지도성 행동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전체변량은 47.74%였다. 그 중 인간지향성이 미치는 영향력이 43.37%로 가장 높았고, 목표 지향적 지도성 행동은 3.1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세째, 교장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교장에서 훨씬 높은 점수를 얻은 인간지향적 지도성 행동이 직무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전체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도 43.3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교장과 남교장 하에서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은 인간지향적 지도성 행동보다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교사의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남교장과 여교장 모두 교사의 성별과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직위를 독립변인으로 했을 때 남교장 하에서 평교사보다 주임교사의 점수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도를 하위요인으로 구분했을 때 남교장과 여교장 모두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교직경력 15년에서 21년 사이의 교사들이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가장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고 22년 이상이 되면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사의 성별에 있어서는 인간관계에서 남교장 하의 남교사가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교장 하에서 여교사의 교직관, 인간관계, 인사관리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교장의 지도성 행동 평정 때와 마찬가지로 교사들이 동성의 지도자와 일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유인체제는 교장의 성별에 관계없이 여교사가 더 높았는데 이는 비슷한 학력과 경력의 타직종 여직원에 비하여 여교사들의 봉급수준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고, 출산휴가 등과 같은 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는 것에서 연유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조직 내에서 남교장과 여교장의 지도성 행위가 아주 핵심적인 면에서 다르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지도성 행동을 통해서 나타난 특성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대인관계에 더 관심을 갖고,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으며, 조직 구성원들의 보다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남교장은 보다 권위적이고 직접적인 지도성을 행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남·녀 교장의 이러한 행동특성의 차이는 기존의 지도성 이론이 직접적으로 여성에게 적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주며 동시에 지도성 이론에서 간과되었던 여성의 존재가 남성과 동등한 비중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그리고 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결과는 학교장의 지도성 발휘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학교장의 인간지향적인 지도성은 교사의 직무만족과 높은 상관이 있고, 관료지향성은 부적 상관을 갖는다는 본 연구의 결과가 입증하듯이 관료주의의 역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학자들이 지적한 바 있다. 관료주의는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자율성을 저해하고, 교육적 혁신 활동을 방해하며, 조직 구성원간의 인간관계를 훼손시킨다. 또한 구성원의 대인능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조직의 효과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반면, 인간중심적인 조직은 상호신뢰에 의한 대인능력이나 집단간의 협동, 융통성 등을 증가시키고 구성원도 성숙하게 되어 조직의 효과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인간으로 취급되고, 각자의 잠재능력을 최대한도로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일을 하도록 자극 받는다. 이런 점에서 인간지향적인 지도성 행동을 나타내는 여교장의 수가 많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여성 행정가들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요인이 된다. 지도력은 지도자와 추종자와의 상호관계 안에서 발휘되는 상호 영향력의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장이 구성원의 기대와 정서를 이해하고 그에 알맞는 지도성 행동을 개발하고자 노력할 때 최상의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incipal's sex, leadership behavior,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ub-variables of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consist of teacher-oriented, goal-oriented, and bureaucratic-oriented leadership behavior. The sub-variabl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recognition, school facilities and services, curriculum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 personnel administratian, compensation: amount, and community relations. The specific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1)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eadership behavior of male and female principals, (2)to examine the relationship male and femal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3)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principal's sex. In this context four hypotheses were developed. Hypothesis Ⅰ.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Hypothesis Ⅱ. There can be significant correlations male and femal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and the sub-variabl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Hypothesis Ⅲ. There will be a defference in an influence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Hypothesis Ⅳ.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incipal's sex. In order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two scale were used, the one of leadership behavior and the other of job satisfaction. LBDQ-KOR which has been in 1988 developed by Jong-Hee Ro, was used as the scale for measuring leadership benavior. The scale developed by Chang-Gull Kim in 1983 was also used for measuring job satisfaction. The statistical methods empolyed in this study were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i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dership behavior of male and female principals. All teachers, both male and female, perceived female principals as teacher-oriented than male principals. On the other hand all teachers perceived male principals as bureaucratic-oriented than female principals. In case of goal-oriented leadership behavior, though male principals scored somewhat higher than female principals, there is no significant defference. Second, the teacher-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f principals have significantly higher correlation with all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than the goal-oriented leadership behavior Especially the bureaucratic-oriented leadership behavior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all sub-variabl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rd,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f principals explained 43.37%, and goal-oriented leadership behavior explained only 3.16%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Fourt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under male and female principals. It does indicate that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re different from causal realtion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and female principals carry out their administrative roles in a manner consistent with gender stereotypes, they would differ in their leadership behaviors. The most substantial sex difference was the tendency for female principals to lead in a more participative and less autocratic style than male principals. This finding suggests that existing leadership theory can not be applied directly to female principals, and females as well as males should be included as the objects and subjects of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hip behavior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replacing much of the present document male culture of administration with female culture nay improve administrative practices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