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대학원 학위제도에 관한 대학원생들의 의견 분석

Title
대학원 학위제도에 관한 대학원생들의 의견 분석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the Opinions of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Level Students on the Educational Degree System
Authors
최정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대학원학위제도대학원생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47년에 본격적으로 시작한 한국의 대학원 교육은 40여년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양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이와같은 대학원의 양적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대두되는 것이 대학원 교육의 질적인 측면으로 대학원 교육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기되는 문제들 중의 하나가 대학원 학위제도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원 학위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고, 대학원생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원 교육의 강화를 위하여 대학원 학위제도의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기 위해 대학원 교육과 관계된 법규 등을 통해서 대학원 교육의 목적과 대학원 교육체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각 대학원의 (대학원 요람)을 중심으로 대학원 학위과정 운영의 현황을 석사학위과정과 박사학위과정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조사방법을 통하여 대학원 학위제도의 문제점을 대학원 교육의 목적 및 체제, 입학제도, 교과목 이수, 종합시험, 학위논문 작성과 심사·등록금에 관하여 대학원생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대학원 교육의 관계법규를 통해서 대학원 교육의 목표가 일반대학원과 전문대 학원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학문추구만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원의 체제는 하나의 학교로 인정되지 못함에 따라 대학의 부설기관 내지는 연구기관으로 존재하며 독자적인 재정의 구조를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 경영의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국의 대학원 중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국립대학원 20개, 사립대학원 64개, 모두 84개의 대학원 중에서 국립과 사립, 서울과 지방으로 나누어서 32개의 대학원을 표집하여 [대학원 요람]을 조사한 결과 대학원마다 입학제도, 교과목 이수, 종합시험, 학위논문 지도 및 심사의 영역 등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어 대학원마다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원 학위제도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7개의 대학원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10개의 대학원을 선정하여 전공계열별로 학생들을 무선추출하여 600명을 대상으로 6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한 결과, 회수된 347부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의견분석 결과로 첫째, 대학원 교육목적 및 체제에 대해 대학원생들은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의 교육목적에 대한 [대학원 규정]의 일률적인 규정은 적절치 않다고 보며 각 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대학원의 교육목적을 명시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대학원 교육의 체제도 대학원은 대학의 부설 연구과정이나 기관이 아닌 최종학교로 교육법에 명시하여 대학원 자체의 독립적인 경영 구조를 갖추어 대학원 재정을 독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원 입학제도에 대해서 가장 바람직한 석사학위 전형방법에 대한 의견은 현행의 필기시험위주 외에도 서류전형과 면접을 함께 실시하여 이를 골고루 반영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동일대학원내에서의 가장 바람직한 박사학위 전형방법으로 필기시험을 치르지 않고 서류심사 등에 의하여 해당학과 교수들이 결정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대학원의 외국어 시험에 대해서는 전공학과의 특성에 따라 결정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으로 나왔다. 셋째, 교과목 이수에 관한 것으로 석사학위과정과 박사학위과정 모두 최저 등록학기와 최저 이수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에는 반대의 의견을 표명하였다. 현재의 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았고, 석사학위 과정을 예비과정으로 하여 박사학위과정 중심으로 대학원을 운영하자는 데에는 반대의 의견이 많았다. 교과목 개발시에는 학생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며, 학위논문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과목을 개설하여야 하며, 타교와 타전공의 교환학점 제도를 인정하여야 하며, 석사학위과정과 박사학위과정의 이수시에는 직장생활을 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대학원에서의 학점평가는 발표와 보고서를 중심으로 이를 엄격하고 정확하게 평가하자는 의견이 많았으며, 대학원의 수업방식은 교수강의, 학생발표나 토론(실험) 등을 함께 병행한 혼성된 수업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대학원의 강의나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과목개설, 교수의 성실한 수업 준비, 학생의 성실한 수업 참여 등을 지적하였다. 넷째는 종합시험에 관한 의견으로 종합시험은 학위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지 못하며 대학원 교육을 통해서 얻은 교육의 지식의 성취정도를 잘 평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사과정의 경우 통합교과의 성격을 지닌 시험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종합시험의 개선에 대한 의견으로 교과목의 학점이수로 대치하자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필기시험과 구두시험을 병행하거나 폐지하자는 의견도 많았다. 다섯째는 대학원 학위논문 지도 및 심사·등록금에 관한 문제로 논문의 지도가 충실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논문지도 위원회와 proposal meeting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학위논문 심사시에는 지도교수의 참여와 필요하다면 외부 전문인사를 초빙해야 하며 석사과정의 논문심사횟수는 2번, 심사위원수는 3명, 박사과정의 논문 심사횟수는 3번, 심사위원수는 5명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등록학점 수에 따라 등록금이 차등적으로 부과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대학원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하나의 방안인 대학원 학위제도의 개선을 위해 연구시설을 확충하고 재정투자를 크게 증대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제한된 재정의 효율화를 위해 공정한 대학원 평가에 따른 차등적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대학원 학위제도의 개선을 통한 대학원 교육의 강화를 위해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통합하는 연구와 학위의 남발을 막기 위한 하나의 방안인 학위의 종류와 명칭에 관한 연구 등 대학원 학위제도에 관한 심층적이고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This study analyses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the master's and the doctorate degree level and the problems posed by the educational degree system. By analysing the opinions of the graduate students themselves, the main theme is to present a revisionary alternative to the current educational degree system.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e study which are dealt with in dept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isclose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al degree system at the master's and doctorate level, and address the problems being posed in the current system, relative legal aspects such as the law, the goals and current status of the system of education, and the graduate school bulletin(focusing on the entrance examinations, course-work completion,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the direction and judgement of the thesis) of the master's of doctorate degree are addressed. Second, through the social survey, the problems faced by the current educational degree system were approached by questioning students of the problems in the goal and system of the education, the entrance examinations, course-work completion,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the direction and the judgement of the thesis, and tuition. In analysing the laws regulating educational experiences at the master's and doctorate level, it can be deduced that the educational goal of the academic graduate school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The only emphasis is found in the desire to pursue academic study. Furthermore, the graduate school is only a part of the university as a whole, in effect, as a subsidiary institution to the university. This leads to a lack of financial independence and is causing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study of social survey, 300 students from 7 graduate schools in Seoul and 300 student from 10 graduate schools in each a district except Cheju-do were sampled. as a result out of the 600 questionnaires sent out, 347 were analysed to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effective entrance examinations for the master's level should include judging of application forms and interviews, together with the currently valid written examination. As for the doctorate level, an evaluation of transcripts should be enough for students continuing in the same school instead of a written examination, giving the faculty a chance to choose the valid candidates. In regard to mandatory foreign language testing, students repl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of study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efore forcing the testing. Second, as for the course-work completion, most of the students were opposed to the idea of lifting the lowest possible registered semesters and lowest possible credit limit for both stages of study. It seem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questioned are unsatisfied with their current curriculum. Many also opposed the suggestion that the master's degree level be treated as a prerequisite to the doctorate level.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students that their opinions be reflected in the choice of subjects, the credit of course-work should be cross recognized through different majors and schools. For many of the student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 educational period be separate from any burdens of full time work.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various subjects, sincerity in the preparation of class material on the part of both faculty and students alike are considered important. Third, concerning the comprehensive exam, the students were skeptical to the actual performance results of the testing. at the doctorate level, the comprehensive exam should be integrated, Also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rehensive exam, perhaps replaced with the credit of the course-work completion. Fourth, as for the direction and the judgement of the thesis and tuition, the students complained that the direction and judgement from faculty are needy, citing the necessity of committees especially set up to direct the thesis and proposal meetings. In the instance of judgement the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thesis, the students suggested introducing professionals to judge the project, but not a professor affiliated to the school. The students also demanded that the tuitio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urse-work per semester. Therefore, in searching for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degree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for analysing an in-depth research into the educational degree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